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가면 갑자기 모든 과목이 어려워진다. 고등학교 교과 수준이 높아지기도 하지만, 중학교 때 기본만 다지고 심화과정을 충분히 파고들지 않으면 중급 이상 실력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학교에서 내신관리를 철저히 함과 동시에 고등학교 내신 및 수능을 대비해 한층 심화된 공부를 해둬야 한다. 중고등 교육을 총괄하는 학원에서는 중학교 1학년 공부를 하면서 같이 준비해야 할 것으로 무엇을 꼽을까?
국어는 중학생들이 주로 교과서에 실리는 지문을 중심으로 공부한다. 따라서 내년에 새로 나올 국어교과서(8차 교육과정)에 어떤 지문이 실릴지 중요하고, 관심도 높다.
G1230 화정캠퍼스 강문석 원장은 “국어의 문학은 개별 작품을 최대한 많이 익히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그것보다 어떤 작품이든 감상해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비문학은 독해의 원리를 배워 글을 구조적으로 볼 줄 아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다독과 함께 읽은 책의 내용을 어떤 형태로든 정리하는 과정을 꼭 거쳐야 한다”고 말한다.
한편 중학교 국어 교육의 종합적인 지향점이 ‘수능’이 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벼리국어 마명운 강사는 “이전 교과서(7차)가 지문을 중심으로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를 중요하게 다뤘다면, 개정되는 새 교과서(8차)는 주어진 과제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라는 해결과정 자체에 무게를 둘 것”이라며 “중등교육과정은 고등교육과정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영어는 영어 환경에 얼마나 많이 노출되었느냐에 따라 개인차가 크게 벌어지는 과목이다.
G1230의 김경희 원장은 “학교 시험은 교과서에서 90%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교과서와 프린트만 해도 내신성적은 95점 이상 받을 수 있다”며 “그러나 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에 4가지 영역을 고루 잘 하도록 평소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한다. 김 원장은 ‘하루에 영어 지문 하나씩을 정해서 반복해서 듣고, 읽고, 외워서 써 보는 활동’, 즉 ‘통문장 암기’를 권한다. 영어의 경우, 수능과 이후 사회생활을 생각하면, 내신을 넘어서 4가지 영역을 체계적으로, 단계를 높여가며 공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수학은 초등학교에서 배운 내용이 중학교에서 심화되고, 중학교에서 새로 배운 내용이 고등학교에서 심화되는 ‘단계별 학습’이다.
박동일 송수학 부원장은 “과도한 선행은 금물”이라며 “선행의 의미를 해당 학년이 되었을 때 심화문제를 풀기 위한 준비로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문제집은 기본개념을 잡는 것과 모의고사식 문제집 2권을 가지고 공부하되, 유형학습보다는 원리학습에 더 치중해야 한다. 수학공포증이 있는 학생은 수학교과서와 익힘책만이라도 충분히 풀고 문제집도 80%는 정답이 보이는 쉬운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과학은 하나의 교과서 안에 지구과학, 물리, 화학, 생물이 모두 포함된다. 특히 학생들이 힘들어하는 물리, 화학은 2학년에 올라가면서 갑자기 어려워진다.
최영 과학의 최영 원장은 “과학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내용이 반복되는데, 고등학교가 조금 더 깊게 배운다고 보면 된다”며 “수능시험이 철저히 원리위주로 나오기 때문에, 중학교부터 원리를 철저히 알고 넘어가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요즘은 학교에서도 과학 시험이 어려워지고 있어서, 평소 학교 선생님의 이야기를 잘 들어 교과과정 밖에 있는 내용을 설명할 때는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
사회는 중학교 1학년 때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를 배운다. 감돌역사교실의 김종국 전임강사는 “1학년 때는 지도와 친해져야 한다. 방학 때 여행을 가면 지도를 보고 목적지로 가는 법을 익히고, 평소에는 지구본을 놓고 파리의 동경, 서경을 알아보거나, 국기보고 국가를 찾는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초등학교 사회과 부도를 버리지 않고 참고해도 좋다. 학년이 올라가면 역사를 배우게 되는데, 지리로 ‘공간이해’를 충분히 한 후 역사의 ‘시간 이해’를 하면 자연스럽게 학습이 되어 공부가 한층 재밌어진다.
서지혜 리포터 sergilove00@daum.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국어는 중학생들이 주로 교과서에 실리는 지문을 중심으로 공부한다. 따라서 내년에 새로 나올 국어교과서(8차 교육과정)에 어떤 지문이 실릴지 중요하고, 관심도 높다.
G1230 화정캠퍼스 강문석 원장은 “국어의 문학은 개별 작품을 최대한 많이 익히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그것보다 어떤 작품이든 감상해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비문학은 독해의 원리를 배워 글을 구조적으로 볼 줄 아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다독과 함께 읽은 책의 내용을 어떤 형태로든 정리하는 과정을 꼭 거쳐야 한다”고 말한다.
한편 중학교 국어 교육의 종합적인 지향점이 ‘수능’이 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벼리국어 마명운 강사는 “이전 교과서(7차)가 지문을 중심으로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를 중요하게 다뤘다면, 개정되는 새 교과서(8차)는 주어진 과제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라는 해결과정 자체에 무게를 둘 것”이라며 “중등교육과정은 고등교육과정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영어는 영어 환경에 얼마나 많이 노출되었느냐에 따라 개인차가 크게 벌어지는 과목이다.
G1230의 김경희 원장은 “학교 시험은 교과서에서 90%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교과서와 프린트만 해도 내신성적은 95점 이상 받을 수 있다”며 “그러나 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에 4가지 영역을 고루 잘 하도록 평소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한다. 김 원장은 ‘하루에 영어 지문 하나씩을 정해서 반복해서 듣고, 읽고, 외워서 써 보는 활동’, 즉 ‘통문장 암기’를 권한다. 영어의 경우, 수능과 이후 사회생활을 생각하면, 내신을 넘어서 4가지 영역을 체계적으로, 단계를 높여가며 공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수학은 초등학교에서 배운 내용이 중학교에서 심화되고, 중학교에서 새로 배운 내용이 고등학교에서 심화되는 ‘단계별 학습’이다.
박동일 송수학 부원장은 “과도한 선행은 금물”이라며 “선행의 의미를 해당 학년이 되었을 때 심화문제를 풀기 위한 준비로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문제집은 기본개념을 잡는 것과 모의고사식 문제집 2권을 가지고 공부하되, 유형학습보다는 원리학습에 더 치중해야 한다. 수학공포증이 있는 학생은 수학교과서와 익힘책만이라도 충분히 풀고 문제집도 80%는 정답이 보이는 쉬운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과학은 하나의 교과서 안에 지구과학, 물리, 화학, 생물이 모두 포함된다. 특히 학생들이 힘들어하는 물리, 화학은 2학년에 올라가면서 갑자기 어려워진다.
최영 과학의 최영 원장은 “과학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내용이 반복되는데, 고등학교가 조금 더 깊게 배운다고 보면 된다”며 “수능시험이 철저히 원리위주로 나오기 때문에, 중학교부터 원리를 철저히 알고 넘어가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요즘은 학교에서도 과학 시험이 어려워지고 있어서, 평소 학교 선생님의 이야기를 잘 들어 교과과정 밖에 있는 내용을 설명할 때는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
사회는 중학교 1학년 때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를 배운다. 감돌역사교실의 김종국 전임강사는 “1학년 때는 지도와 친해져야 한다. 방학 때 여행을 가면 지도를 보고 목적지로 가는 법을 익히고, 평소에는 지구본을 놓고 파리의 동경, 서경을 알아보거나, 국기보고 국가를 찾는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초등학교 사회과 부도를 버리지 않고 참고해도 좋다. 학년이 올라가면 역사를 배우게 되는데, 지리로 ‘공간이해’를 충분히 한 후 역사의 ‘시간 이해’를 하면 자연스럽게 학습이 되어 공부가 한층 재밌어진다.
서지혜 리포터 sergilove00@daum.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