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0~2세 전면 무상보육정책에 대한 현장의 반응은 가정의 소득 격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어린이집은 거점 지역에 따라 희비가 엇갈렸다.
대기업 직원이 입주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산의 한 아파트 내 ㅌ어린이집 원감은 “정책 발표와 동시에 입소 문의가 폭주해 평년의 서너 배에 해당하는 아이들이 대기자 명단에 올라와 있다”며 “어린이집 수요 대비 원아 공급 과잉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 아파트 단지의 입주민들 대부분은 가정의 소득 수준이 상위 30%에 해당한다.
반면 소득 하위 70%가 분포된 거점의 어린이집은 ‘원생 감소’라는 위기상황에 처했다.
이 지역의 ㄱ어린이집 원장은 “정책이 발표된 후에도 평년보다 입소 문의가 폭증하진 않았다”며 “오히려 기존에 지원 대상이던 가정의 엄마들이 아이를 원에 보내지 않고 집에 데리고 있으면서 양육비를 지원 받는 쪽으로 마음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번 정책에 대해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은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주부 김 모씨는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건 안보내건 보육료나 양육비용을 육아바우처 형식으로 지원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백 모씨는 “바우처의 용도는 베이비시터를 고용하거나 볼 일이 있을 때 아이를 잠시 맡길 수 있는 탁아 시설 이용 등으로 사용처를 한정하자”며 “양육 수당이 다른 의도로 사용될 경우의 수를 배제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밖에 직장 내 탁아시설 의무화, 육아 휴직 기간 연장, 시간제 탁아 시설확대 등 그동안 꾸준히 제기돼 오던 문제들을 이번 기회에 정착시키자는 목소리도 높았다.
지남주 리포터 biskette@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