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함께 길을 걷다 빅이슈 판매원을 만난 적이 있다. 눈에 띄는 피켓 아래 서서 큰 소리로 잡지를 팔고 있는 모습을 보며 아이는 그가 누군지 궁금해 했다. 아이가 선입견을 갖지 않도록 내가 알고 있는 선에서 빅이슈라는 잡지와 노숙인들의 자활에 대한 의지를 설명해줬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였다. 나는 잡지를 살 용기도, 판매원에게 다가가 말 한마디 건넬 용기도 내지 못했다. 몇 달 후 그렇게 지나쳤던 빅이슈 판매원을 다시 떠올리게 하는 기회가 생겼다.
2013 부천시민영상축제 2관왕
지난해 12월 부천영상미디어센터에서는 ‘2013 부천시민영상축제’를 진행했다. 센터에서 지난 1년간 진행한 미디어교육 결과물과 서울·경인 지역의 시민영상 제작물 등 총 126편의 공모작이 경쟁했다.
이 중 전성연 감독이 만든 <아저씨>는 전문가가 뽑은 최우수 작품상과 축제에 참여했던 시민들이 뽑은 관객상 등 2관왕을 수상했다. 또, 방송통신위원회가 주최한 ‘2013 시청자 참여프로그램 공모전’에서도 우수상을 받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전성연 감독은 지난해 5월 부천영상미디어센터에서 진행한 ‘끝장다큐 제작교실’의 교육생 출신으로 이번 작품이 첫 연출작이다. 자신이 다니는 이화여대 부근 신촌 굴다리에서 빅이슈를 판매하고 있는 아저씨를 만나 친해지는 과정을 담았다. 대학생과 노숙자와의 이야기를 다룬 단편 다큐멘터리 작품 <아저씨>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Q. 부천영상미디어센터 끝장다큐 제작교실에 참여한 계기가 궁금합니다.
A. 지난해 3월 ‘인디다큐페스티발’이라고 하는 영화제에서 자원 활동을 했었어요. 부스를 정리하다가 운명적으로 끝장다큐 제작교실에 관한 팸플릿을 발견했죠. 평소 독립영화, 특히 다큐멘터리 장르에 관심이 많았거든요. 그 동안 영화제에 관객으로 참여하거나 자원 활동가 같은 스태프로 일했을 때 정말 재미있었어요. 그래서 직접 다큐멘터리를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했죠.
Q. ‘아저씨’의 기획의도와 전반적인 작품 소개 부탁합니다.
A. 제 작품의 제목이자 주인공인 ‘아저씨’는 과거에 노숙했던 경험이 있는 분이에요. 그러던 어느 날 빅이슈라고 하는 홈리스 자활잡지를 만나 그것을 팔며 자립에 도전하시죠.
사실 제가 평소 눈물이 많은 편이에요. 사람들이 울거나 힘든 모습을 보이면 같이 울기도 하고, 누군가 불쌍해서 울기도 하고요. 이런 제 자신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게 될 즈음 빅이슈를 판매하는 아저씨를 주의 깊이 보게 됐어요. 평소 빅이슈를 자주 샀거든요. 그 아저씨를 바라보는 제 시선과 아저씨와 저 개인의 관계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됐어요. 처음에는 그저 불쌍한 홈리스로만 생각되었던 분이 내게 일상적인 아저씨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영화에 담겨 있어요.
Q. 감독님에게 있어 다큐멘터리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A. 세상의 일은 정말 무수한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잖아요. 어디로 흘러갈지 아무도 몰라요. 모든 것이 제가 계획하고 고집한다고 해서 그대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첫 작품을 통해서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카메라를 들기 전부터, 제 영화 이후까지도 현실은 계속된다는 걸 느꼈어요. 덕분에 함부로 오만하게 이야기하지 않고 그 앞에서 더욱 더 겸손해져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됐고요. 사실 이렇게 내려놓는 자세는 아직도 더 많이 필요한 것 같아요.
또, 저는 세상에 질문을 던지고, 그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며 함께 고민하고 싶어요. 다큐멘터리는 극영화와 다르게 대부분 놓여 있는 그대로의 것을 찍어요. 진솔하게 ‘지켜본’ 상황과 마음 깊이 ‘들어준’ 인터뷰이의 말 하나하나를 사람들에게 선보인다는 것이 다큐멘터리의 큰 매력이자 힘인 것 같아요. 사람들이 저와 함께 보고 듣고 고민할 수 있잖아요. 그래서 저는 사람들과 함께 제 다큐멘터리를 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 정말 좋아요.
Q. 개인적인 계획과 추후 작품에 대한 계획이 궁금합니다.
A. 올해 2월 대학 졸업하고, 3월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과정으로 입학해 본격적으로 다큐멘터리 공부를 할 예정이에요. 그 곳에서 다큐멘터리스트의 꿈을 향해 계속 나아가야죠. 그리고 지난해부터 아는 것과 행동이 일치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부쩍 들어요. 그 일환으로 올해부터 채식에 도전하고 있어요. 다음 작품은 아마도 이와 관련하여 채식, 환경, 생각-행동의 관계를 그려내는 작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요.
장경선 리포터 sunny0822@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