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
첫째, 학생부위주전형 교과(지역균형전형)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국/수/영/탐(1과목) 4개 영역 중 3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에서, 국/수/영/탐(1과목) 4개 영역 중 3개 영역 등급 합 8 및 한국사 4 이내로 완화된다. 계열별 수능 최저학력기준 선택과목 지정이 폐지된다. 또한, 교과 정성평가를 반영하여, 학생부 교과 100%에서 학생부 교과 90%에 교과 정성평가 10%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전형방법이 변경된다. 교과 정성평가는 학생부 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학업역량(학업성취도, 진로 및 전공 분야 탐구에 적합한 교과 이수 및 학습 등)을 평가할 예정이다.
둘째, 논술위주전형(논술전형)의 전형방법이 논술 70%, 학생부 교과 30%에서 논술 80%, 학생부 교과 20%로 논술 반영비율이 확대된다.
셋째, 정시모집 수능위주전형(일반전형)의 모든 계열에 반영 영역별 필수 응시과목(선택과목 지정)이 폐지된다. 인문계열은 사회탐구 2개 선택 시 변환표준점수에 3%, 자연계열은 과학탐구 2개 선택 시 변환표준점수에 3% 가산점을 부여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영역별 반영비율 및 반영점수도 변경된다. 특히, 사회/과학 탐구 영역 반영비율이 인문계열Ⅰ 15%, 인문계열Ⅱ 20%, 자연계열Ⅰ 20%, 자연계열Ⅱ 25%로 바뀐 점이 눈에 띈다.
■중앙대
첫째, 학생부종합전형(CAU융합형인재)이 서류 100%로 면접이 폐지됐지만, 2026학년도에 의학부는 1단계 서류 100%(5배수)/2단계 서류 70%, 면접 30%로 면접을 실시한다. 의학부 면접평가는 학업 준비도, 학교생활준비도, 의사소통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개인별 심층면접을 실시할 예정이다. CAU융합형인재전형에서 의학부를 제외한 나머지 모집단위는 서류 100%로 선발한다.
둘째, 수시모집 실기/실적(실기형) 공연영상창작학부(영화)는 국/수/영/탐 중 2개 합 6, 탐구는 상위 1개 반영, 한국사 필수 응시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도입된다.
셋째, 수시모집 실기/실적(실기형) 전체 학생부 반영비율이 학생부 20(교과 15, 비교과 5) 또는 학생부 100(교과 75, 비교과 25)으로 변경된다. 공연영상창작학부 문예창작의 정시모집 모집군이 나군에서 가군으로 옮긴다.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극(연기/뮤지컬 연기)은 실기고사 대면고사를 실시하고, 1단계 5배수를 선발한다. 공연영상창작학부 무용은 수시 미충원 정시 이월 선발 시 반영비율이 수능 30%, 실기 70%를 적용한다. 스포츠과학부(골프)는 선발 전형이 실기/실적(실기형)에서 실기/실적(특기형)으로 바뀐다. 스포츠과학부(체육특기)는 체육특기 단체 1단계 배수가 20배수에서 10배수로 바뀌며, 체육특기 단체 지원자격 세부요건도 변경된다.
넷째, 수시/정시 신입학 전체 전형에 대해 학생부 내 학교폭력조치사항이 반영되어, 호수별 차등 적용하며 감점 또는 부적격 처리된다.
■국민대
첫째, 수시모집 인문계열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되었다. 국/수/영/탐(상위 1과목) 4개 영역 중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에서, 국/수/영/탐(상위 1과목) 4개 영역 중 2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로 완화된다. 자연계열은 국/수/영/과탐(상위 1과목) 4개 영역 중 2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로 변경 사항이 없다.
둘째,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인 학교생활우수자 서류 100% 전형이 폐지되었다.
셋째, 수시모집 논술 100% 전형이 신설되어 230명을 선발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인문계열은 국/수/영/탐(상위 1과목) 4개 영역 중 2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 자연계열은 국/수/영/과탐(상위 1과목) 4개 영역 중 2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반영한다.
넷째,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 면접 평가방법이 입학사정관 3인과 수험생 1인의 개별 면접에서 입학사정관 2인과 수험생 1인의 개별 면접으로 변경되었다.
■한성대
첫째, 수시모집 학생부교과전형 교과우수전형(학생부 교과 100%)의 모집인원이 297명에서 265명으로 축소되었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주간 모집단위는 국/수/영/탐(상위 1과목) 4개 영역 중 2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 야간 모집단위는 국/수/영/탐(상위 1과목) 4개 영역 중 2개 영역 등급 합 8 이내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반영한다. 주·야간 모집단위 모두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탐구 과목으로 대체가 가능하다는 점이 눈에 띈다. 반영교과는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주/야),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주/야), 글로벌패션산업학부(주/야), 문학문화콘텐츠학과(주/야)는 국/영/수/사 상위 3개 과목 총 12과목, IT공과대학(주/야), AI응용학과(주/야), 융합보안학과(주), 미래모빌리티학과(주)는 국/영/수/과 상위 3개 과목 총 12과목, 상상력인재학부(주)는 국/영/수/사 또는 과 상위 3개 과목 총 12과목 성적을 반영한다.
둘째, 수시모집 학생부교과전형 지역균형전형(학생부 교과 100%)의 교과성적 산출 방법이 모집 계열별 국·영·수·사 또는 과(지정 반영)에서 모집 계열일괄 국·영·수·사·과(일괄 반영)으로 변경되었다. 즉, 국·영·수·사·과 계열 전 과목을 반영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반영하지 않는다.
셋째,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 한성인재전형(서류평가 100%) 모집인원이 257명에서 300명으로 확대되었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반영하지 않는다.
넷째, 정원 외 특성화고교졸업자,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일반학과)의 학생부종합전형(서류평가 100%, 수능최저학력 기준 없음)이 학생부교과전형(학생부 교과 100%, 수능최저학력 기준 없음)으로 변경되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