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일 둘러 본다고 얼마나 배웠겠습니까. 다만 협동조합이 지역공동체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는 것은 확실히 알고 왔습니다."
김완주(사진) 전북도지사는 최근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다녀왔다. 유럽의 협동조합을 통해 전북형 협동조합 설립 가능성을 찾기 위해서다. 김 지사는 ''삶의 질''을 도정 핵심과제로 선정한 배경부터 설명했다. "기업을 유치했는데 종업원들이 이사를 안 와요. 교육과 문화수준을 들고 있습니다. 제대로 된 목욕탕도 없고, 영화관도 없는 지역으로 이사를 가야 한다고 생각하면 나부터도 답답하겠죠. 기존 주민들은 어떻겠습니까. 최소한의 시설도 없는 지역에서 보편적 복지는 남의 나라 이야기로 들릴 밖에…"
줄기를 따라가다 보니 지역경제 선순환 문제가 불거졌다고 한다. 자립의 틀을 갖추지 못한 지역에서 삶의 질은 말의 성찬에 불과할 뿐이다. "유통과정의 개혁 없이는 농촌활로가 열리지 않는다고 입버릇처럼 말하는데 대기업이 장악한 유통시장과 견줄 수 있는 장치가 뭐가 있느냐 말이죠" 협동조합에 천착한 이유다. 마침 분야와 무관하게 조합을 설립할 수 있는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고 대기업 의존도를 낮추는 지역경제 자립요소로 조합운동이 주목받고 있는 시점이다.
김 지사는 프랑스 노르망디 사과조합과 이탈리아 그라나롤로 낙농조합 등 대표적인 유럽 협동조합 10여 곳을 찾았다. 이탈리아 볼로냐대학 스테파노 자마니 교수에게선 유수의 기업이 자빠지는 경제위기에서도 협동조합에 기반한 기업들이 건실하게 버틸 수 있었던 배경을 들었다. 이탈리아 한 협동조합 조합원에게서 ''협동조합은 우리가 사는 길''이라는 답을 듣고 감탄했다고 했다.
정부나 지자체의 재정지원이 끊기면 문을 닫는 사회적기업이나, 이익 분배를 놓고 갈등을 빚기 일쑤인 지역공동체를 경험한 그에겐 의외의 대답이었다. 그는 "협동조합에 근거한 지역공동체가 무너지면 개인의 터전이 사라진다는 공동체의식이 자리잡고 있었다"면서 "유럽의 사례를 바로 접목하긴 어렵지만 충분한 사전조사를 거쳐 전북형 협동조합을 육성하는 방안을 찾겠다"라고 말했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