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지식이 많으면 독해에 도움이 된다고들 한다. 배경 지식이 있다면 독해가 더 쉬워지고, 그래서 독서가 재미있고, 그러다 보면 지식이 더 느는 선순환을 생각하면 된다.
그렇지만 독서 활동이 부족하다고 비문학 독해를 할 수 없다면 수능은 남의 얘기가 되고 만다. 필자는 배경 지식이 없어도 독해가 충분히 가능함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례로, 과학이나 윤리지식으로 지문을 대충 훑고 풀었다는 학생들이 있다. 또한 자신의 지식으로 문제를 풀다가 틀리고, 하소연을 하는 경우도 종종 본다. 우리 학원은 이때 따끔하게 일러 주는 말이 있다. ‘국어는 글 안의 지식을 이해하여 푸는 것이다.’라고 말이다.
국어의 지문은 어떤 면에서 지식을 단순화한 것이다. 수능 경제 지문을 보고 주식 전문가들이나 경제학자들이 지문에서 제시된 이론은 오류가 있다고 말하는 상황을 보면 충분히 짐작해 볼만한 일이다. 따라서 비문학 독해에서 전문 서적을 읽는 것과 같은 지식은 필요 없다.
비문학 지문은 의외로 친절하다. 단어, 구, 절, 문장, 문단 단위는 뚝뚝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글은 숲에서 나무로 가고, 나무에서 다시 숲으로 가는 일이다. 전체적인 글의 구조와 전개방식을 보는 것은 숲의 모양을 보는 것이다. 거기서 더 들어가면 숲의 한 지점을 보는 것이다. 그것이 각 문단의 중심 내용(소주제)을 찾는 일이다. 그리고 더 들어가서 나무 하나하나(세부내용)가 중심 내용인 한 지점과 연결되는 바를 꼼꼼하게 따진다. 그런 다음 다시 나와서 한 지점을 떠올리며 다른 문단의 지점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전체 숲하고는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되짚어 본다. 글이 단선적으로 위에서 아래로만 내려가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글을 제대로 대하는 모습이 아니다. 글은 계속적인 피드백을 요구한다.
요컨대 글은 글로 읽는 것이다. 어쭙잖은 지식을 활용하거나, 자신의 배경 지식으로 이미 단정하고 보기 전에 ‘사실 독해’를 통해 ‘脈’을 파악하기를 바란다.
김종훈 원장
국어연구소맥
문의 031-411-9545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