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해킹 컴퓨터 찾는 건 시간문제"
기무사의 민간인 불법 사찰사건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에서 해킹한 범인들을 잡을 수 있는 단서인 유동 아이피(IP) 주소가 밝혀졌다. 유동IP 주소와 해킹시간까지 확보돼 범죄에 사용된 컴퓨터의 위치를 찾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지난달 5일 조선대 기 모 교수의 고소장에 따르면 8월 29일 기 교수의 컴퓨터에 접속을 시도한 유동IP 주소는 ''183.98.204.158''이고, 접속시간은 ''13시 55분 57초''로 밝혀졌다. 두 번째 침투한 지난달 1일의 주소는 ''222.107.70.35''였다.
이같은 기록은 해킹을 의심한 기 교수의 의뢰에 따라 조선대학교 전산원이 찾아냈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IP주소가 수시로 바뀌는 유동IP라 할지라도 주소와 접속시간이 확보돼 있으면 문제의 컴퓨터를 찾는 것은 시간문제"라면서 "수사기관이 정식으로 요청해야 관련자료를 넘겨줄 수 있다"고 밝혔다.
조선대 교수 해킹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이같은 유동IP 주소를 근거로 8월 29일과 지난달 1일의 해킹 컴퓨터가 서울 송파구 잠실지역 일대에 위치한 것으로 파악했다. 지난달 2일 범행에 사용된 컴퓨터의 고정IP 주소 ''118.220.69.24(25)''를 근거로 광주시 북구 소재 PC방을 찾아냈다.
한 컴퓨터 전문가는 "자신을 숨기고 범죄를 저지르겠다는 의도에서 유동IP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광주보다 서울의 범인들이 더 치밀한 것 같다"면서 "그러나 IP주소와 접속시간이 노출되면 범행 위치를 숨길 수 없다"고 밝혔다.
또 해킹 혐의로 조사받고 있는 광주지역 기무부대 소속 군무원 김 모(35)씨와 중사 장 모(35)씨가 서울 해커들과 긴밀히 연계를 갖고 범행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정황이 발견되고 있다.
기 교수의 계정을 도용해 웹하드에서 해킹한 자료를 보면 지난달 1일은 유동IP를 이용해 인명자료 10여건을 빼내갔고, 다음날인 2일에는 광주시 북구 소재 PC방 컴퓨터의 고정IP를 통해 논문자료 등 700여건을 도둑질했다.
동일한 교수의 동일한 웹하드를 대상으로 지난달 1일은 서울지역, 2일은 광주지역에서 해킹한 것이다. 기무사 간부 김씨와 장씨는 2일 광주지역 해킹은 자백했지만, 1일 유동IP를 이용한 서울지역에서의 범죄는 완강히 부인하고 있다.
지난달 15일 사건을 이첩받은 육군 31사단 헌병대는 기무사 간부 2명을 상대로 조사를 벌여 기 교수가 1987년 국보법 위반 전력이 있고 현역 군인들에게 강의를 하고 있어 불법적으로 사찰을 벌였다는 자백을 받아냈다.
불구속 상태로 조사받고 있는 김씨와 장씨는 지난달 2일 광주지역 PC방에서 해킹한 사실을 시인했지만, 8월 29일과 지난달 1일 서울지역 해킹은 부인하고 있다.
한편, 국회 국정감사를 하루 앞둔 6일 기무사령부 이봉엽 참모장은 국회 국방위 소속 여야 의원들을 일일이 접촉하며 "죄송하다"고 사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장기 기자 hjk30@naeil.com
기무사의 민간인 불법 사찰사건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에서 해킹한 범인들을 잡을 수 있는 단서인 유동 아이피(IP) 주소가 밝혀졌다. 유동IP 주소와 해킹시간까지 확보돼 범죄에 사용된 컴퓨터의 위치를 찾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지난달 5일 조선대 기 모 교수의 고소장에 따르면 8월 29일 기 교수의 컴퓨터에 접속을 시도한 유동IP 주소는 ''183.98.204.158''이고, 접속시간은 ''13시 55분 57초''로 밝혀졌다. 두 번째 침투한 지난달 1일의 주소는 ''222.107.70.35''였다.
이같은 기록은 해킹을 의심한 기 교수의 의뢰에 따라 조선대학교 전산원이 찾아냈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IP주소가 수시로 바뀌는 유동IP라 할지라도 주소와 접속시간이 확보돼 있으면 문제의 컴퓨터를 찾는 것은 시간문제"라면서 "수사기관이 정식으로 요청해야 관련자료를 넘겨줄 수 있다"고 밝혔다.
조선대 교수 해킹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이같은 유동IP 주소를 근거로 8월 29일과 지난달 1일의 해킹 컴퓨터가 서울 송파구 잠실지역 일대에 위치한 것으로 파악했다. 지난달 2일 범행에 사용된 컴퓨터의 고정IP 주소 ''118.220.69.24(25)''를 근거로 광주시 북구 소재 PC방을 찾아냈다.
한 컴퓨터 전문가는 "자신을 숨기고 범죄를 저지르겠다는 의도에서 유동IP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광주보다 서울의 범인들이 더 치밀한 것 같다"면서 "그러나 IP주소와 접속시간이 노출되면 범행 위치를 숨길 수 없다"고 밝혔다.
또 해킹 혐의로 조사받고 있는 광주지역 기무부대 소속 군무원 김 모(35)씨와 중사 장 모(35)씨가 서울 해커들과 긴밀히 연계를 갖고 범행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정황이 발견되고 있다.
기 교수의 계정을 도용해 웹하드에서 해킹한 자료를 보면 지난달 1일은 유동IP를 이용해 인명자료 10여건을 빼내갔고, 다음날인 2일에는 광주시 북구 소재 PC방 컴퓨터의 고정IP를 통해 논문자료 등 700여건을 도둑질했다.
동일한 교수의 동일한 웹하드를 대상으로 지난달 1일은 서울지역, 2일은 광주지역에서 해킹한 것이다. 기무사 간부 김씨와 장씨는 2일 광주지역 해킹은 자백했지만, 1일 유동IP를 이용한 서울지역에서의 범죄는 완강히 부인하고 있다.
지난달 15일 사건을 이첩받은 육군 31사단 헌병대는 기무사 간부 2명을 상대로 조사를 벌여 기 교수가 1987년 국보법 위반 전력이 있고 현역 군인들에게 강의를 하고 있어 불법적으로 사찰을 벌였다는 자백을 받아냈다.
불구속 상태로 조사받고 있는 김씨와 장씨는 지난달 2일 광주지역 PC방에서 해킹한 사실을 시인했지만, 8월 29일과 지난달 1일 서울지역 해킹은 부인하고 있다.
한편, 국회 국정감사를 하루 앞둔 6일 기무사령부 이봉엽 참모장은 국회 국방위 소속 여야 의원들을 일일이 접촉하며 "죄송하다"고 사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장기 기자 hjk30@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