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대 논술 전형은 수능 최저가 없다. 수능 최저가 없는 대학 중 난이도가 가장 평범한 편에 속한다. (물론 논술준비를 철저히 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전체적으로 [문제 1]과 [문제 2]로 구성되어 있는데 모두 750자±50자이고 점수는 각각 50점이다.
한 문제당 제시문들이 새롭게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두 문제 사이의 연관성은 없다고 보아야 한다. 아마 [문제 1]은 인문계열에 해당하고 [문제 2]는 사회계열에 해당하는 문제라고 보면 된다. 문학작품이 나오기도 하고 도표나 그래프가 나오기도 한다. 각 문제당 제시문도 (가), (나), (다), (라)로 고정되어 있는데 길이가 길지 않아 독해하는 데 어려움은 없다. 그렇다면 무엇이 가장 관건일까? 논제분석이다.
이제 논제분석에 대해 살펴보겠다. 예시로 문제 하나를 그대로 써본다.
[문제 1] ㉠에 대해 (가)와 (다)의 관점을 대비시켜 서술하고, ㉢의 근거를 (나)의 내용을 활용하여 설명한 다음, ㉡의 주장을 (라)의 내용을 활용하여 비판하시오.
학생들은 문제를 읽을 때 너무 편하게 읽으려고 한다. 이 문제를 그냥 읽으면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있을까?
모든 논술문제가 그러하듯이 논제는 직접 손으로 써보아야 한다. 특히 광운대 문제에서 지시하는 ㉠, ㉡, ㉢은 제시문에서 찾아 직접 쓴 논제 밑에다 표기해 두고 천천히 분석하며 읽어야 한다. 그러면 이 문제는 이렇게 변신한다. [문제 1] 진리에 대해 (가)와 (다)의 관점을 대비시켜 서술하고, ‘사실과 가치를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를 (나)의 내용을 활용하여 설명한 다음, 오펜하이머의 다음과 같은 발언을 비판하시오. “내가 원자 폭탄을 만든 것은 사실이지만 원자폭탄의 사용에 관한 결정은 정치인이 내린 것이며, 나는 맡은 바 임무에 충실했을 뿐이다.”
제시문을 읽기 전에 제시문의 성격이나 내용에 대해 추론해 보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이런 추론 과정을 거쳐서 읽기라는 행위를 수행할 때 우리는 이러한 독해를 ‘능동적 독서’라고 부른다. 나의 추론은 맞을 수도 있고, 물론 틀릴 수도 있다. 둘 중 어느 경우라도 추론과 함께 제시문을 읽을 때면 가슴속엔 언제나 설레임이 함께 한다. 출제자가 묻고 있는 것을 나도 함께 궁금해 하면서 답을 찾아 나서게 되는 것이다.
진리에 대해 두 가지 관점이 서로 대비된다면 그 대비되는 기준은 도대체 무엇일까? 비교를 하려면 무엇보다 비교기준이 필요할 것인데, 제시문(가)와 (다)에서는 이 기준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이런 궁금증을 가지고 읽어보면 그 기준이 유용성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렇다면 이 ‘유용성’이라는 기준을 어떻게 서술하면 될까?
[문제 1]은 보다시피 출제자의 요구사항이 세 가지나 된다. 분량은 750자로 이를 3등분하면 각 요구 사항마다 250자 정도 써주면 되겠다. 보통 한 문장을 50자로 쓴다면 다섯 문장 정도 쓰면 될 거 같고, 그 중 한 문장은 비교기준을 제시하고 나머지 네 문장은 (가)와 (다)의 입장에서 각각 두 문장씩 나누어 쓴다. 이 두 문장도 세분하면 한 문장은 주장, 다음 문장은 그 주장에 대한 이유다. 가령, ‘제시문(가)는 유용성이라는 가치가 있는 것을 진리라고 주장한다. 실제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움을 줄 수 있을 때만 우리는 그것을 진리라고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제시문 (다)는 이와 대비시켜 서술하면 된다. ‘진리와 가치(유용성)의 판단은 분리되어야 한다. 과학자의 주관적인 감정이나 가치가 개입되면 객관적으로 타당한 진리를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은 두 번째 요구사항이다. 사실과 가치를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문(다)의 입장이라는 걸 알았다. 이제 제시문(나)에서 그 근거를 찾아 써 주어야 한다. 그런데 제시문(나)는 사실과 가치의 분리에 대한 내용이 아니고 과학 혁명에 관한 내용이다. 도대체 과학혁명과 사실과 가치의 구분이 무슨 상관인가? 과학은 시대적 패러다임에 의해 제한을 받기 때문에 새로운 진리가 등장하려면 혹독한 공격으로 희생을 치른 후에야 가능하다는 것이 그 이유다. 진리를 말하기 위해서는 희생이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이 패러다임의 지배 때문이고, 이때 패러다임은 기존의 가치관이나 사고방식을 뜻한다. 다시 말해 기존의 가치관이나 사고방식 때문에 새로운 진리를 말하기가 그토록 어렵다는 것이다. 이제는 왜 사실과 가치가 분리되어야 하는지 알게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다섯 문장정도 써주면 된다.
마지막 요구 사항은 오펜하이머의 발언이다. 원자폭탄을 만들어 놓고 자신은 책임이 없다고 주장한다. 과연 그러한가? 보통의 학생이라면 이러한 주장에 대해 비판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제시문이 있다. 제시문(라)에는 미래의 책임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아, 그렇구나. 이 사태에 대한 인과적 관계는 과거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앞으로 발생할 사태에 대한 것까지 미친다는 ‘미래의 책임’이라는 개념만 이해하면 오펜하이머의 발언을 비판하는 것은 쉬운 일이 된다
이 모든 답안이 논제분석에서 나왔다.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은 논술 전반에 적용되겠지만 특히 광운대에서 답안을 쓰기 위해서라면 매우 중요하다.
파주 운정 대입논술전문 스카이논술구술학원
김우인 원장
문의 031-949-1026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