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의 증가는 배우자와 사별 후 혼자 살아가는 기간의 연장을 의미한다. 노년기는 신체적,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퇴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며 이로 인해 노인 특유의 의존성이 생기는 때이다. 따라서, 노년기에 배우자를 사별한 노인은 자녀에 대한 의존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그러나, 경제적인 문제, 개인화 경향성 등으로 자녀들에게 온전히 자신의 삶을 의탁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지면서 독거노인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에 두 분의 여성 노인을 만나 그들의 홀로 사는 삶의 경험을 들어볼 기회가 있었다.
“들어가도 외롭고 나가도 외로워”, “혼자 사니까 음식하는 법을 잊어버려서 음식 재료를 사다 놓고 이걸 어떻게 해야되지 생각하다가 상해서 버릴 때가 많아” 지금도 그분들의 생생한 이야기가 귓가에 맴돈다. 이것은 특정한 누군가만의 경험이 아니라 우리들 누구라도 배우자를 사별하고 자녀들도 내 곁을 떠나간 후 겪게 될 수 있는 노년기의 홀로 살아가는 삶의 이야기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홀로 보내게 되는 노년기의 삶에 잘 적응하고 적절히 대처하며 지낼 수 있을까? 신체적, 경제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들이 여러 가지가 있지만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볼 때, 홀로 사는 노인은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 지지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친구야 놀자’와 같은 사회성향상 기술은 아동, 청소년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노년기에도 꼭 필요한 덕목이다. 배우자나 자녀가 보호자이고 친구였던 삶에서 이제는 홀로 사는 외로움과 고독감을 서로 위로하고 채워줄 수 있는 친밀한 만남을 만들어 가는 폭넓은 대인관계는 오히려 인생을 풍요롭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인관계 외에 개인내적으로 자립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기도 하지만, 혼자 있게 되는 시간에 우울, 허무, 무위의 시간 속에서 자기감을 잃지 않고 견디어 내기 위해서는 스스로 자신을 돌보고 위로하는 자기돌봄의 힘이 필요하다. 자신을 있는 그대로 대면하고 아픔과 연약함까지 수용하며 그런 자신을 위로할 수 있는 힘이 있다면 홀로 살아가야 하는 노년기는 황량하고 쓸쓸한 황혼기가 아니라 인생의 통합을 지향하는 가장 의미있는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새중앙상담센터 · 심리상담연구소행복나무 최양희 전문상담사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