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논술문제의 구성은 [문제1-1] [문제1-2] [문제2-1] [문제2-2]로 나뉘어 총 4문제가 출제된다. 수능 최저를 없애기 이전의 연세대 논술문제는 문제1과 문제2, 두 문제로 각각 1000자 내외씩 쓰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던 것이 각 문제를 둘로 나누어 글자 수가 다소 증가한 형태로 출제되고 있다. 특히 마지막 [문제2-2]는 수리문제라서 분량이 따로 제한되진 않지만 앞의 세 문제는 600자 내외로 글을 써야 한다.
그런데 총 4문제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그래서 수험생은 [문제1-1]를 답안지에 작성하고 그 다음으로 [문제1-2]를 답안지에 작성하고... 이런 식으로 순차적으로 답안을 완성해 간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이 문제들은 4문제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한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문제1-1]에서부터 [문제2-2]까지 모든 답안의 구성이 완성되면 그때서야 비로소 답안 작성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답안 작성은 단지 나의 머리와 연습지에 적어둔 메모를 채점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프린트’ 과정일 뿐이다. 그래서 개요 작성까지 거의 1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보통이다. 자신의 글쓰는 속도에 따라 개요 작성하는 시간을 이보다 더 늘릴 수는 있어도 줄여서는 곤란하다. 특히 [문제2-2] 수리문제를 다른 답안을 다 작성하고 마지막에 쓰겠다는 것은 이 문항을 그냥 백지인 상태로 제출하겠다는 꼼수로 보아야 한다.
우선 [문제 1-1]에 대해 살펴보자. 처음 실시하는 모의논술에서는 「제시문 <가>,<나>,<다>에 나타난 ‘글쓰기’와 ‘지식 발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비교, 분석하시오.」라는 형태로 나왔다. 그 이전에 꾸준히 출제했던 삼자비교 문제인데, 글자 수가 600자로 제한된 다음부터는 다른 형태로 나오기 시작했다. 가령 「제시문(나)에 나타난 합리성과 도덕성에 대한 관점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시문 (가)의 시의회 의원들과 (다)의 테러리스트들의 선택행위를 분석하시오.」처럼.
[문제1-1]에서는 영어 제시문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연세대가 스스로 밝혔듯이 영어실력을 평가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영어로 쓰인 글에 대한 논리적 문맥을 파악할 수 있는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래서 영어 제시문의 난이도는 평범하지만 논리적 사고력이 부족하면 영어를 아무리 잘 해도 내용파악이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영어는 잘 못해도 논리적 사고력이 풍부하면 제시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은 없다)
위에서 언급한 ‘글쓰기’와 ‘지식발전’의 관계에 대한 글을 비교할 때 수험생은 제시문을 조급한 마음으로 읽기보다 잠시 멈춰서 생각하는 습관을 가져야 할 것이다. 우선 이런 질문이 가능하다. ‘글쓰기가 지식발전에 도움이 될까?’ 도움이 된다는 견해가 있을 것이고,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견해가 있을 수 있다. 제시문을 살펴보면 (가)와 (다)가 이런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그러면 이게 전부일까? 출제자가 묻고 있는 것이 ‘글쓰기’니까 글쓰기만 살펴본다면 이는 단면사고를 하고 있는 것이다. 연세대가 요구하는 것은 다면사고다. 이 질문을 더 확장해야 한다. 그렇다면 글쓰기와 대립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을 ‘말하기’는 지식발전에 도움이 될까? 여기에 대한 대답도 제시문(가)와 (다)가 하고 있다. 글쓰기가 지식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가)의 입장에서는 말하기가 오히려 더 낫다고 주장하고 있고, 글쓰기가 지식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다)의 입장에서는 말하기는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를 하지 못하는 ‘수다’에 불과하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여기까지 와야 중간은 온 것이다.
이제 더 ‘멀리’ 사고해야 한다. 그렇다면 글쓰기와 말하기가 혼합된 형태는 없을까? 구술적 글쓰기나 글을 통한 대화 같은 거 말이다. 이런 글쓰기는 지식 발전에 도움이 될까? 이러한 질문에 직접 대답하고 있는 제시문이 바로 (나)다. 그런데 이 제시문이 영어로 되어 있다. 제시문을 읽기 전에 글쓰기와 말하기의 혼종까지 잠시라도 고민해 본 학생이라면 영어로 제시된 (나)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겠지만 이런 ‘번잡한’ 사고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제시문을 읽은 학생이라면 제시문에서 말하는 논지를 놓치기 쉬울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합리성과 도덕성의 문제도 마찬가지다. 이 문제는 자살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나왔는데, 우리는 상식적으로 자살이 도덕적으로 옳지 못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그러한가? 자살을 꼭 도덕적인 관점에서만 보아야 하는가? 다른 관점은 없는가? 이런 질문들이 가능한데 이 질문에 대한 대답도 영어로 된 제시문이 하고 있다. 그래서 제시문을 이해하기 전에 먼저 논제를 통해 출제자가 요구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잠시라도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어디까지 논제의 질문을 확장할 수 있는가? 질문하는 습관은 영어로 된 제시문의 논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600자 내외라는 공간 안에서 출제자가 요구하는 논제에 대한 답을 충실히 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논제를 통해 넌지시 암시된 질문을 저 멀리까지 확장할 수 있는 능력, 이 능력을 연세대는 ‘다면사고’라고 부르고 있다. (다음 호에 계속)
파주 운정 대입논술전문 스카이논술구술학원
김우인 원장
문의 031-949-1026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