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소를 운영하는 김 모(52세)씨는 약 2년 전부터 시작된 오른쪽 팔꿈치 통증으로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처음에는 일을 많이 하고 난 뒤 통증이 발생하였고, 쉬고 나면 호전되어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나 통증이 발생하는 횟수와 강도가 증가하고 특히 취침 시 통증이 심해져 병원을 찾았다.
김씨의 진단명은 주관절 외상과염. 팔꿈치 바깥 튀어나온 뼈 주변을 누르면 심한 통증이 발생하여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다.
팔꿈치의 외측에 튀어 나온 뼈에는 손목과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이 많이 붙어 있는데, 이 부위의 힘줄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팔꿈치 외측에 염증과 함께 힘줄이 뼈에서 떨어지거나 힘줄의 내부에 미세한 파열이 발생하여 통증이 생기는 것이다. 또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 경우 반복된 충격에 의해 점점 팔꿈치 힘줄부위가 점점 닳아서 파열되게 된다. 결국 증상이 악화되어 일상생활조차 힘들어지며, 반대편 팔을 그만큼 과사용하게 되어 새로운 테니스 엘보를 만드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테니스 엘보는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직장인이나 학생, 주부, 요리사, 연주자, 목수, 농부 등 손가락과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에게 흔히 발생한다.
치료는 파열된 힘줄의 회복을 위해 통증과 염증을 완화시키는 것이 우선이다. 가장 먼저 의식적으로 아픈 팔 사용을 자제하면서 약 3~4주간 쉬는 것이 좋다. 또한 팔꿈치 보조기를 시행하는 것도 도움을 주며, 이온 삼투치료 등 물리치료를 함께 하는 것도 증상을 호전시킨다.
문제는 현실 속에서 팔을 쓰지 않기란 쉽지 않다는 점이다. 활동적인 생산 활동을 해야 하는 현대인들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그래서 빠른 효과를 기대하는 환자들과 적지 않은 수의 의사들은 극적으로 통증을 호전시킬 수 있는 스테로이드와 같은 국소주사를 선호하기도 한다.
그러나 스테로이드는 무혈성 괴사, 쿠싱 증후군 등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다음호에 이어서)
마디손 정형외과
김동규 원장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