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학 손잡고 만경-동진강 유역관리
새만금 수질을 놓고 정부와 치열하게 부딪혔던 시민·환경단체가 지자체와 손잡고 새만금 살리기에 나섰다. 전북도와 전북의 환경·시민단체, 도의회, 새만금 상류 7개 시·군은 28일 ''전라북도강살리기추진단''을 출범시켰다. 민·관이 손잡고 거버넌스(협치·協治)로 새만금 담수호의 원천인 만경·동진강을 되살리자는 취지다.
광역자치단체가 강 살리기를 테마로 민-관-학 거버넌스를 구축한 것은 전북도가 처음이다. 전북도의회는 지난해 12월 ''강 살리기 조례''를 제정해 추진단 출범의 기초를 마련했다.
추진단은 앞으로 전주천,고산천·익산천·용암천·탑천·정읍천·원평천·고부천까지 만경·동진강 10개 지류에서 올 상반기 지역 민·관 네트워크 구성을 마칠 계획이다. 네트워크마다 시·군과 시민·환경단체, 전문가들이 모여 지역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강 살리기 시책과 대안들을 마련해 적용할 계획이다.
추진단 출범은 새만금 수질오염의 계통과 맞닿아 있다. 만경·동진강 오염물질의 60%가 특정 유입지점이 정해지지 않는 비점 오염원인 만큼 주변관리가 필수적이다. 빗물이 깨끗한 논·밭을 통해 하천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수질 개선의 기본 과제인 셈이다. 이는 친환경농업으로 이어지고 여기에 걸맞는 마을 조직과 소비자 단체가 손을 잡아야 성과를 낼 수 있는 구조이다.
정부는 새만금의 수질을 ''적극적인 친수활동''이 가능한 수준으로 정하고 2020년까지 약 4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자체와 정부가 제 아무리 많은 돈을 들인다 해도 하천과 강을 끼고 사는 주민들의 도움 없이는 성공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부산 대포천(주민 자율관리), 공주 유구천(1사 1하천), 대구 신천(사회적 일자리) 일본 비와호와 스미다강 등 국내외 수질 개선의 성공 모델들을 둘러보고 얻은 결론이다.
김완주 전북도지사는 "새만금사업의 열쇠는 수질관리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면서 "투자가 제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주민 참여가 필수인 만큼, 주민이 주체로 나서는 시책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시군의 주요 하천중 문제가 있는 하천부터 시작하고, 궁극적으로는 강 살리기 활동을 도내 전 지역의 실개천으로까지 확대해 낼 방침이라고 했다.
추진단은 우선 만경·동진강 유역을 시작으로 활동을 시작, 전북의 모든 하천 유역으로 넓혀갈 계획이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