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7080, 메고 다니는 것만으로도 젊음의 상징이었던 기타 열풍이 목5동 주부들 사이에 불어 닥쳤다. 요즘 최고 인기 드라마 주제곡에서부터 흘러간 노래까지 장르를 불문하고 연주 삼매경에 빠진 이들, 노래를 전파하는 ‘희망 바이러스’ 회원들을 만났다.
통기타로 7080 추억 소환
지난 2월 3일 금요일 오후 2시, 목5동 주민센터 지하 2층 회의실에서는 잔잔한 기타 선율에 맞춰 노랫소리가 흘러나온다. “아무리 우겨 봐도 어쩔 수 없네. 저기 개똥무덤이 내 집일 걸…” 흘러간 옛 노래에 서로 다른 파트가 만나 아름다운 화음을 이루는 이들은 목5동 주부들의 기타 연주모임 희망바이러스다.
희망바이러스는 3년 6개월 전, 목5동 주민자치센터의 평생학습 프로그램인 기타연주반 수업을 듣던 수강생들이 남아서 연습을 하다 동아리로 발전했다. 안종애 회장을 비롯해 윤미영 총무, 주서영, 최길수, 원영희, 노화숙, 남경심, 김순주, 신정윤, 현의경씨 등 회원 10명으로 구성된 4050 세대들이다. 연습은 매주 월요일과 금요일 오후 1시부터 4~5시간을 투자한다. 특히 금요일은 회원들에게 온종일 기타만 연주하는 특별한 날이다. 오전엔 연주 실력을 키우기 위해 양천녹색환경교육센터 고종원 강사에게 수업을 함께 듣고 오후 1시부터 목5동 주민센터 지하로 자리를 옮겨 연주 삼매경에 빠진다.
이들이 주로 연주하는 곡은 7080세대가 좋아할만한 흘러간 노래로 ‘개똥벌레’ ‘바닷가의 추억’ ‘바람이 불어오는’ 등이다. 때로는 트로트, 동요 등 원하는 곡은 무엇이든지 장단을 맞춘다. 여기에 노래실력까지 업그레이드돼 명실공이 희망을 연주하는 곳이 됐다.
안종애 희망바이러스 회장은 “어려운 사람들에게 노래로 희망을 전하고 싶다”며 “먼저 회원들 각자가 기타를 연주하며 즐겁게 노래를 부르고 이 즐거운 마음이 듣는 사람들에게 그대로 전달된다면 모두가 즐거울 거 같아 희망바이러스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소개한다.
동아리발표회 등 초청공연 잇따라
이들이 처음 무대에 오른 건 파리공원에서 열린 양천구 동아리 발표회 자리였다. 야외무대라는 특성상 그동안 연습한 기량을 모두 보여줄 수 없어 아쉬웠지만 열정만큼은 전달돼 이후 초청 공연이 이어졌다. 이제 희망바이러스 회원들은 해마다 열리는 주민자치센터 행사, 노인대학 초청공연, 파리공원 벼룩시장행사, 파리공원 축제, 5단지 동네축제 등 앞 다퉈 공연 요청이 쇄도한다.
기타 경연대회라도 열리면 참가하고 싶지만 내로라할만한 실력을 갖춘 프로가 아니라 기타를 좋아하는 아마추어 모임이기 때문에 회원들은 연말에 작은 콘서트장이라도 빌려 정기발표회를 열고 싶은 작은 소망이 있다. 윤미영 총무는 “기타와 사랑에 빠진 우리 회원들을 위해 연말마다 정기 발표회를 열어주고 싶다”며 “잘 해내야 한다는 두려움만 극복하면 가능할 것 같다”고 덧붙인다.
기타, 삶의 1순위
희망바이러스 회원들에게 이제 기타는 이제 1순위가 됐다. 최길수 회원은 “10년 넘게 골프를 쳤는데 시합을 포기하고 공연에 나올 만큼 기타가 1순위가 됐다”고 전한다. 신정윤 회원은 “큰아들이 대학가면서 기타를 샀는데 안 쓰길래 재활용하는 입장에서 배우기 시작했다”며 “배우는 것이 낯설어 기타를 정복할 수 있을까 염려했지만 반복해서 연습하다보니 실력이 늘어났고 이제 욕심이 생겨 나이가 들어서도 놓지 않고 싶은 악기가 됐다”고 전한다. 원영희 회원은 “해금은 몇 년을 배웠는데 멜로디만 맞추다 기타는 들인 공에 비해 반응도 빠르니 재능이 있는 거 같았다”며 “애정과 노력만 있다면 누구나 배울 수 있는 게 기타의 매력”이라고 전한다.
추억을 자극하는 통기타로 잠든 감성을 깨운 희망바이러스 회원들, 조만간 가족들을 위한 작은 무대를 꿈꾸며 즐거움과 희망을 전달하고 싶다고 덧붙인다.
미니 인터뷰
안종애 회장
“아가씨 때 쓰던 기타를 간직하다 주민센터에서 기타 강습을 보고 참여하게 됐습니다. 나이가 들어간다는 건 아이들도 다 크고 외롭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기타가 빈자리를 채워줍니다. 엄마가 기타를 치면 가족들이 노래를 같이 불러줄 때 즐거워요.”
윤미영 총무
“남편이 치려고 사둔 기타가 먼지만 쌓이자 남편에게 떠밀려 주민센터 기타교실을 찾았어요. 하지만 이제 기타의 마력에 빠져 집에 혼자 있을 때 연습하고 연습이 없는 날은 동아리방에 혼자 찾아와 연습할 만큼 기타와 사랑에 빠진 것 같아요.”
남경심 회원
“주민센터 기타교실에서 기초를 쉽게 가르쳐줘 배우기가 좋았어요. 남편이랑 같이 시작했는데 남편은 시간이 안 돼 못하고 저 혼자 연주하고 있습니다. 기타를 치면 맞춰 노래를 불러 줄 때 희열을 느끼는데 남편이 적극적으로 장단을 맞춰줍니다.”
노화숙 회원
“먼저 기타를 배운 친구가 권유해 시작하게 됐어요. 혼자였다면 그만뒀을 텐데 회원들이 모르는 것은 짚어주고 이끌어주어 지금까지 오게 됐습니다. 공연 때는 촬영도 해주고 새 기타를 사주는 등 연주를 적극적으로 밀어주는 남편 때문에 기타가 더 좋아졌어요.”
주서영 회원
“20대 때 기타를 많이 연주했죠. 그동안 잊어버리고 있다 다시 악기를 잡으니 어디서 용기가 생겼는지 도전하는 즐거움에 스스로를 잘했다고 칭찬합니다. 가정에서 희생하며 살다 이제 모든 포커스를 기타에 맞춰 남은 인생 기타가 가장 좋은 친구가 됐습니다.”
김순주 회원
“빙판길에서 넘어져 꼼짝없이 한 달 동안 집안에 누워있는데 아랫집에서 기타소리가 들렸어요. 감미로운 소리에 기타에 관심을 갖게 됐고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가시간을 활용해보자는 생각에서 시작했는데 어느새 삶의 일부가 돼 버렸습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