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탐' 검색결과 총 55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최근 3개년도 사탐 과목 & 제2외국어 응시 현황 수능 사회탐구(이하 사탐) 2과목의 선택 기준은 뭘까. 응시자 수가 많은 과목과 그렇지 않은 과목 사이에도 각각의 장·단점이 있고, 학생의 선호도 차이는 물론, 정시 지원 시 표준점수나 백분위 기준 등 해마다 사탐 변수가 달라진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사탐 1과목을 제2외국어로 대체할 수 있지만 1등급 컷의 장벽이 만만치는 않다.사탐과 제2외국어 선택의 갈림길에서 유·불리를 단정 지을 수 없지만 최근 3개년도 사탐 과목 및 제2외국어 응시 현황과 등급 컷을 살펴보면 자신에게 유리한 과목이 무엇인지 가늠해볼 수 있다.2015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 최근 3개년 수능 사탐 응시자 수와 1등급 컷을 살펴보고,사탐 1과목을 대체할 수 있는 제2외국어 응시자 수 및 대체 가능한 대학들을 살펴봤다. 도움말 중앙사대부고 허충범 교사, 종로학원 김명찬 평가연구소장 자료참조 2018학년도 각 대학 전형요강 자료제공 종로학원하늘교육2017학년도 사탐 1등급대 사회문화표점 최고점과 등급 컷 차 3점으로 가장 높아최근 3개년도 사탐 응시자 중 가장 많은 선택을 한 과목을 살펴보면 생활과윤리, 사회문화, 한국지리 순이었다. 한국사가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2017학년도의 경우 사탐 총 응시인원 290,120명 중 생활과윤리 168,253명(58.0%), 사회문화 161,508명(55.7%)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지리가 82,532명(28.4%), 세계지리 42,455명(14.6%) 순이었으며, 가장 응시자 수가 적은 과목은 경제로 6,731명(2.3%)이었다.종로학원 김명찬 평가연구소장은 “2017학년도 사탐 등급대별 변별력을 확인해보면 1등급 대에서는 사회문화가 표준점수 최고점과 등급 컷 차이가 3점으로 가장 높았고, 2등급 대에서는 동아시아사, 법과정치의 변별력이 높아, 해당 과목을 선택한 학생의 경우 백분위 점수에 따라 유불리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표1. 수능 사회탐구 3개년도 응시자 수>구분2015학년도2016학년도2017학년도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생활과윤리167,52450.3%173,68753.8%168,25358.0%사회문화160,23348.1%164,27350.9%161,50855.7%한국지리99,13729.8%93,90229.1%82,53228.4%세계지리39,58011.9%39,95812.4%42,45514.6%윤리와사상57,02517.1%45,25014.0%37,38012.9%동아시아사35,63710.7%31,8279.9%29,79310.3%법과정치31,0569.3%28,6948.9%28,4979.8%세계사26,9328.1%22,2836.9%22,1967.7%경제9,0892.7%7,3042.3%6,7312.3%한국사38,70511.6%37,25411.5%--총 응시 인원332,880 322,674 290,120 해마다 사탐 유·불리 과목 달라져자신 있는 과목 선택, 지원학과 연관성 고려 탐구과목의 경우 매년 과목별 난이도, 응시자 수준 등이 다르므로 절대적으로 유리하다고 하는 과목이 정해지는 것은 없다. 과목별 난이도를 고려하기 위해 정시 지원 시 대학별로 발표하는 변환 표준점수를 보고 탐구영역 성적의 변화 정도를 점검해야 하기 때문이다.중앙사대부고 허충범 교사는 “수능 최저 기준을 맞추기 위해 등급을 따는 것이 목적인 학생도 있고, 논술과 연계해 혹은 정시 지원 시 표준편차를 고려해 사탐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려는 학생도 있다. 논술전형을 고려하는 학생이라면 사회문화와 생활과윤리 선택은 여러 모로 도움이 될 수 있고, 언어영역의 힘을 기르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보편적으로는 3학년 때 배우는 과목 중 사탐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3학년 1학기 내신과 수능을 동시에 대비하는 방법이다. 혹은 가장 최근에 배운 2학년 사회교과 중에 한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며 수능 사탐 선택에 대해 조언했다.수능 사탐에서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조합인 생활과윤리와 사회문화의 경우, 응시자 수가 많다 보니 변별력을 주기 위해 몇 문제는 매우 어렵게 출제된다는 함정이 있다. 반대로 응시자 수가 적으면 등급 확보가 만만치 않다. 과목마다 어느 하나의 기준으로 유·불리를 따질 수 없고, 응시자 수와 표점 차 등을 적절히 고려해야 하지만 해마다 변수로 떠오른 과목도 달라진다는 점을 명심하고 자신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과목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라는 것이 허 교사의 설명이다.김명찬 평가연구소장은 “수시를 고려하면 지원학과와의 연관성까지 고려해 탐구과목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표2. 수능 사회탐구 3개년도 1~3등급 컷> 과목등급컷2015학년도2016학년도2017학년도표준점수원점수표준점수원점수표준점수원점수생활과윤리1등급64 45 6450 63 47 2등급61 42 6247 61 45 3등급59 40 6044 58 42 사회문화1등급65 50 6447 63 45 2등급63 47 6244 62 44 3등급60 44 5941 59 40 한국지리1등급64 47 6450 64 48 2등급62 45 6247 63 47 3등급59 41 6044 60 43 세계지리1등급65 47 6350 65 50 2등급63 44 6147 63 48 3등급59 40 5945 60 44 윤리와사상1등급65 47 6547 64 48 2등급63 45 6243 63 46 3등급60 41 5939 60 42 동아시아사1등급65 48 6546 66 48 2등급62 45 6343 63 45 3등급60 42 5938 59 39 법과정치1등급65 48 6650 66 48 2등급63 45 6447 63 44 3등급59 40 6042 60 39 세계사1등급66 48 6450 66 48 2등급63 45 6247 64 45 3등급59 40 6044 61 41 경제1등급64 50 6848 66 47 2등급62 48 6544 64 45 3등급60 45 6038 61 40 2017학년도 제2외국어 응시자 수아랍어 71.1%, 일본어·중국어·베트남어 순사탐을 선택할 때 ‘입시 목적’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제2외국어도 마찬가지다.이 2017-01-20
- 대치 ‘에스원’ 사회탐구 전문학원, 윤성훈원장 2018학년도 수능에서 영어절대평가제도가 도입되면, 대학입시에서 영어의 영향력이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국어, 수학, 탐구과목의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사실이 하나 있다. 국, 영, 수 3영역 모두에서 1등급을 획득한 학생 중 탐구영역까지 1등급인 학생은 약 10%수준이라는 사실이다. 실력이 유사한 상위권의 경우 국어와 수학이 아니라 탐구과목의 성적이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성공적인 사회탐구 학습법은 무엇일까? 대치 사회탐구전문학원, 에스원 윤성훈대표원장에게 그 해답을 들어봤다.바로잡아야 할 사탐에 대한 오해 두 가지사회탐구과목에 대해서는 잘못된 오해들이 몇 가지 있다. 첫 번째는 ‘탐구점수는 1등급 컷이 높으니 문제가 쉬울 거야. 나중에 시작해도 충분히 가능해’라는 잘못된 판단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탐을 오랜 기간 철저히 준비하는 학생들이 늘어나 문제가 어려워도 고득점 현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국영수 중심으로만 공부한 상위권 중에는 고3 모의고사를 치르면서 사회탐구 때문에 난감해 하는 학생들이 꽤 많다. 윤 원장은 “사회탐구는 1년간 차근히 준비하면서 충분한 복습과 문제풀이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늦어도 예비고3 겨울방학부터는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두 번째 오해는 ‘개념 책이 얇으면 쉽게 끝낼 수 있을 거야’라는 막연한 기대감이다. 일반사회 영역의 ‘사회문화’, ‘법과 정치’, ‘경제’ 그리고 철학 영역의 ‘윤리와 사상’과 ‘생활과 윤리’는 확실히 ‘역사’나 ‘지리’보다 책이 얇다. 그러나 일반사회와 철학 영역은 응용범위가 넓고 분석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많아 개념보다 문제풀이에 좀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 반면에 지리와 역사는 공부해야 할 량은 많지만 팩트를 물어보는 문제유형이 많아 문제풀이보다 개념에 집중하는 것이 유리하다. 윤 원장은 “역사나 지리에서 개념 70~80%, 문제풀이 20~30%의 노력이 필요하다면, 일반사회와 철학 영역에서는 개념 30~40%, 응용문제풀이 60~70%정도로 봐야 한다”며 “수능에서 100%를 가져가지 않고 끝낼 수 있는 사탐은 단 하나도 없다”고 강조했다.과목별 차이점이 존재하므로 당연히 학생 성향에 따른 유리한 또는 불리한 과목도 있을 수 있다. 윤 원장은 “과목선택은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신중히 결정”하라고 조언하며, “학생의 성향과 학교의 교과과정 등을 고려해 내신관리와 복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과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고, 과목 간 유사성도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사탐 1등급 전략, 개념정리와 기출문제 풀이사탐의 출제경향은 한마디로 정의 내리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불확실성 가운데도 변함없는 진리가 하나 있다. 상위권으로 갈수록 한 문제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하다는 것이다. 만점을 받느냐 아니면 하나를 틀려 불안한 2등급이 되느냐가 한 문제에서 결정되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수능 사탐 만점을 위한 공부법은 무엇일까? 윤 원장은 “개념정리를 최소 2회 이상 반복한 후 기출문제 중심의 문제풀이 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개념정리란 정확한 용어의 의미와 내용을 이해하고 어떤 문제유형이 출제되는지를 파악하는 수준의 ‘정독’으로 해석할 수 있다.그 후에는 최근 5개년 기출문제(6월, 9월 모의평가와 수능문제) 약 300개를 완벽하게 분석하고 변형 또는 응용문제를 풀어보는 연습을 해야 한다.그러나 거꾸로 공부하는 학생들이 의외로 많다. 수능기출문제를 풀고 그 문제의 개념을 공부하는 식이다. 윤 원장은 “틀린 문제를 따라 왔다갔다 하다보면 응용 및 변형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실력을 키우기 어렵고, 본인 스스로도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방향감을 상실해 의기소침해 질 수 있다”며 “오류와 실수를 반복하기 보다는 처음부터 개념을 정독하는 과정을 최소 두 번 정도 진행하고 문제풀이로 견고한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설명했다.문의 02-554-1952 2016-12-24
- 겨울방학! 문과계열과 예체능계열 예비고3이 사회탐구를 위해 해야 할 일 예비 고3에게 있어 고2 겨울방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수능이 긴 여정이라고 해도 자기만의 플랜을 가지고 특정 목표를 이룰 만큼 긴 시간이 주어지는 것은 고2 겨울방학이 유일하기 때문이다.하지만 겨울방학과 봄방학을 합쳐도 주어지는 시간은 두 달, 계획 없이 시간을 보내다가는 허비하기 쉽다. 주요 과목인 국·영·수와 함께 자신만의 무언가를 만들어야 한다.입시에 있어 대학에서 가장 고심하는 것은 '변별력'이다. 오락가락하는 수능 난이도, 영어 절대평가의 시행, 대학별고사 형태의 논술 전형 축소 등 대학의 입장에서 우수한 학생을 뽑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 변별력의 확보 때문에 입시에서 탐구영역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 2016년의 경우 사탐에서 가장 많은 학생들이 선택하는 생활과 윤리와 사회문화의 난이도가 높아진 것도 이러한 흐름과 맥을 같이한다.문과계열과 예체능계열의 예비고3에게 겨울방학은 사회탐구 과목 중 최소한 1과목을 마무리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렇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우선 많은 사회탐구 과목 중 자신이 입시에 활용할 과목을 확실하게 정해야 한다. 흔한 표현으로 '시작이 반'이라고 했다. 사탐 과목을 늦게 정하면 늦게 정할수록 준비 기간도 짧아진다.사탐 과목을 결정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은 '고3 내신 과목으로 어떤 사탐 과목을 선택했는가?'이다. 고등학교 내신 중 가장 중요한 내신은 고3 1학기 내신이다. 따라서 고3 1학기에 선택한 내신 사탐 과목은 어쩔 수 없이 해야 한다. 만약 고3 내신 사탐 과목과 수능 선택 사탐 과목이 달라진다면 입시를 위해 준비할 과목이 늘어나고 만다.사탐 과목 선택에 있어 두 번째로 고려 할 사항은 생활과 윤리와 사회문화가 자신에게 맞는 과목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이 두 과목은 사탐 응시생 중 절반 이상이 선택하는 과목이다. 수시에 필요한 최저등급을 맞추기 위해, 정시에 필요한 안정적인 백분위를 확보하기 위해 두 과목의 선택 비율은 매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사탐 과목 선택에 있어 세 번째로 고려 할 사항은 연관 과목을 찾는 것이다. 여기서 연관 과목은 세부적으로 전형 방법이 될 수도 있고, 과목의 계열이 될 수도 있다.전자의 예로 논술 전형을 준비하는 학생은 윤리 관련 과목을 사탐 과목으로 정하는 것이 좋다. 인문 논술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윤리적 선택 상황 속에서 가치판단을 논하는 것이다.후자의 예로 들 수 있는 것은 동아시아사의 선택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사가 필수가 되면서 이와 연관된 동아시아사를 패키지 형태로 묶어서 공부하려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12월 말부터 이듬해 3윌 모의평가 전까지 예비고3들에게 9주 정도의 시간이 주어진다. 앞서 서술한 것처럼 그 시간이면 사회탐구 과목 중 최소 1과목은 처음부터 끝까지 보는 것이 가능하다. 3월 모의고사에서 고3 사회탐구의 범위는 전 범위이다. 먼저 출발하고 가속도를 붙이는데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한림입시학원권철현 원장 2016-12-22
- 복잡한 중학교 교육과정 “사회≠역사≠한국사” 자녀가 중학생이 되었을 때 학부모가 느끼는 감정 중 하나는 바로 어려움이다. 중학교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크게는 과목의 분화에서부터 작게는 단원의 구성까지, 커리큘럼이 세분화되고 내용이 전문성을 가지기 시작한다. 그나마 국/영/수 과목은 매학기 단계적으로 진행되고, 정보도 많기 때문에 비교적 혼동이 덜하지만, 사회/역사 과목은 매 학년, 매 학기 단위로 다른 내용이 적용되므로 혼란스러워 하는 학부모가 대다수이다. 그렇기에 자녀 교육에 큰 관심을 가져 온 학부모라도 혼자서 사회/역사 과목에 있어 적절한 시기, 적절한 대응을 하기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표1은 중학교 역사·사회 교육과정의 구성이다.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1학년-사회①”, “2학년-역사①”, “3학년-역사②, 사회②”를 가르친다. 물론 도곡중(사회①->2학년 진행)과 휘문중(사회②->2학년 진행) 같은 특이 케이스가 몇 학교 존재한다. 표2는 역사 과목의 단원별 교육 내용이다. 여기서 살펴 볼 수 있는 것은 두 가지이다. “역사①과 ② 모두 한국사와 세계사가 들어가 있다는 것”과 “①과 ②는 난이도가 아닌 시대의 차이 라는 것”이다.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단원 순서대로 수업하지만 언주중과 은성중 같이 한국사와 세계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표3는 사회 과목의 단원별 교육 내용이다. 사회 과목은 대단원이 10개 이상 존재하고, 각 단원별로 내용이 많이 다르다. 통칭 “사회”라고 부르는 과목 속에 사회·문화부터 지리, 경제까지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고, ①의 ②는 그러한 내용과 난이도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중학교 역사/사회는 초등학교부터 차분히 준비해오는 과목이 아니기 때문에 특별한 관심이 있지 않는 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하는 과목이다. 특히나 한자어로 된 어려운 개념어가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영어·수학 등 주요과목에서 뛰어난 학습 능력을 보여 오던 학생들도 흥미를 잃고 좋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초등학교가 공부를 시작하는 단계였다면 중학교는 공부의 기초와 습관을 확실하게 다지는 시기이다. 역사가 사회적으로도 교육과정 적으로도 중요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상위권을 준비하는 학생들이라면 지금 당장의 시간과 노력이 조금 더 들더라고, 교육과정이 진행되는 중학교 2, 3학년 시기에 꼼꼼하게 학습해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표1 : 중학교 역사·사회 교육 과정1학년2학년3학년역사x역사①역사②사회사회①x사회②▲ 가장 보편적인 구성이지만 도곡중(사회① - 2학년 진행)과휘문중(사회② - 2학년 진행) 같은 특이 케이스가 존재표2 : 역사 과목 단원별 교육 내용①②역사1~6단원 “한국사” : 선사시대~조선 후기7~9단원 “세계사” : 한국사 범위 시기의 세계사1~3단원 “한국사” : 개항 ~ .대한민국의 발전4~6단원 “세계사” : 한국사 범위 시기의 세계사▲ ①, ②와 단원을 “한국사·세계사와 시기”로 구별표3 : 사회 과목 단원별 교육 내용①②사회사회·문화①, 한국지리①, 세계지리① 법과 정치①, 경제①사회·문화②, 한국지리②, 세계지리② 법과 정치②, 경제②▲ ①, ②와 단원을 “내용과 난이도”로 구별이우성 강사에스원 사회전문학원 중등부 팀장02-554-1952 2016-12-10
- 사회탐구 과목 선택의 TIP! 고등학교 2학년이 되면 사회 선택과목을 선정하게 되고, 수능 역시 선택을 해서 시험을 보게 되는데 이때 학생들이나 학부모님들께 가장 많은 듣는 질문이 바로 ‘어떤 과목을 선택해야 하나요?’입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리라 생각되어 말씀드려 보겠습니다.자, 그럼 먼저 사회탐구 과목을 알아볼까요?우선 필수과목인 한국사가 있겠고 같은 역사 계열인 세계사와 동아시아사, 그리고 지리 계열인 한국지리와 세계지리, 윤리 계열인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일반 사회 계열인 사회문화, 법과 정치, 경제가 있습니다.이 많은 과목 중에 자기에게 맞는 과목을 고르기는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래도 간략하게 계열별로 설명드리자면, 역사는 대게 정직한 과목이라고 봅니다. 자기가 한만큼 점수가 나오고 안하면 안한만큼 나오지요 요행을 바라기 어려운 과목입니다. 지리는 가장 이과적 성향이 강한 과목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답이 명확하기 때문에 이과에서 문과로 전과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과목입니다. 윤리나 일반사회는 과목별로 차이가 조금 있겠으나 대체로 개념과 응용이 적절하게 조화되고 국어영역과 같은 문제도 나오기 때문에 문과적 성향이 강한 학생들이 유리하다고 보여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점을 고려해서 자신의 성향에 맞게 고르는 게 첫 번째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자신의 성향이 어떤지 확실히 모르겠다면 일단, 많은 학생들이 선택하는 과목을 시작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그것이 큰 변수를 줄이는 방법이며 1등급 확률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참고로 자신이 선택해서가 아닌 학교에서 수업한다는 이유로 응시자 수 낮은 과목을 선택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예컨대 경제같은 경우 1등급을 맞으려면 전국에서 300등 정도를 해야 합니다.)마지막으로 계열별로 묶어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생활과 윤리(생윤)와 윤리와 사상(윤사)를 같이 선택한다면 겹쳐지는 부분이 많아 공부량이 줄어들 수 있고 특히, 생윤의 최고난도 문제의 대부분이 윤사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지리계열과 역사계열 역시 마찬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이외에도 흥미와 점수 등등 학생들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겠지만 이와 같은 방법을 참고하셔서 과목을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아울러 예비 고2, 고3 학생들은 이번 겨울방학을 이용해서 과목을 선택하고 기본 개념정도는 완성해 놓는 것이 필수라고 생각됩니다. 학교에서 개학이후 배울 과목을 미리 준비해 놓는 것이 더욱 더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사탐만으로 원하는 대학에 갈순 없지만 사탐 한 등급 때문에 그 대학에 못 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윤영준 원장 2016-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