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이 치루어진지 1주일이 지났습니다. 수능최저를 맞춘 아이들은 논술과 면접 준비에 여념이 없을 것이고,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한 아이들은 좌절의 시간들을 보내고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다음 차례인 예비고3, 또는 예비고2 아이들과 학부모님들은 쏟아지는 입시 정보들로 머리가 많이 복잡하실 것입니다. 오늘은 대학 입시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이 소홀히 여기고 있는 사회탐구 영역에 대해 안내하고자 합니다. 내신에서, 그리고 수능에서 사회탐구를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해야 하는지 4주에 걸쳐 차례차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회탐구 영역이 내신에서 어떤 비중으로 반영되는지 혹시 아시나요?”
현재 고1은 대부분 사탐을 한 학기에 7단위(통합사회4+한국사3) 배우고 있습니다. 그리고 고2,고3에서는 인문계지망 친구들은 2~3과목 (6~9단위), 자연계지망 친구들은 보통 1과목 (3단위)을 선택하여 공부하고 있구요. 단위수를 생각하면 정말 어마어마한 비중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질문을 하나 드리고 싶습니다. “학종이나 교과 전형에서 내신을 반영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무엇일까요?” 기본적으로 내신을 산출할 때는 등급이 산출되는 영역의 과목을 ‘단위수’를 기준으로 합산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국,영,수,과,사에 해당하는 모든 과목을 반영하고 있구요. 따라서 사탐을 소홀히 여기고는 절대 수시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내기 어렵습니다.
“수시 최저, 무엇으로 맞추시겠습니까?”
영어가 절대평가로 전환된 이후, 정시에서 사탐의 반영 비율은 매우 높아졌습니다. 그리고 수시전형에서 최저등급을 맞출 때는 당연히 사회탐구 영역을 넣어서 전략을 짜야 합니다. 특히 고려대학교나 서강대, 경희대, 이대, 건대 등은 사탐을 2과목 평균이 아니라 1과목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학교들은 사탐으로 최저를 맞추는 것이 무조건 유리합니다.
다만, 사회탐구 영역에서 등급을 받는게 그렇게 쉬운일은 아닙니다. 많은 학부모님들께서는 사탐을 ‘암기과목’이라고 생각하시고, 자녀의 사탐 점수가 안나오는 이유가 단순히 ‘외우는걸 싫어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는데,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요즘 사회탐구 영역은 표와 그래프를 분석하는 분석형 문항들의 비중이 매우 높고, 난이도가 크게 높아졌습니다. 단순하게 암기하는 것으로 접근을 해서는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최상위권에는 언제나 많은 재수생들이 있기 때문에 1등급을 받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2020년 대입 수시 전형 요약>
우리나라는 대학입시제도가 워낙 복잡하기 때문에, 어떻게 전략을 세우고 접근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탐구영역은 과목이 많고 (총 10과목) 과목들의 특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과목 선택부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각 과목에 대한 설명과 선택방법은 다음주에 이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사탐 기획 연재 ②] 선택도 전략이다! 사탐 과목 선택 방법
[사탐 기획 연재 ③] 수능 사탐 공부법
[사탐 기획 연재 ④] 내신 사탐 공부법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