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가경동 시외터미널 인근에 발산 공원이 있는데 이곳을 예전에는 발산리라 불렀고 인근에 발산저수지가 있었다. 그리고 청주시 상당구 사천동에도 ‘발산리((鉢山里)’를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발산리라는 지명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지명에 대해 주민들은 한자 표기 뜻에 현혹되어 엉뚱한 해석을 하는 경우가 많다. ‘발(鉢)’이 중이 먹는 밥그릇이라는 의미의 ‘바랑’이므로 지형이 바랑처럼 생겼다거나 주변에 발산사(鉢山寺)라는 절이 있었던 것으로 유추(청주시 사천동 발산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앞의 호에서 비상리(飛上里)와 비하리(飛下里)가 ‘벼랑’에서 연유했음을 이야기한 바 있는데 ‘발산’이라는 지명도 ‘벼랑’에서 나온 것이다.
‘바랑’이라는 것은 원래 ‘낭떠러지’, ‘경사가 심한 지형인 벼랑’을 가리키는 말이다. 청원군 내수읍 비상리에 있는 ‘바랑골’, 청원군 부용면 문곡리에 있는 ‘바랑골’, 미원면 금관리에 있는 ‘바랑골’ 등이 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곳 주민들이 ‘지형이 바랑처럼 생겨서 바랑골이라고 한다’는 것으로 보아 ‘벼랑’의 의미가 ‘바랑’으로 소리가 변하면서 자연스럽게 ‘중의 밥그릇’을 의미하는 ‘바랑’으로 해석하여 한자로는 ‘발산(鉢山)’으로 표기하게 된 것이다.
청원군 내수읍 도원리 ‘벼락산’의 경우는 주민들이 벼락이 쳐서 산이 갈라져 벼락산이라 한다지만 벼랑의 지형으로 보아 산 한쪽이 벼랑처럼 경사가 심하므로 ‘벼랑산’이 원래 지명일 것이다. 또 내수읍 비중리 ‘벼락바위’, 기암리 ‘벼락바위’, 옥산면 동림리 ‘벼락바위’, 내수읍 형동리의 ‘베락바위’도 벼락맞은 바위라고 하지만 이 역시 한쪽의 경사가 심한 ‘벼랑바위’임이 분명할 것이다. 오창읍 성재리의 ‘벼락고개’도 ‘벼랑’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벼랑이 벼락으로 불리는 지명은 이밖에도 많이 있다. 오창읍 송대리에는 벼락맞은 바위라는 ‘벼락바위’가 있는데 벼락바위가 있는 산을 ‘벼락바위산’이라고 하고 벼락바위 옆에 있는 들을 ‘비렁물들’이라고 하는데 ‘벼락’이 ‘비렁’으로도 불리움을 알 수 있다.
오창읍 가곡리 ‘비룡산’과 기암리의 ‘비룡산’은 지형이 비룡승천형(飛龍昇天形)이라 하지만 내가 사는 지명을 좋은 의미로 해석하고자 하는 억지일 수밖에 없으며 역시 산의 지형이 벼랑을 이루는 ‘벼랑산’이 원래의 지명일 것이다.
이와같이 지명에서 ‘벼랑’의 변화를 음운학적으로 살펴보면 벼랑의 고어인 ‘벼?’가 모음이 축약되어 ‘별’(별星의 의미로 유추하는 계기가 됨)로 모음이 ㅜ로 바뀌면서 ‘벼루’로(벼루는 硯과 혼동하여 엉뚱한 표기를 낳게 됨), ‘벼루’가 ‘비리’→‘비루’→‘베루’→‘베레’, ‘비알’이 ‘바랑’→‘비랭이’→‘빙에’→‘빙이’로 그리고 ‘비렁뱅이’로까지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앞의 호에서 비상리(飛上里)와 비하리(飛下里)가 ‘벼랑’에서 연유했음을 이야기한 바 있는데 ‘발산’이라는 지명도 ‘벼랑’에서 나온 것이다.
‘바랑’이라는 것은 원래 ‘낭떠러지’, ‘경사가 심한 지형인 벼랑’을 가리키는 말이다. 청원군 내수읍 비상리에 있는 ‘바랑골’, 청원군 부용면 문곡리에 있는 ‘바랑골’, 미원면 금관리에 있는 ‘바랑골’ 등이 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곳 주민들이 ‘지형이 바랑처럼 생겨서 바랑골이라고 한다’는 것으로 보아 ‘벼랑’의 의미가 ‘바랑’으로 소리가 변하면서 자연스럽게 ‘중의 밥그릇’을 의미하는 ‘바랑’으로 해석하여 한자로는 ‘발산(鉢山)’으로 표기하게 된 것이다.
청원군 내수읍 도원리 ‘벼락산’의 경우는 주민들이 벼락이 쳐서 산이 갈라져 벼락산이라 한다지만 벼랑의 지형으로 보아 산 한쪽이 벼랑처럼 경사가 심하므로 ‘벼랑산’이 원래 지명일 것이다. 또 내수읍 비중리 ‘벼락바위’, 기암리 ‘벼락바위’, 옥산면 동림리 ‘벼락바위’, 내수읍 형동리의 ‘베락바위’도 벼락맞은 바위라고 하지만 이 역시 한쪽의 경사가 심한 ‘벼랑바위’임이 분명할 것이다. 오창읍 성재리의 ‘벼락고개’도 ‘벼랑’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벼랑이 벼락으로 불리는 지명은 이밖에도 많이 있다. 오창읍 송대리에는 벼락맞은 바위라는 ‘벼락바위’가 있는데 벼락바위가 있는 산을 ‘벼락바위산’이라고 하고 벼락바위 옆에 있는 들을 ‘비렁물들’이라고 하는데 ‘벼락’이 ‘비렁’으로도 불리움을 알 수 있다.
오창읍 가곡리 ‘비룡산’과 기암리의 ‘비룡산’은 지형이 비룡승천형(飛龍昇天形)이라 하지만 내가 사는 지명을 좋은 의미로 해석하고자 하는 억지일 수밖에 없으며 역시 산의 지형이 벼랑을 이루는 ‘벼랑산’이 원래의 지명일 것이다.
이와같이 지명에서 ‘벼랑’의 변화를 음운학적으로 살펴보면 벼랑의 고어인 ‘벼?’가 모음이 축약되어 ‘별’(별星의 의미로 유추하는 계기가 됨)로 모음이 ㅜ로 바뀌면서 ‘벼루’로(벼루는 硯과 혼동하여 엉뚱한 표기를 낳게 됨), ‘벼루’가 ‘비리’→‘비루’→‘베루’→‘베레’, ‘비알’이 ‘바랑’→‘비랭이’→‘빙에’→‘빙이’로 그리고 ‘비렁뱅이’로까지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