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학년도 대입 수시전형에서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은 모두 33개 대학 1만6849명으로 이는 2013학년도에 비해 2개 대학, 1725명이 증가한 수치다.
수시가 대세인 2014년 대학입시, 어떤 대비가 필요할까? 한국 대학의 현주소와 논술 대비법에 대해 논술 입시 지도 18년 베테랑 강사인 이성구 논술학원의 이성구 원장에게 그 해답을 들어봤다.
우수한 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명문대학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대학의 현 상황과 상관이 있을 듯하다.
-연세대가 신촌을 두고 서울에서 한참 떨어진 송도 지역에 본교의 일부를 세우고, 뉴욕대학이 이미 인천 송도에 캠퍼스를 만들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신자유주의가 교육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이미 지방의 몇몇 대학(경북 외국어 대학, 서남대 등)은 자진 폐교를 신청할 정도로 대학 재정 자립의 안전망이 무너졌다. 그 첫 번째 이유는 ‘저출산 사회’로의 진입을 들 수 있다. 2013년을 전후로 1년에 서울의 고등학교 학생 수가 1만 명씩 줄어들게 된다. 둘째는 외국의 명문대가 한국 교육 시장을 넘보고 있는 상황이다. 셋째로는 최상위권 학생들의 상당수가 고교 시절부터 외국 대학 진학을 목표로 공부한다는 점이다. 이제 세계적으로 많은 대학들이 우수한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자본주의 시장경쟁의 원리 속으로 뛰어 들었다.
그래서 국내 명문대들의 우수학생 유치 전쟁 또한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대학의 입장에서는 지금까지 우수한 학생들이 대학의 문을 두드렸던 과거의 입시 잔치는 끝난 것이다. 왜 명문대들이 우수한 학생들을 모으기 위해 입시 설명회 전국 투어 공연을 하고 명문 사립대 입학 처장들이 직접 특목고나 강남, 송파, 서초 지역의 고등학교에 방문하여 입시 설명회를 하는지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우수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한 대학들의 전형 요강 변화는?
-입시 설명회를 위해 입시 분석을 하다보면 각 대학의 입학처가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치밀하고 은밀한 전형 요강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형태가 ‘수시’ 중심의 입시 요강이다. 연세대와 고려대가 수시를 통해 무려 80% 가까이를 선발하자 예전에 서울대를 지원할 가능성이 높은 우수한 학생들이 연세대, 고려대의 인기학과에 입학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그래서 서울대도 이제 수시 전형에서 83%의 학생을 선발한다.
둘째, 내신의 실질 반영률을 낮추고 논술과 구술 면접 그리고 스펙을 중심으로 선발한다. 현재 한국의 입시에 있어서의 가장 큰 오해가 내신에 대한 이해다. 상당수가 내신이 입시에 당락을 가르는 전형요소인 줄 이해하고 있지만 실제 내신의 변별력은 극히 낮다. 정시는 1등급과 5등급의 차이가 입시 전체 전형 요소 중 1점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수시는 명문대 합격생 평균이 2.5등급이고 5~6등급이 명문대 합격 커트라인이다. 내신 전형 요소에 기본점수를 만점에 가깝도록 준 다음 등급 간의 격차를 아주 미세하게 한 다음 논술이나 구술에 변별력을 강하게 하면 우수한 학생은 쉽게 선발할 수 있다. 그런데 아직도 내신 등급제를 운운하는 것은 참 황당한 일이다.
입시 전체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고 전략을 짜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지금 대학입시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논술, 구술이다. 그래서 학습량은 논술·구술, 수능, 내신 순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 내신, 수능 순위고 논술은 하지도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참 잘못된 전략이다.
셋째 본고사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논술·구술의 난이도를 높여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는 방법이다. 현재 학생들의 독서력은 아주 낮은데 논술 수준은 매우 높다. 논술 강의한지 20년이 되었지만 아직도 대입 논술 고사를 풀면 상당한 시간이 요구될 정도로 어려운 문제가 많다. 그리고 실제 논술 강사들 중에서도 오답을 만드는 경우가 허다하다. 논술이나 구술에서 만점을 받는 학생은 절대 있을 수 없다. 합격생 평균 점수가 60점대다.
논술의 난도가 높아진다는 데 논술의 출제경향은?
-우수 학생을 걸러내기 위해 문과 논술 문제의 난도를 높이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제시문 자체의 내용이 아주 학술적이고 난해한 지문을 주고 수험생의 독서력을 평가한다. 다음으로 제시문 자체는 쉽지만 내용이 전혀 다른 제시문을 주고 그 제시문 간의 관계를 제대로 분석할 수 있는 높은 사고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셋째 방법은 딜레마적인 상황을 주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높은 배경지식을 통해 답안을 작성해야 하는 방법이다. 독서량을 묻는 방식이다. 이렇게 출제되는 이유는 논술 고사를 잘 보는 학생들이 대부분 대학의 성적도 좋다는 대학 교수들이 평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2014 논술 대비 어떻게 해야 하나?
-문과 학생들은 무엇보다 독서를 많이 해야 한다. 이때 독서 삼매경이 아닌 ‘비판적 독서’를 해야 한다. ‘백설 공주’를 읽었다고 논술을 잘 보는 것이 아니라 ‘왜 백설 공주는 반팔만 입는지’ ‘백설 공주는 왜 난장이에게 의지하고 사는지’ ‘왕자의 키스가 아닌 자신의 의지로 왜 일어나지 못하는지’등의 비판적 사고를 가져야 한다. 논술은 단순한 작문이 아니다. 논술을 작문 수준으로 오해하는 부분은 강사들 중에서도 있다. 고3이라면 정평 있는 기관의 도움을 받아야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중학생이나 고등 저학년은 비판적 독서력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박지윤 리포터 dddodo@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