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2017학년도 경기 자유학년제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경기 자유학년제’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1년 동안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토론과 실습 등의 학생 참여형 수업을 통해 진로탐색과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제도이다.
경기도교육청에서는 학부모 간담회와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결과, 업무 담당자 워크숍, 설문조사 및 모니터링 등을 통해 자유학기제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왔다. 그 결과 자유학기의 단절화 우려,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확대 등 자유학기제 성과 확산을 요구하는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자유학년제 시행을 결정했다고 한다.
시험 부담 벗고 ‘꿈과 끼’ 가꾸는 기회로
경기 자유학년제는 중학교 1학년 기간 동안 ‘자유학기’와 ‘연계자유학기’로 운영한다. 1학년 때는 지필시험 형태의 총괄 평가를 폐지하고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로 시험을 치르게 된다. 고입 내신 성적에 교과활동 영역은 미반영하고, 학교생활기록부는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성장과 발달 정도를 문장으로 기록한다.
‘자유학기’는 기존 자유학기제의 교육과정, 수업과 평가 혁신, 자유학기 활동 등을 동일하게 운영하며, ‘연계자유학기’는 교육과정 편성 지침 내에서 교과와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운영한다. 또한 교과 수업에서 평가 혁신을 위해 주제 선택 활동은 필수로 하고 수행평가 100%를 실시하며, 창의적 체험 활동은 자유학기의 활동과 연계한다. 운영 학기는 학교장이 교직원과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해 중학교 1학년 중 자유학기와 연계자유학기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경기도교육청 목용숙 교육과정정책과장은 “경기 자유학년제는 학생들이 시험 부담을 벗고 마음껏 꿈과 끼를 가꾸는 기회”라며 “수업과 평가 혁신 및 학생 선택권을 존중하는 자유학기활동으로 중학교 교육과정의 개선은 물론 미래 역량 중심의 교육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