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끼리 다툼이 벌어졌다. 결국 한 아이가 맞아서 상처가 났다. 맞은 아이가 울음을 터뜨렸다. 이때 엄마나 선생님의 첫 마디는 대부분 이럴 것이다. “누가 때렸어?” 범인부터 찾는 것이다. 사태는 때린 아이가 벌을 받는 것으로 마무리되곤 한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한 아이가 피해를 입었으니 피해를 준 아이에게도 ‘벌’이라는 피해를 입게 해서 결국 피해의 균형을 맞추는 것, 이것이 우리의 전통적 훈육방식이다.
그런데 여기에 이런 우리의 훈육방식과 사고방식, 문화를 바꾸자고 외치는 이가 있다. ‘회복적 정의’라는 다소 추상적인 개념을 늘 입에 달고 사는 ‘회복적 정의 실천가’ 서정기 교육학 박사를 만나 시간가는 줄 모르고 그의 강연 아닌 강연을 들었다.
듣다 보면 절로 끄덕여지는 고개,
옳은 말이다
늘 웃음 띤 얼굴일 것 같은 첫 인상. 말이 느릴 거라는 예상을 깨고 속사포로 쏟아내는 그의 ‘회복적 정의’에 대한 설명은 듣는 이의 정신을 쏙 빼가는 매력이 있었다. 오랜 강연 경력으로 다져진 말솜씨의 내공도 있지만 그가 설명하는 ‘회복적 정의’의 개념이 “그렇지, 그래야지, 바로 이거야”라고 고개를 절로 끄덕이게 하는 설득력을 갖춘 까닭이다.
서 박사가 1시간이 넘게 설명했던 ‘회복적 정의’를 간략하게 정의하자면 이렇다. 잘못된 행동이 가지고 온 개인과 공동체의 피해와 어려움을 확인하고 당사자들의 참여를 통해 발생한 피해를 회복함으로써 공동체의 회복을 목표로 하는 것. 추상적이다. 그러자 서 박사가 바로 예를 들었다.
“얼마 전 있었던 연세대 폭탄 테러 사건도 그렇지요. 폭탄을 터뜨린 그 대학원생의 잘못된 행동을 개인의 잘못으로 치부하고 처벌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문제를 불거지게 한 공동체 구성원이 노력해서 깨진 관계와 피해를 회복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그의 지적을 들은 듯 인터뷰 며칠 뒤 보도가 나왔다. 연세대는 현재 TF팀을 구성해서 대학원생 권리장전 제정 및 고충처리와 상담제도 보완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한다.
학교 폭력에 주목하고
회복적 생활교육에 힘써
이렇듯 우리 사회는 ‘회복적 정의’에 대한 자성과 필요를 스스로 깨우치고 있다. 특히 빠른 각성을 했던 곳이 교육계이다. 일찌감치 학생인권조례를 제정하고 교내 생활지도의 방법으로 체벌 금지를 선포했던 경기도는 ‘회복적 정의’ 실천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의 선봉에 서 있다.
서정기 박사는 ‘에듀피스’라는 예비 사회적 기업을 만들어 학교 폭력과 갈등 조정을 위한 ‘회복적 생활교육’ 연수 강연을 주로 다니고 있다. 그 강연의 주요 청강생이 교사라고 한다.
“자의로 오신 분도 있지만 교사 연수 시간 때문에 그냥 앉아서 듣고 있을 뿐인 분도 계시죠. 분명 그중에는 학생은 놔두면 사고를 치니까 통제가 필요한 존재라고 인식하는 분도 계실 겁니다. 저는 강연을 통해 그분들에게 학생은 가치 있고 바른 행동을 추구하며 성장하려 하고 서로 돕길 원하는 긍정적 존재라는 인식을 심어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는 학생과 학생의 관계, 학생과 교사의 관계는 상호존중과 배려가 깔려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래야만 갈등 상황에서도 관계가 회복될 수 있는 탄력성이 있다는 것이다.
비난은 수치심만 불러,
존중으로 관계 회복해야
학교 폭력이 발생하거나 가족 내 갈등상황이 생겼을 때 규칙을 누가 깼는가를 찾고 그에 대한 처벌로 통제를 강화하는 대신, 당사자 간의 대화로 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해결책을 스스로 찾아내 공동체를 재통합하는 것이 ‘회복적 정의’를 적용한 해결 방법이라는 게 서 박사의 요지다.
“물론 당장 벌을 주고 아이를 통제하는 것이 빠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비난을 받은 아이는 수치심을 느끼게 되고 나아가 자존감이 떨어지게 됩니다. 양육자, 교육자로서의 책임은 아이가 건강한 자아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일 겁니다. 문제 행동을 아이 개인의 실패로 규정하지 말고 환경과 적응의 문제로 여겨야 합니다. 아이 스스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지지해주셔야 합니다. 그러면 아이는 잘못된 행동을 스스로 고치고 바르게 성장할 수 있는 경험을 쌓게 되는 것입니다.”
한편 서 박사는 회복적 생활교육의 실천을 마을로 넓히는 프로젝트도 시작했다. 도촌동 섬마을 공동체의 마을갈등조정센터 일원으로 참가해 ‘회복적 정의’를 적용한 마을 공동체 구현에도 나선 것이다.
오늘도 ‘회복적 정의’ 실천을 위해 동분서주하는 그의 열정이 퍼져 서로 존중하고 이해하고 공감하는 문화가 형성되는 날이 하루 빨리 다가오길 바라본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