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부쩍 늘어난 학교폭력 관련 자극적인 피해 소식들. 연일 터져 나오는 학생과 학생 간의 학교폭력. 대체 그 이유를 어디에서부터 찾아 어떻게 해소해야 답이 나올까. 학교 현장에서 학교폭력 관련 생활 지도를 해오고 있는 원미초 남원호 교사를 만났다.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 뒤에 숨은 사회폭력현상
학교폭력에 대한 안타까움은 올해로 교사생활 21년째인 남원호 교사도 마찬가지다. 남 교사는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학교폭력 관련 상담과 예방, 치유 프로그램을 직접 도입해 운영 중이다. 그는 현재 ‘새로운학교모임‘과 ’교육희망네트워크‘ 회원이자 부천시내 새내기학부모연수 강사로 활동 중이다. 그런 그가 느끼는 학교폭력의 원인이 무엇인지 먼저 궁금하다.
“학교폭력은 여러 원인 중에서도 사회와 국가폭력현상과 따로 떼어서 보기 힘들다. 아이들은 어른들의 모습을 보고 자란다. 그간의 학교폭력이 마치 가해자와 피해자 혹은 학교란 특수 상황의 문제로 비춰지지만 사실은 우리 사회의 집단폭력과 왕따, 금품갈취, 권력과 소수자와의 관계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왔다.”
그는 국가와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학교란 집단과 분리하기란 현실적으로 힘들다고 말한다. 그간의 학교교육 비중이 입시와 직업인을 위한 인재양성에 치중한 반면, 인간에 대한 배려와 신뢰를 훈련하고 배우는 과정의 부족도 그 이유 중 하나다.
오늘의 가해자가 내일의 피해자가 되는 학교폭력 고리
남 교사는 수년 째 고학년 담임을 맡고 있다. 요즘 초등 고학년들은 학부모들 세대의 초등생 수준을 넘어선다. 아이들은 휴대폰과 인터넷, 각종 카페 등 어른 사회를 한눈에 담을 수 있는 각종 정보통신 매체들을 갖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우월한 힘을 갖는 집단이 생겨난다. 소위 일진에 속하는 아이들은 정보는 물론 공부에서 앞서기도 한다. 여기에 예능과 옷맵시도 또래보다 우월하다. 그런 일진 그룹이 선후배 라인으로 이어지는 것이 학교폭력의 암묵적인 온상 중 하나이다.”
문제는 특정 그룹이 개인에게 가해지는 지속적인 괴롭힘과 따돌림이다. 초등학교에서 폭력양상은 미미하거나 혹은 있어도 아이들이 깊이 인지하지 못한다. 학교폭력이 중학생들 사이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청소년기에 성장한 자아의식으로 인한 자존감 상실이다.
남 교사는 “폭력과 관련해서 학생들과 상담을 해보면 올해의 가해학생이 그 이듬해에는 피해 학생 자리에 서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학교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폭력의 대상이 되는 셈이다. 따라서 자녀의 하찮은 하소연이나 학교에서 벌어진 이야기를 무심코 흘려버리지 말아야 한다”고 권했다.
‘끝까지 너의 편이 되어준다’는 신뢰관계
남 교사는 학교폭력의 대안은 그 원인 찾기만큼이나 쉬운 일이 아님을 강조한다. 그런 전제에도 불구하고 학교와 교사, 그리고 가정의 역할은 중요하다. 즉 교사나 부모는 아이들의 심리 상태와 생각을 파악하기 위해 신뢰관계를 쌓아야 한다는 얘기.
“아이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남에게 피해를 주는지, 반대로 뭔가로 부터 괴로움에 처했는지를 짐작할 수가 있다. 반면 ‘좀 그러다 말겠지’, ‘애들 사이에 그럴 수도 있지’, ‘신경 쓰지 말고 공부나 해’ 식으로 지나치면 폭력 관련 신호를 놓치게 된다.”
남 교사의 경험에 따르면 학교폭력 시 아이들은 그 심각성을 어떤 형태로든 부모나 교사에게 SOS로 표시한다. 이때 학부모나 교사는 ‘어떤 일이 있어도 너의 편이 되어 줄게’란 신뢰관계를 유지해야 해결 고리를 잡을 수 있다. 그 고리를 상실할 때 가해학생은 방치되고 피해학생은 더더욱 버틸 힘을 잃게 된다.
어른들이 더 많은 아이들의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상담기법도 필요하다. 또 가해정도가 심한 경우 치료와 지속적인 상담프로그램도 있어야 한다. 여기에 학습과 기능중심의 교육과정에서 인간 존중과 신뢰를 경험하는 예술과 스포츠 등의 교육과정도 더 현재로서는 더 필요하다.
김정미 리포터 jacall3@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