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신체는 더우면 땀을 흘려 체온을 낮추고 스스로 변화에 대응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맞춰 여성이 임신을 했을 때는 후반기에 확장되는 자궁을 관절이 무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릴렉신’ 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 호르몬으로 인해 전신의 뼈와 힘줄을 포함한 관절이 확장되어 유연해지는데 보통 출산 후, 2~3개월이 지나야 원상태로 돌아온다. 이때, 벌어진 관절이나 피부 속으로 풍(風), 한(寒), 습(濕)이 흡수되어 제대로 회복하지 못하면 산후풍(산후관절통) 증상이 나타난다.
출산 후, 몸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무리하지 않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아기를 돌봐야 하는 산모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다. 건강하던 산모도 몇 달 동안 모유 수유를 하느라 손목과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이로 인해 산후풍(산후관절통)이 나타날 수 있다.
관절이 아프고 몸에 찬 기운이 돌기도하고 때론 시리거나 저린 감각장애가 나타나기도 한다. 땀을 많이 흘릴 때도 있고, 피로나 우울증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이럴땐 가만히 누워있는 것보다는 걷기운동을 하는 것이 출산 후 생길 수 있는 변비, 혈전증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장시간 같은 자세로 있는 것을 피하고 아기를 안을 때 역시 양쪽 팔을 번갈아 사용하며 힘을 최대한 분산시켜야 한다. 수시로 스트레칭을 하되 걸레를 짜거나 설거지를 하는 집안일은 삼가는 것이 좋다.
냉장고에서 막 꺼낸 물이나 과일은 바깥에 잠시 꺼내두었다가 상온과 비슷한 온도가 되었을 때 섭취하고 면소재의 옷을 입고 면이불을 사용하는 것도 산모에게는 필수다.
산후풍은 어떠한 검사를 해도 인체 내 이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여성 본인만이 고통을 느끼는 외로운 질환이다. 대부분의 산모들이 산후풍으로 극심한 고통을 겪어도 아이 돌보는데 바빠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관절과 주위 신경들이 약해져 퇴행성관절염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풍부한 영양섭취와 단계적인 운동으로 서서히 몸을 움직이고 항상 청결을 유지하며 풍한(風寒)과 같은 외부 냉기를 최대한 차단해야 한다. 산후풍 증상이 심할 때에는 연골과 연조직과 동일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산후관절보약으로 약해진 관절을 회복시키면서 단단하게 관절이 자리 잡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일산 튼튼마디한의원 이인 원장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