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를 둔 부모는 누구라도 내 자녀만큼은 잘 키워야겠다는 마음을 가질 것이다. 하지만 부모의 마음만큼 뭔가 잘 되지 않는다고 느낄 때, 종종 실망감을 갖기도 하는데 심리학자 아들러는 “아이들의 부적절한 행동에도 이유와 목적이 존재하는데 이는 아이의 행동자체 문제가 아니라 잘못된 목표에 의한 잘못된 선택의 결정이 문제”라고 하였다. 모든 아이들은 소속감과 존재감을 갖기 원하지만 이것이 충족되지 않으면 잘못된 목표를 갖게 되고 이는 곧 부적절한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아이들의 잘못된 선택에는 관심 끌기, 힘겨루기, 보복하기, 무능함 보이기가 있다.
첫째, 관심끌기는 “나는 관심을 받을 때만 존재감을 가진다”는 믿음으로 아이가 계속 보채고 성가시게 하고 지치게 만드는 것이다. 부모는 짜증이 나며 귀찮다고 느끼는데 평소 꾸준하게 관심을 주되 부적절한 행동에는 무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힘겨루기. “다른 사람들을 통제 할 때만 가치 있다”고 느끼는 아이는 반항적이고 고집스러우며 잦은 말다툼과 부모가 하라는 것의 반대행동을 하며 상대방을 화나게 만든다. 부모는 권위에 대해 위협받는다고 느껴 아이를 굴복 시키려 하지만 오히려 아이의 행동은 더 반항적이 되며 부모가 화를 내면 자신이 이겼다 생각한다. 아이에게 하지 말라는 말 대신 부모가 무엇을 할지 결정하고 져주는 용기도 필요하다.
셋째, 보복하기. “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받은 만큼 되갚아 줄 거야”라고 생각하여 폭력적이고 심술궂고 변덕스러우며 잘 삐지고 아무도 자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믿는데 부모는 실망감과 상처, 불신감, 복수심을 갖게 되며 이런 반응에 아이는 기물을 파손하거나 타인에게 상처를 주며 반사회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 부모는 우선 아이의 상처받은 마음에 대해 공감해주고 이해하려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넷째, 무능함으로, 아이는 “나는 가망이 없어, 나에게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 제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등, 지나친 낙담과 실패를 표현한다. 부모는 자녀에 대해 절망감, 무기력, 체념, 희망이 없다고 느끼고 아이에게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지만 이런 노력이 실패하면 낙심하여 포기하게 되는데 아이의 기대치를 낮추고 장점에 초점을 맞추면서 꾸준하게 격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잘못된 목표를 가지고 행동하는 아이를 바람직하게 이끌고 싶다면 아이의 행동만을 보고 야단칠 것이 아니라 이런 행동을 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우선되어야겠다.
새중앙상담센터 · 심리상담연구소행복나무
박연신 놀이치료사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