지역별 소식
양천·강서·영등포 총 8,551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대일고 1학년 2024년 2학기 국어 기말고사 분석 2024년 대일고등학교 1학년 2학기 기말고사 국어는 객관식 22문항, 서술형 8문항으로 총 30문항 출제되었다. 객관식은 2.5~2.9점으로 60점 만점, 서술형은 5점으로 40점 만점이다. 대일고등학교는 학교에서 수업하지 않는 부교재가 시험 범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많은 부담이 된다. 문학의 경우 부교재에서 다룬 21작품 중 현대 소설 1작품과 고전 소설 1작품이 출제되었으며, 학교에서 다룬 8개 작품 중 5작품만 출제되었다.이번 기말고사에서 문학과 비문학은 비교적 쉬운 난도로 출제된 반면, 문법 문제에서의 실수가 성적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특히 문법은 명확한 근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수를 범한 학생들이 많았다.문학 객관식 문제는 대부분 내용 일치와 표현상 특징을 묻는 유형이었으며, 올해 처음 등장한 외부 지문인 <나는 희망을 거절한다>는 수능형 문제로 외적 준거를 적용하는 방식이었지만 12번 <보기>에서 해석의 방향성을 제시했기 때문에 답을 고르는 데 큰 어려움은 없었다. 서술형 문제도 예상 범위 내에서 출제되어 난도가 낮았다. 특히 서술형 2번에서는 <속미인곡> 시어의 상징적 의미를 묻는 문제가 나왔는데, 이는 교과서 학습 활동 내용이 그대로 출제된 부분이다. 서술형 3번은 <태평천하>와 <아이젠하워에게 보내는 멧돼지>의 부정적 인물 풍자, 서술형 4번은 성삼문 시조의 ‘낙락장송’이라는 시어가 지조와 절개를 드러내는 의미를 묻는 문제로, 모두 예상 범위 내에서 출제되었다. 서술형 5번에서는 <우주와 사랑을 품은 요리, 볶음밥>의 의미 추론 문제가 나왔는데, 전날 학습 자료를 통해 복습했던 내용이라 비교적 쉽게 작성했을 것으로 보인다.비문학 객관식은 내용 일치와 핵심 개념 비교, 어휘 문제로 구성되었으며, 낯선 지문이라 모두 읽어야 해서 다소 시간이 걸리는 문제지만 근거만 제대로 찾았다면 수월하게 답을 골랐을 것이다. 서술형 문제 역시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고’라는 문장에서 단서를 활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다.이번 시험의 관건은 문법이었다. 특히 오답률이 높은 문제인 20번과 22번은 학생들에게 어렵다기보다는 틀린 근거를 찾지 못해 찍은 학생들이 많았다. 20번은 ‘말씀’이라는 단어의 높임과 낮춤 통용 의미를 묻는 문제로, ‘정수’가 사용한 ‘말씀’이 낮춤의 의미임을 파악해야 했다. 22번은 형용사와 동사의 구분 문제로, 어휘적 특성을 정확히 이해해야 정답을 고를 수 있었다. 그 외에도 ‘구’ 개념(15번), 명사절의 관형어 기능(16번), 이중피동(21번), 서술어 자릿수 파악(서술형 7번), 간접 인용에서 ‘여기’를 ‘거기’로 바꾸는 문제(서술형 8번) 등 개념을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실수하지 않을 수 있었다. 결국 이번 시험의 1등급 컷은 86점에 그쳤다.2학년 때는 시험 범위는 줄지만, 외부 지문이 많이 출제되므로 겨울 방학 동안 폭넓은 문학 학습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목동 한얼국어논술전문학원 김운식 원장 2025-01-18
-
경복여고 2학년 2024년 2학기 문학 기말고사 분석 2024년 경복여고 2학기 문학 기말고사는 객관식(선택형) 18문제, 서답형 10문항으로 출제되었다. 올해 시험은 계속 서답형 문제가 무려 10문항이나 출제된 점, 그 서답형 모두 지엽적 내용의 단답식 답안을 적어야 한다는 점에서 서답형 답안 적기가 다소 까다로웠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복여고 2학년 문학 시험은 시험에 출제된다고 알려주는 작품의 수만 기본적으로 30~40개가 되기 때문에 지엽적인 내용 하나하나 공부하는 것이 참 어렵다고 느껴지는 시험이다. 그렇지만 객관식 문제는 다소 평이하게 선택지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객관식과 서답형의 균형이 맞아 시험 난이도는 ‘중’으로 예상된다.앞서 언급했듯 경복여고 2학년 문학 시험은 다양하고 많은 작품이 출제되기 때문에 각 작품별로 비교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 문제들로 구성된다. 그래서 보통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옳지 않은 것 등을 구하는 문제로 출제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쉽고 간단하게 풀기 위해선 역설적으로 작품의 지문을 하나하나 놓치지 말고 꼼꼼하게 정리해야한다.경복여고 2학년 문학 시험은 서답형 비율이 40%나 되어서 서답형을 얼마나 잘 작성하였으며 점수를 확보했는지가 중요한 시험이다. 시험 난이도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았으나 학교에서 요구하는 서술형 답안을 올바르게 적는 것이 까다로운 시험이었다.까다로운 문제로는 서답형 1번, 9번으로 예상된다. 서답형 1번은 서술상의 특징을 묻는 문제였는데 학습활동의 있는 내용을 구조적으로 정리하여 답안을 적는 능력이 필요한 문제였다. 9번은 경복에서 킬러 문항으로 자주 출제되는 유형이다. 본문의 정서와 유사한 외부 작품을 찾는 것인데, 선택지에 있는 작품이 전부 처음 보는 현대 시들이라 이를 해석하는 데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이처럼 경복여고 2학년 문학 시험은 작품의 상징, 시대적 맥락, 서술 기법을 깊이 있게 묻는 문제가 많았다. 단순 암기가 아닌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분석 능력이 중요해지면서, 효과적인 대비 전략이 필요하다. 우선, 작품의 맥락과 배경을 이해하는 학습이 필수적이다. 작품의 창작 시기, 작가의 의도, 시대적 배경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작품을 읽으면, 문제에서 요구하는 심화적 사고를 더욱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문학적 기법과 상징을 분석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윤동주의 시처럼 상징과 은유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작품은 시어 하나하나에 담긴 함의를 깊이 이해해야 한다. 문제를 풀 때는 상징적 표현이 텍스트 전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출 문제를 활용한 훈련이 중요하다.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며 서술형 답안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연습을 하면, 사고의 폭과 표현력을 동시에 기를 수 있다. 학생들은 이 같은 학습 전략을 통해 고난도 문제도 자신 있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목동 한얼국어논술전문학원 김운식 원장 2025-01-18
-
경복여고 1학년 2024년 2학기 국어 기말고사 분석 2024년 경복여고 1학년 2학기 기말고사는 선택형 22문항, 서답형 6문항으로 출제되었다. 선택형과 서답형 문항을 고루 배치하여 학생들의 사고 능력과 표현 능력을 균형 있게 평가하려는 의도가 돋보인다. 단순히 암기한 지식을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 비판적 사고, 논리적 연결, 다층적 해석을 요구하는 시험이었다. 특히 고전 문학의 역사적 맥락과 현대적 의미를 연결하거나, 복합적인 상황에서 논리적 판단을 내리는 것이 핵심인 시험이었다.경복여고의 경우 1학년 국어는 문학, 비문학, 문법이 모두 고루 출제된다는 점에서 하나의 특정 영역만 공부해서는 고득점을 받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문학에서는 교과서뿐만 아니라 부교재, 10월 모의고사 등 외부 작품도 상당수 출제되기 때문에 단순히 교과서만 읽어서는 시험을 대비하는 것이 어려운 학교에 속한다.이번 시험에서도 문학은 주로 (가)~(라)의 작품을 비교하는 등 여러 개의 문학 작품을 살펴보는 형식으로 출제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단순히 개별 작품을 아는 것은 물론, 각 작품끼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명하게 따져볼 줄 아는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보기>를 활용하여 역사적 배경과 문학 작품을 연결하여 작품의 언어적, 시대적 맥락을 모두 고려하는 다층적 사고가 필요하였다.이번 시험에서는 비문학 지문이 출제되지 않고 화법 – 토론, 협상 영역이 출제되었다. 교과서 내용을 암기하다시피 알고 있어야 시험에서 실수하지 않고 올바르게 답안을 체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12번 문제는 토론 내용 전체를 통으로 암기하고 있어야 그나마 풀기 쉬운 내용이었다. 지엽적인 내용을 문제로 삼았기 때문에 답안을 찾는 과정이 어려웠을 것이다중세 문법 문제 역시 어려운 편이었다. 이번 시험에서는 처음 보는 낯선 중세 국어 자료가 상당수 출제되었는데 이는 기본적인 중세 문법 개념을 완벽하게 알고 있어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는 문제들이었다.경복여고는 내신을 대비하는 데 어려운 학교에 속한다. 올해의 경우 부교재를 활용하여 교과서 이외의 학습 부담을 주었으며, 많은 양의 문학 시험 범위와 교과서 이외의 문법 개념을 요구하기 때문에 혼자서 공부하기 참 어려운 학교였다. 내년 2학년의 경우에는 문법, 비문학 없이 문학만 1년 내내 수업하도록 교육과정이 짜여 있어 정말 어마어마한 양의 문학 작품이 시험에 출제된다. 이번 겨울방학, 약 두 달이라는 긴 기간 동안 얼마나 문학을 공부하느냐에 따라서 2학년 내신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중요한 시기인 만큼 철저하게 공부하여 2학년을 대비해야한다.목동 한얼국어논술전문학원 김운식 원장 2025-01-18
-
강서고 2학년 2024년 2학기 독서 기말고사 분석 2024년 강서고등학교 2학년 2학기 기말고사 독서 시험은 총 37문항, 선택형 27문항(65점), 단답형 6문항(35점)으로 출제되었다. 시험 범위는 교과서 중 2단원에서 비판적 읽기, 창의적 읽기, 3단원에서는 인문· 예술 분야의 긁 읽기, 과학 분야의 글 읽기, ‘예덕 선생전’이 포함되었다. 외부지문으로는 수능특강에서 고전시가 10지문이 출제되었고, 복합지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작품 수로 따지면 16편이다. (지난 중간고사는 현대시 10편)시험은 교과서 범위에서 21문항, 수능특강 범위에서 12문항이 출제되었다. 비교적 교과서 범위가 넓은 편이다. 교과서 범위는 적지만 문제가 많다 보니 세세한 내용을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가)~(마) 문단의 내용과 서술상 특징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문제가 어려웠고, 어휘의 사전적 의미를 묻는 문제가 특히 까다로웠다. 모의고사의 어휘 문제 풀듯이 풀다 보면 다 맞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과서에 있는 어휘 뜻을 숙지하고, 문맥을 통해 적절하게 추론하는 것이 관건이다. 서술형 문제는 학습 활동 수준이라 그리 어렵지 않았다. 문맥에 맞게 빈 칸 넣기, 단답형이라 다 쉽게 썼을 것이다.그리고 수능 특강 범위 중에서 7편이 출제되었는데, 시조 3편으로 구성된 지문에서의 표현상 특징 문제와 별개의 가사 두 작품을 복합지문으로 구성한 문제가 특히 어려웠다. 보통 모의고사에서는 표현상 특징과 관련한 문제를 출제할 때 한두 가지의 요소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표현과 효과 사이의 인과 관계가 적절한 것으로 출제를 한다. 그런데 내신 문제는 두세 가지의 요소가 포함되어, 적절성뿐만 아니라 표현과 효과 사이의 적절성까지 판단해야 한다. 이런 문제는 지문과 선지, 선지 내 앞 절과 뒷 절의 적절성을 모두 판단해야 하므로 까다로울 수밖에 없다. 강서고 문학 시험은 특히 이런 문제들의 난도가 높고 3~4문항 출제되어 일명 ‘킬러 문제’로 불리게 된다. 수능 특강과 관련한 서술형은 두 문항 출제, 모두 설명에 해당하는 소재를 간단하게 쓰는 것이라 어렵지 않았다.전반적으로 강서고 2학년 2학기 내신 시험은 쉬운 편이다. 1~2개 틀리면 1등급에서 밀려날 정도인데 이번 기말고사는 좀 어려운 편이었다. 강서고 특유의 어려운 문제를 풀고 틀리면 열심히 준비한 학생들 입장에서 상심은 하겠지만, 이렇게 공부를 해야 모의고사가 비교적 쉽게 느껴질 것이다. 내신 관리를 결과로만 보지 말고, 수능을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임하는 것이 실력을 키우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목동 한얼국어논술전문학원 김운식 원장 2025-01-17
-
강서고 1학년 2024년 2학기 국어 기말고사 분석 2024년 강서고등학교 1학년 2학기 기말고사 국어 시험은 총 37문항, 선택형 31문항(65점), 단답형 6문항(35점)으로 출제되었다. 지난 시험 보다 문항수가 많아 시간이 부족했다는 의견이 있었다. 시험 범위는 교과서 중 8(1)현대소설, 9(1)중세국어문법, 9(2)화법이 포함되었고, 학교에서 배부한 중세국어 참고 자료와 용비어천가48, 125장 관련 자료가 있었다. 이 외에 수능 특강에서 현대시 4편, 고전시 2편, 현대소설 2편, 고전소설 2편으로 지난 중간고사와 같은 수준으로 포함되었다.이번 시험에서는 교과서 범위가 적지만, 중세국어 문법이 낯설고 학교에서 배우는 수준이 교과서보다 높기 때문에 학생들이 시험 대비에 부담이 컸다. 게다가 수능 특강에서 ‘연시조’와 ‘가사’가 포함되다 보니 더 어렵게 느꼈다.37문항 중 18문항은 교과서 외부 범위인 수능 특강에서 출제되고, 나머지 19문항이 교과서 범위인 것을 봤을 때, 학교에서 수업하지 않는 수능 특강의 범위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강서고 학생들은 학교 수업을 잘 따라가면서 수능 특강 문학 공부가 병행되어야 한다. 19문항 중에서 중세국어 문법은 13문항, 현대소설 6문항 출제되었고 화법 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았다. 중세국어 문법의 경우 학교 프린트에 있는 ‘한글 창제 원리’와 관련한 문제도 있었다. 이 문제는 중학교 과정에서 한글 창제 원리를 잘 숙지해두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수준이었으나 그렇지 않으면 틀리기 쉬운 유형이다.이번 시험에서는 <보기>를 활용하는 문제가 6문항이 있었고, 그 중 외부 작품을 인용한 것이 3문항이나 있다. 현대시 2편, 고전시 1편으로 수능특강의 작품과 비교 감상하는 문제였고, 모두 수준이 높았다. 강서고 시험에서 이런 유형은 보통 고난도이므로 비교적 쉬운 영역에서 감점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이 외에 낯선 한자성어를 활용한 문제, 인물의 행동의 ‘궁극적’ 원인을 찾아야 하는 문제, 표현상 특징 비교하는 문제, 적절한 속담 찾기 문제가 까다로웠다. 평소 한자성어, 속담과 관련 연습을 해두는 것이 좋다.서술형은 대부분 평이한 난도였으나, 서술형 4번에서 빈 칸 채우기 문제가 어려웠다. 암기식으로 공부하면 안 되고 <보기>의 문맥에 따라 적절한 내용을 채워넣어야 한다. 학교에서 제시한 답 외에도 답이 될 수 있는 내용은 여럿이라, 서술형 채점 기준을 지켜봐야 한다.전반적으로 1학년 과정 중 가장 어려운 시험이라 90점을 넘는 학생이 많지 않아 보인다. 쉬웠던 중간고사에 비해 높아진 난도에 학생들이 시험 보고 나서 혼란스러워한 것도 사실이나, 궁극적으로 어떤 시험에서도 좋은 결과를 내려면 어휘부터 응용까지 탄탄하게 국어 실력을 쌓아야 할 것이다.목동 한얼국어논술전문학원 김운식 원장02-2653-3644~5 2025-01-17
-
흉터가 남지 않는 상처 봉합 사람들은 다치거나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흉터에 대해 많은 걱정을 한다. 특히 눈에 잘 띄는 부위에 흉터가 남을 가능성이 있다면 이는 심리적인 부담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상처는 언제든 생길 수 있지만 제대로 봉합하지 않으면 흉터로 남을 수 있다.흉터란 무엇인가?흉터는 피부가 손상됐을 때 이를 복구하려는 우리 몸의 치유 과정에서 생기는 흔적이다. 상처 치유 과정에서 피부의 표피와 진피가 다시 연결되고, 이를 돕기 위해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이 새롭게 생성된다. 하지만 피부가 원래의 상태로 완벽히 돌아가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새로 생긴 조직은 기존 피부와 비교했을 때 두껍거나 색이 다를 수 있으며, 표면이 울퉁불퉁한 경우도 있다.흉터를 최소화하는 조건흉터 형성 여부와 정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상처의 크기와 깊이, 위치, 개인의 피부 특성, 그리고 봉합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얼굴처럼 혈액 공급이 잘 되는 부위는 흉터가 덜 남는 경향이 있다. 반면, 관절 부위나 피부가 얇은 부위는 흉터가 더 쉽게 남을 수 있다. 의학적으로 흉터를 최소화하려면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중요하다.정밀한 봉합: 상처를 최대한 원래의 상태로 밀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세밀한 기술과 고급 장비가 필요하다.적절한 장력 분배: 상처에 가해지는 장력을 줄이는 것이 흉터 예방의 핵심이다. 이를 위해 흡수성 봉합사를 사용하거나 피부 아래층을 먼저 봉합하는 방식이 자주 사용된다.상처 관리: 봉합 후 상처 부위를 깨끗하고 습윤한 상태로 유지해야 흉터 형성을 줄일 수 있다.실밥 제거 시기: 실밥을 너무 빨리 제거하면 상처가 다시 벌어지기 쉽고 늦어지면 봉합 자국이 남을 수 있다.상처 봉합의 작은 차이로 흉터의 깊이와 크기, 유무가 달라진다. 흉터를 최소화하는 봉합은 단순히 외과적 기술이 아니라 예술적 감각까지 요구하는 작업이다. 특히 얼굴처럼 중요한 부위에서는 미세 봉합 기법이 적용된다. 이는 흉터를 거의 남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흉터가 걱정된다면 진료부터 봉합, 드레싱, 흉터 치료까지 체계적인 상처 봉합 시스템을 운영하는 의료 시설을 방문할 것을 권한다.한강수병원 송우진 원장 2025-01-17
- 우리 지역 2024 수시 합격생에게 물었다⑫ 자랑하고 싶은 나만의 세특 수시 합격생들의 역량과 개성, 전공에 대한 열의 등을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준비 서류 중에는 학교생활기록부(생기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과별 세부능력특기사항(세특) 내용이나 인성과 관련한 다양한 세특 내용도 대학에서는 지원 학생들을 판가름할 수 있는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다. 우리 지역 2024 수시 합격생들에게 ‘학교생활기록부에서 본인만의 특색을 나타내는 세특 내용이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라는 요청에 그들은 다양한 답변을 해주었다. 자신의 리더십이나 성실성을 보여주는 수업 태도나 전공과 관련한 꾸준한 주제를 탐구하는 등의 모습으로 적극성을 드러낸 학생들이 많았다.박선 리포터 ninano33@naver.com*서울대학교 의예과 김예찬 학생-저는 ‘인수공통감염병’에 관심이 있어서 그 주제를 정하고자 했는데 단순히 그것만을 탐구하는 데 그치지 않았어요. 인수공통감염병과 V,D,J(항체 유전자) 유전자의 관련성이라던가 엘니뇨, 라니냐 현상과 아프리카의 모기를 매개로 한 인수공통감염병 사이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파고드는 것을 중요시했어요. 아프리카 모기 매개 연구는 컴퓨터 코딩과도 관련해서 연구했어요. 단순히 탐구한다기보다는 본인이 직접 관심을 가지고 탐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음을 표현했어요.*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김승현 학생-MCLA 실험 세특과 거점학교의 고급수학 세특이 차별성이 있다고 생각했어요. 과학, 수학 분야에서 관심이 있었던 논문, 책과 관련한 세특이 저의 관심 분야를 아주 잘 나타냈다고 생각합니다.*서울대학교 통계학과 안서영 학생-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교과 세특 중 하나는 ‘선형회귀분석’을 주제로 했던 3학년 고급수학 세특입니다. 고급수학 시간에 배운 행렬과 벡터, 행렬식, 가우스 소거법 등의 개념을 이용해 선형회귀분석을 이해한 후 발표했어요. 선형대수적으로는 데이터와 추정하고자 하는 함수식으로 세운 연립방정식을 열벡터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낸 행렬로 이해해 최적의 해를 구한다고 설명했어요. 또, 수학 Ⅱ에서 다룬 다항함수의 그래프에서의 극솟점을 찾기 위한 방법을 이용한 최소제곱법을 이용해 선형회귀분석을 이해했어요. 고급수학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적절하게 활용하면서 통계학과에서 다루는 내용을 심화 탐구한 것이 좋았다고 생각해요.*연세대학교 경제학부 노해인 학생-교사들이 써주신 세특이 있어요. ‘언어와매체’과목에서는 언어 사용 감각이 탁월하고 탄탄한 개념 이해력을 갖춘 최고의 학생이라는 내용을 받았어요. 2학년 때 ‘행특’에서는 제 2의 교사로 급우들에게 높은 신망을 받고 있다는 말을 들어서 좋았어요.*서울대학교 수의예과 안성현 학생-저의 진로가 수의학이다 보니 이와 가장 연관이 깊다고 생각하는 생명과학 분야 관련 세특이 가장 인상 깊었다고 생각합니다. 생명과학Ⅰ과 Ⅱ에서는 교과서 관련해서 발표하고 보고서를 제출했던 프리온이나 반려동물 슬개골 탈구와 같은 내용이 저를 잘 나타내는 세특이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생명과학 실험 과목의 경우 실험이 가능하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진행했던 오징어 해부 실험과 그 이후에 진행한 동물의 구조적 특징에 관한 활동이 저를 잘 나타내는 세특이라고 생각합니다.*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김경서 학생-세계사 세특을 준비할 당시 세계사 교과서에는 우리나라의 은행과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는 이슬람 문화권의 금융 시장에 대한 글이 한 문단 적혀 있는 걸 보았어요. 저는 이에 호기심을 느끼고 탐구를 진행했어요. 이슬람의 방향성, 원칙을 알아가며 이슬람 은행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영이 되는지 찾고 ‘영미 문학 읽기’ 과목 수업 때 다루었던 <베니스의 상인>의 내용과 엮어 보았습니다. 종교적인 요소가 사람들의 금융 거래 모습을 어떤 식으로 결정했는지 그 양상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했어요. 영미 문학과 종교라는 요소를 진로와 엮어서 생각해보았던 시도가 남들과는 차별화 둘 수 있는 세특 내용이 되지 않았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박혜인 학생-교사들이 써준 생기부 내용을 소개해 봅니다. ‘평소 수업시간에 교사와 눈을 맞추고 경청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교사가 놓친 부분도 수업이 끝난 후 언급해주는 비판적 사고력과 섬세함이 돋보이는 학생임’, ‘수업시간에 늘 교사를 존중하는 태도를 느낄 정도로 수업에 집중하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이었어요. 매번 수업시간에 수업 내용을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고 노력했고 교사들과 소통하며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어요.*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 계열 이다인 학생-나만의 개성을 잘 드러냈던 생기부 주제를 꼽아보았어요. ‘불교를 통해 본 디즈니’를 주제로 토론 과목에서 발표를 했어요. 느낌이 완전히 다른 두 가지 내용으로 책을 참고해서 발표했어요. 두 번째는 뮤지컬 <웃는 남자> 속에 담긴 갈등론을 뮤지컬 음악 넘버를 통해 이해하는 내용으로 만들었어요. 동아리 활동으로 서로 기사를 쓰고 코멘트를 달아주는 활동이 있었는데 ‘조선 개화기 때의 기독교 전파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를 주제로 만족스러운 세특을 구성했어요.*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유정욱 학생-고등학교 3년을 돌아보니 저는 거의 모든 학교행사에 참가했던 것 같습니다. 각종 수학, 과학 과목별 캠프는 물론 교내 반대 항 축구대회, 육상경기대회, 마라톤대회 등 대부분 학교행사에 참여했어요. 지리 올림피아드에도 참가했어요. 저는 2학년까지는 내신 시험 기간에는 정말 열심히 공부하고 평상시에는 이런 학교행사에 많이 참여하면서 학교생활을 최대한 즐겼어요.그러다 보니 스트레스 해소도 되고 학교에 관한 자부심과 친구들과의 우정을 다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또, 3년 동안 학급회장 3회, 동아리부장, 멘토링 활동을 하면서 생기부에 자연스럽게 리더십과 인성 관련 내용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대부분 대학에서는 리더십 있는 학생을 선호하다 보니 이런 생기부 내용이 대입에서 유리했던 것 같습니다. 또,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많은 교사가 수업 분위기를 활기차게 만드는 적극적이고 성실한 학생이라는 평가를 해주었어요.*서울대학교 통계학과 강민석 학생-‘학급회장으로서 맡은바 책임감이 강하다’라는 내용이 있었고 1, 2학년 때 학급회장을 하면서 친구들을 배려하고 좋은 분위기를 만들려고 노력했던 부분이 담겨 있었어요.*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오지수 학생-2학년 영어Ⅱ 세특이 인상 깊었습니다.‘어떤 교사라도 교실에 들어가면 한눈에 들어오는 인상적인 학생으로 매시간 최선을 다해 문법, 어휘, 문장 구조 등을 정확하게 체계적으로 파악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임. 예리함과 꼼꼼함이 있어 어려운 구문을 주변 친구들에게 설명해주거나 교사가 놓칠 수 있는 중요한 부분도 짚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학생임. 이 학생이 가진 과제집착력과 차분함, 탐구력 그리고 성실함을 꾸준히 발휘한다면 영어는 물론 다른 과목에서도 더 큰 학문적 성취를 이룰 수 있는 잠재력이 있으리라 판단됨’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평가를 해주어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한양대학교 의예과 한유진 학생-꼭 진로가 일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저는 3년 동안 일관되게 정신과 의사에 대한 저의 의지를 전 과목에 걸쳐서 언급한 것이 저의 특색이라고 생각합니다. 보통 의사를 희망한 다음에 학과를 생각하기 마련인데 저는 처음부터 특정과를 희망하였기에 그 점이 탐구 주제 선정이나 수행평가 주제를 생각할 때도 선택과 집중을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서울대학교 경영학과 박준한 학생-개인적으로 3학년 세계문제와 미래사회 세특 내용 2025-01-17
-
금옥여고 2024년 1학년 1학기 영어 기말고사 킬러문항 풀어보기 저는 목동에서 11년째 금옥여고 전문 학원을 운영 중인 목동 최인규 영어사관학원장 최인규 입니다. 2025년 새 학기를 맞이하여 금옥여고에 배정된 학생들에게 2024년 1학기 기말고사 영어 1등급을 좌우했던 ‘킬러문항’ 몇 가지를 보여주고자 합니다. 결국 1등급은 이 문제들을 맞힐 수 있는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한 번 도전해 보시길 바랍니다.[2024년 금옥여고 1학년 1학기 기말고사 킬러문항] [서답형 1번] 다음을 읽고 답하시오. [4점]Many people think that they should look at calming colors when they are angry or irritated. Because the color red excites the emotions, they may think that looking at it will make them angrier. However, this picture shows that the opposite can be true. By looking at the color red here, you can release your anger. This picture is actually helping you calm down. The woman in the picture is standing in a vividly red room and is placing fruit in a bowl. She seems to be carrying on her work in silence. As you watch the woman working dutifully at her task in this red room, your anger melts away instead of getting worse. In addition, the yellow fruit on the table brings out positive and cheerful emotions. At the same time, the green and blue space outside the window causes healing and relaxing feelings. The existence of these cool colors actually makes the “heaviness” of the red colors appear a bit lighter. Although the color red is dominant, it works together with the various contrasting colors to a harmony. Seeing this balance keeps you from becoming overwhelmed by your emotions and helps you overcome your anger. As the painting’s suggests, this must be the power of the harmony in red.[ ] 안에 주어진 단어들을 활용하고 [조건]을 충족하도록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완성하시오.[조건]1. 주어진 단어나 어구 모두 사용하고, 단어 추가 및 중복 사용 불가2. 필요 시 어형 변화시킬 것Question : How does the painting achieve harmony despite the dominance of the color red?Answer : [ such as / achieve / dominant / yellow, green, and blue / it / harmony / complement / by / contrast / to / the / incorporate / red / colors ].[서답형 4번] 다음을 읽고, 빈칸 (A) (B) (C)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낱말을 [조건]에 맞게 쓰시오. (6점, 각 2점)Spending time as children allows animals to learn about their environment. Without childhood, animals must rely more fully on hardware, and therefore be less flexible. Among migratory bird species, those that are born knowing how, when, and where to migrate — those that are migrating entirely with instructions they were born with — sometimes have very inefficient migration routes. These birds, born knowing how to migrate, don’t adapt easily. So when lakes dry up, forest becomes farmland, or climate change pushes breeding grounds farther north, those birds that are born knowing how to migrate keep flying by the old rules and maps. By comparison, birds with the longest childhoods, and those that migrate with their parents, tend to have the most efficient migration routes. Childhood facilitates the passing on of cultural ination, and culture can evolve faster than genes. Childhood gives flexibility in a changing world.[요약문] The passage above is about the importance of (A) in animals for learning about their environment, (B) themselves better to it, and (C) cultural ination,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migration patterns among bird species.[조건]1. (A),(B),(C)는 한 단어의 영어로 쓸 것2. (A),(B)는 윗 글에 있는 단어를 찾아 쓰되, 필요하면 어형 변화 시킬 것3. (C)는 주어진 철자 t로 시작할 것4. 답안 작성 시, (A): (B): (C):를 적은 후 답을 쓸 것(A) : (B) : (C) : t *금옥여고는 1학년 1학기 기말고사는 선택형 75점 / 서답형 25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과서 3~4과 그리고 모의고사 지문 18개중 17개가 출제되었습니다. 1등급을 좌우하는 문제는 주로 서답형 1번과 4번에서 다음과 같이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단순히 문장을 외우고 이해한다고 위의 킬러문항들을 맞힐 수는 없습니다. 이를 풀기 위해서는 요약문 연습, 구조 배열 연습 등과 같은 서술 2025-01-17
-
금옥여고 2024년 1학년 1학기 영어 중간고사 킬러문항 풀어보기 저는 목동에서 11년째 금옥여고 전문 학원을 운영 중인 목동 최인규 영어사관학원장 최인규 입니다. 2025년 새 학기를 맞이하여 금옥여고에 배정된 학생들에게 2024년 1학기 중간고사 영어 1등급을 좌우했던 킬러문항 몇 가지를 보여주고자 합니다. 결국 1등급은 이 문제들을 맞을 수 있는가 입니다. 한 번 도전해 보시길 바랍니다.[2024년 금옥여고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킬러문항][서답형 4]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 (C)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조건]에 맞게 쓰시오. (6점 / 각2점)It would be hard to overstate how important meaningful work is to human beings — work that provides sense of fulfillment and empowerment. Those who have found deeper meaning in their careers find their days much more energizing and satisfying, and count their employment as one of their greatest sources of joy and pride. Sonya Lyubomirsky,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as conducted numerous workplace studies showing that when people are more fulfilled on the job, they not only produce higher quality work and a greater output, but also generally earn higher incomes. Those most satisfied with their work are also much more likely to be happier with their lives overall. For her book Happiness at Work, researcher Jessica Pryce-Jones conducted a study of 3,000 workers in seventy-nine countries, finding that those who took greater satisfaction from their work were 150 percent more likely to have a happier life overall[요약문] - Studies conducted by Sonya Lyubomirsky and Jessica Pryce-Jones show that (A)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ople‘s happiness, leading to greater (B) p , higher incomes, and overall life (C) .[조건]1. (A)는 두 단어, (B),(C)는 한 단어임.2. 윗글에 있는 단어를 찾아 쓰되, 필요하면 어형 변화 시킬 것3. (B)는 주어진 철자 p로 시작할 것4. 답안 작성시, (A): (B): (C):를 적은 후 답을 쓸 것(A) : (B) : (C) : [서답형 5] 다음을 읽고 주어진 [조건]에 맞게 괄호 안의 단어나 어구들을 배열하여 질문에 대한 답을 완성하시오. (6점/ 각 3점)A number of research studies have shown how experts in a field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when introducing newcomers to that field. For example, in a genuine training situation, Dr Pamela Hinds found that people expert in using mobile phones were remarkably less accurate than novice phone users in judging how long it takes people to learn to use the phones. Experts can become insensitive to how hard a task is for the beginner, an effect referred to as the ‘curse of knowledge’. Dr Hinds was able to show that as people acquired the skill, they then began to underestimate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at skill. Her participants even underestimated how long it had taken themselves to acquire that skill in an earlier session. Knowing that experts forget how hard it was for them to learn, we can understand the need to look at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students’ eyes, rather than making assumptions about how students‘should be’ learning.[조건]1. 주어진 단어나 어구 모두 사용하고, 단어 추가 및 중복 사용 불가2. 필요 시 어형 변화 시킬 것3. 답안 작성 시 (A): (B): 를 적은 후 답을 쓰되, [ ] 안에 해당하는 부분만 적을 것(A) d on the passage, what is the ‘curse of knowledge’?→ It is the phenomenon that [ beginners / find / experts / the challenges / understand / to / face / a / learn / it / difficult / skill / new / when ].(B) What can experts learn from this passage?→ They can learn about [ than / how / learn / assume / students / the importance / consider / the perspective / the learning process / of / of / from / students / should / rather ].* 금옥여고는 1학년 1학기 중간고사는 선택형 75점 / 서답형 25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과서 1~2과 그리고 모의고사 지문 18개중 16개가 출제되었습니다. 1등급을 좌우하는 문제는 주로 서답형 4번과 5번에서 다음과 같이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단순히 문장을 외우고 이해한다고 위의 킬러문항들을 맞힐 수는 없습니다. 이를 풀기 위해서는 요약문 연습, 구 2025-01-17
- 목운중학교 영어 시험 공부 어떻게 할 것인가 ② 지난 글에서 중학교 영어 학습의 핵심은 문법이라고 말씀드린 바 있다. 언어의 규칙을 제대로 알아야 정확한 인풋(input 입력)과 아웃풋(output 출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어휘를 많이 알수록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그러나 문법과 어휘는 단기간에 익힐 수 없다. 꾸준한 학습만이 최선이다. 필자는 평상시에는 어휘, 문법, 대화문과 지문에 대한 독해 등 기초실력을 위한 학습에 매진하다가 목운중 시험 기간이 되면 기출 문제를 토대로 시험에 나올 만한 내용을 집중 학습하도록 권한다.어휘 학습에 관하여어휘 학습은 뜻, 품사, 용례를 복합적으로 공부하고 테스트해야 한다. 어휘의 기본 정의 뿐 아니라 품사에 따른 파생어까지 학습하면 한 번에 여러 단어를 연계하여 공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운중 시험 대비를 위해 문장 내에서 의미와 품사에 적합한 단어를 유추할 수 있도록 문장을 활용한 문제들을 테스트에 포함한다. 아울러 어휘 교재는 익숙해질 때까지 여러 번에 걸쳐 반복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문법 학습에 관하여문법은 일단 기본 규칙을 배워야 하겠지만 단순 암기만으로는 이를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들기가 어렵다. ‘아는 것 따로, 적용 따로’ 나뉘게 되면 아무리 규칙을 알아도 실제 문장 적용 시 헛갈려서 시험 볼 때 종종 실수를 한다. 그래서 배운 규칙을 직접 적용하여 문장을 써보는 영작 훈련이 꼭 필요하다.영어가 제2외국어인 언어 환경에서는 영작이 사실상 유일한 아웃풋이라고 할 만큼 중요하다. 이를 통해 문장 구조, 문법 규칙, 어휘 등을 포괄적으로 복습하고 훈련할 수 있다.독해 학습에 관하여독해 능력은 꾸준히 진작시켜야 한다. 목운중 교재의 본문은 난도가 그다지 높지는 않다. 그래서 다양한 배경 지식과 어휘를 키워나갈 수 있는 여러 주제의 논픽션 교재를 선정해 학습하도록 한다. 또한 학생들 수준에 맞춰 시중 독해 교재 외에 고등학교 영어 모의고사집도 적절히 활용한다. 수능 시험에 나오는 문제의 유형과 풀이 방법을 미리 체득하는 효과도 있다. 목동 영어학원윌스어학원김세영 목운중 전문반 팀장02-2652-2884 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