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와 우려를 한몸에 받았던 경의선 복선 전철이 개통된 지 두 달. 마포 상암DMC(옛 성산역)와 문산을 잇는 경의선 전철은 하루 150회 운행한다. 1시간에 1대 꼴로 다니던 전철을 이제는 10~15분 기다리면 탈 수 있게 된 것이다. 주민들을 경의선 개통으로 생활이 많이 편리해졌다고 말한다. 개통 두 달 동안 코레일이 집계한 이용객은 하루 평균 3만9000여명으로 통근열차 운행 때보다 2.8배 늘어났으며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개통 전, 철도노조는 경의선 구간이 전방위적으로 부실공사라고 지적하며 개통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철도노조는 “상암DMC~문산간 40.6km 궤도 사이의 간격이 기준에 맞지 않는 곳과 선로 뒤틀림 현상 등1000여 곳에 문제가 나타났다”며 “승객 안전이 우려된다”고 발표해 이용자들을 긴장 시켰다.(본지 788호 보도) 경의선 전철은 당초 내년 1월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6월 말부터 시작되는 파주신도시 입주를 앞두고 6개월 앞당겨 7월 1일 성산~문산 간이 먼저 개통됐다. 공기를 단축하느라 부실공사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게 철도노조의 지적이었다.
철도는 개통 됐고, 경의선 전철은 달리고 있다. 경의선은 안전할까. 철도 안전문제를 제기했던 철도노조의 장해철 시설국장과 함께 경의선 구간을 점검해 봤다.
지난 9월 4일 오전. 대곡역사 안으로 상·하행선 전철이 10~15분 간격으로 오고 간다. 철길 위에서 인부들이 선로를 보수하고, 한쪽에서는 자갈을 까는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대곡역에는 4개 레일이 설치 돼야 하는데 현재는 2개 선로만 개통 됐고 나머지는 선로 공사가 한창이다.
장해철 국장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궤도공사마감기준을 충족한 선로를 우리 철도공사에게 넘겨줘야 하는데 제대로 완공도 안 된 상태에서 넘겨줬다. 공사가 제대로 진행되고 개통해도 유지보수는 있게 마련이지만, 지금은 시급한 보수 구간이 많아 경의선 전 구간에 걸쳐 굉장히 어수선한 모습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 국장의 이런 지적에 대해 한국철도시설공단 건설본부의 답변을 들어보았다. 광역철도처 토목 담당자의 말이다.
“개통 전에 철도노조가 지적한 선로문제는 궤도 검측을 해서 대부분 보완했다. 승용차를 운전하다가 도로 표면 이상이 있으면 운전자는 바로 느낌으로 알지 않느냐. 기차도 마찬가지다. 선로에 이상이 있으면 승객들이 승차감에 문제가 있다고 느낄 정도가 된다. 헌데 이상이 있다는 보고는 받지 못했다. 경의선 전철은 수도권 어느 구간 전철보다도 승차감이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비 많이 내릴 때 대비한 조치도 보강해야
곡산역으로 가는 중 백송마을 7단지 앞. 경의선 3공구 현장 인근에 흙이 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란 비닐 덮개가 포착됐다. 이런 모습은 경의선 구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금릉역 철로 바로 옆으로는 비로 쓸려 내려가는 걸 막기 위한 파란 비닐 덮개가 단단히 마무리 돼 있는 모양이 보였다. 장 국장은 “지난 여름에 비가 많이 올 때 노반(철길이 놓인 땅)이 흘러 내렸다. 자칫 노반이 붕괴되면 선로가 무너질 수 있어 조치를 해 놓은 것”이라며 “선로로 스며드는 물, 배수로를 만들거나 둑 쌓는 것처럼 블록 돌을 쌓아야 한다”고 했다.
문산 방향으로 향하면서 만나게 되는 풍산역, 백마역, 일산역은 모두 역 광장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다. 풍산역 지나 일산역 가는 철로 주변에는 기차가 다니는 옆으로 건축 자재가 잔뜩 쌓여 있다. 일산역 부근은 아파트 공사와 맞물려 철로 주변 상황이 아주 복잡했다.
때마침 선로 안전 점검에 나선 철도 직원들을 만났다. 매월 4일 실시하는 안전의 날 합동점검에 나선 일산역 박종철 역장은 “개통 당시 문제가 됐던 일산역 하자 보수는 이제 거의 다 마무리 됐다”고 말한다.
전철 역사는 한창 공사중
일산역은 개통 이후 하루 7000여 명이 이용한다. 예전 2000~3000명이 이용하던 것에서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박 역장은 “출·퇴근 시간대에도 이용객이 많지만 평일 낮시간에 이용하는 사람도 많다”고 전한다.
일산역 안으로 들어가 보았다. 개통 당시 물이 새던 발매기는 깔끔하게 고쳐졌는데, 승강장 공사는 아직도 진행중이었다. 일산역 직원은 “8월말까지 공사를 끝내주기로 했는데 아직 안 된 상태”라고 했다.
일산역 주변 광장 공사도 마무리 되지 않았다. 일산역 뒤편(구일산쪽)에는 진·출입로 공사를 12월 21일까지 완료하겠다는 펼침막이 걸려 있었다.
경의선 전철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개통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이용객들은 불편하다. 경의선 구간 곳곳의 전철 역사가 깔끔하게 단장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장해철 국장과 함께 돌아본 역사 주변은 파헤쳐진 흙바닥과 곳곳에 쌓인 자재, 철제 가드레일 등으로 어지러운 모습을 하고 있었다.
가장 심한 곳은 파주 운정역과 금릉역. 승객들은 임시역사를 이용하고, 옆으로는 본역사를 짓는 공사가 진행중이다. 운정역에서는 육중한 철근 구조물 아래 할머니 3명이 위태롭게 앉아 있는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금릉역은 전철이 다니는 동안에도 윗층 공사가 한창인데, 안전 철망이 제대로 설치 돼 있지 않았다. 승객 안전이 우려스럽다는 기자의 지적에 금릉역 직원은 “비계 설치를 끝냈으니 안전망도 곧 설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매일 금릉역을 이용한다는 주민 김모씨는 “다른 역은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됐던데 우리 동네 역만 공사소리가 시끄럽고 소음도 너무 심해 불편하다”고 말했다.
역사 공사가 더딘 이유에 대해 한국철도시설공단 수도권본부 이종건 차장은 “운정역과 금릉역은 수탁 사업이어서 역사 공사 자체가 늦게 시작 된 것”이라며 “2010년 6월 말까지 완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차장은 “고양 구간의 화전·능곡·곡산·백마·풍산·일산·탄현역은 주차장과 광장 조경 공사가 진행중인데 모두 10월말이면 끝낼 수 있다. 다만 일산역 동측 광장은 추가로 광장 조성 요청이 들어와서 국토부가 사업 실시 계획 승인을 내주면 바로 공사를 진행해 연말까지 마무리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운정 건널목 인근 보수 안 돼
철근 뼈대 공사가 한창 진행중인 운정역을 나와 금릉역으로 향하던 중 선로 이상을 발견했다. 운정 건널목에서 약 300미터 떨어진 곳(문산쪽 선로)의 철길이 약간 내려앉고 휘어 있었던 것.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장 국장은 “저런 상태에서 KTX가 시속 300킬로미터로 지나갈 경우 휘어진 부분에서 하늘로 튀어오를 것”이라며 “경의선 전철은 시속 90~100킬로미터로 KTX만큼 빠르지 않은 게 천만다행”이라고 했다.
수도권 선로를 담당하는 철도시설공단 수도권본부 현경탁 과장은 “자갈 궤도는 열차가 레일을 타게 되면 동적으로 움직이니까 충격이 가해지면서 변형이 온다. 그래서 자갈 궤도는 끊임없이 보수해야 하는 것”이라며 “자갈 궤도에 변형이 왔다고 해서 안전에 문제 있는 게 아니”라고 언급했다.
현 과장은 “기자가 언급한 문산 쪽 선로는 3년 여 이상 운행 하던 선로이므로 별 문제 없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라며 “자갈 궤도의 특성을 알면 그 정도 발생하는 문제는 크게 염려할 것 없다”고 덧붙였다.
개통 두 달을 맞아 점검해본 경의선은 건설 담당자인 철도공단의 말을 종합해 보면 ‘안전’에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인터뷰에 응한 공단 관계자들은 “개통 전에 시민들이 좀 불안했겠지만, 서행 운행하는 곳 없이 다 제속도를 내고 달리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믿고 싶다. 하지만 철도노조 장해철 국장의 마지막 말이 귓전을 맴돈다.
“아직까지 열차가 탈선하지 않았으니 안전하다고 보는 시각은 문제가 있다. 6개월 공기를 앞당기느라 발생한 부실공사 때문에 사고의 위험은 잠복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철도공사로 선로가 넘어올 때 국토부 지침 상에 있는 유지·보수 기준도 충족하지 못한 상태라면 열차 탈선 위험은 있다고 봐야 한다. 지금 경의선이 열차가 탈선 할 상황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철도공단은 시민의 안전을 위해 점검, 또 점검하고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신민경 기자 mksh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개통 전, 철도노조는 경의선 구간이 전방위적으로 부실공사라고 지적하며 개통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철도노조는 “상암DMC~문산간 40.6km 궤도 사이의 간격이 기준에 맞지 않는 곳과 선로 뒤틀림 현상 등1000여 곳에 문제가 나타났다”며 “승객 안전이 우려된다”고 발표해 이용자들을 긴장 시켰다.(본지 788호 보도) 경의선 전철은 당초 내년 1월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6월 말부터 시작되는 파주신도시 입주를 앞두고 6개월 앞당겨 7월 1일 성산~문산 간이 먼저 개통됐다. 공기를 단축하느라 부실공사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게 철도노조의 지적이었다.
철도는 개통 됐고, 경의선 전철은 달리고 있다. 경의선은 안전할까. 철도 안전문제를 제기했던 철도노조의 장해철 시설국장과 함께 경의선 구간을 점검해 봤다.
지난 9월 4일 오전. 대곡역사 안으로 상·하행선 전철이 10~15분 간격으로 오고 간다. 철길 위에서 인부들이 선로를 보수하고, 한쪽에서는 자갈을 까는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대곡역에는 4개 레일이 설치 돼야 하는데 현재는 2개 선로만 개통 됐고 나머지는 선로 공사가 한창이다.
장해철 국장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궤도공사마감기준을 충족한 선로를 우리 철도공사에게 넘겨줘야 하는데 제대로 완공도 안 된 상태에서 넘겨줬다. 공사가 제대로 진행되고 개통해도 유지보수는 있게 마련이지만, 지금은 시급한 보수 구간이 많아 경의선 전 구간에 걸쳐 굉장히 어수선한 모습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 국장의 이런 지적에 대해 한국철도시설공단 건설본부의 답변을 들어보았다. 광역철도처 토목 담당자의 말이다.
“개통 전에 철도노조가 지적한 선로문제는 궤도 검측을 해서 대부분 보완했다. 승용차를 운전하다가 도로 표면 이상이 있으면 운전자는 바로 느낌으로 알지 않느냐. 기차도 마찬가지다. 선로에 이상이 있으면 승객들이 승차감에 문제가 있다고 느낄 정도가 된다. 헌데 이상이 있다는 보고는 받지 못했다. 경의선 전철은 수도권 어느 구간 전철보다도 승차감이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비 많이 내릴 때 대비한 조치도 보강해야
곡산역으로 가는 중 백송마을 7단지 앞. 경의선 3공구 현장 인근에 흙이 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란 비닐 덮개가 포착됐다. 이런 모습은 경의선 구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금릉역 철로 바로 옆으로는 비로 쓸려 내려가는 걸 막기 위한 파란 비닐 덮개가 단단히 마무리 돼 있는 모양이 보였다. 장 국장은 “지난 여름에 비가 많이 올 때 노반(철길이 놓인 땅)이 흘러 내렸다. 자칫 노반이 붕괴되면 선로가 무너질 수 있어 조치를 해 놓은 것”이라며 “선로로 스며드는 물, 배수로를 만들거나 둑 쌓는 것처럼 블록 돌을 쌓아야 한다”고 했다.
문산 방향으로 향하면서 만나게 되는 풍산역, 백마역, 일산역은 모두 역 광장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다. 풍산역 지나 일산역 가는 철로 주변에는 기차가 다니는 옆으로 건축 자재가 잔뜩 쌓여 있다. 일산역 부근은 아파트 공사와 맞물려 철로 주변 상황이 아주 복잡했다.
때마침 선로 안전 점검에 나선 철도 직원들을 만났다. 매월 4일 실시하는 안전의 날 합동점검에 나선 일산역 박종철 역장은 “개통 당시 문제가 됐던 일산역 하자 보수는 이제 거의 다 마무리 됐다”고 말한다.
전철 역사는 한창 공사중
일산역은 개통 이후 하루 7000여 명이 이용한다. 예전 2000~3000명이 이용하던 것에서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박 역장은 “출·퇴근 시간대에도 이용객이 많지만 평일 낮시간에 이용하는 사람도 많다”고 전한다.
일산역 안으로 들어가 보았다. 개통 당시 물이 새던 발매기는 깔끔하게 고쳐졌는데, 승강장 공사는 아직도 진행중이었다. 일산역 직원은 “8월말까지 공사를 끝내주기로 했는데 아직 안 된 상태”라고 했다.
일산역 주변 광장 공사도 마무리 되지 않았다. 일산역 뒤편(구일산쪽)에는 진·출입로 공사를 12월 21일까지 완료하겠다는 펼침막이 걸려 있었다.
경의선 전철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개통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이용객들은 불편하다. 경의선 구간 곳곳의 전철 역사가 깔끔하게 단장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장해철 국장과 함께 돌아본 역사 주변은 파헤쳐진 흙바닥과 곳곳에 쌓인 자재, 철제 가드레일 등으로 어지러운 모습을 하고 있었다.
가장 심한 곳은 파주 운정역과 금릉역. 승객들은 임시역사를 이용하고, 옆으로는 본역사를 짓는 공사가 진행중이다. 운정역에서는 육중한 철근 구조물 아래 할머니 3명이 위태롭게 앉아 있는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금릉역은 전철이 다니는 동안에도 윗층 공사가 한창인데, 안전 철망이 제대로 설치 돼 있지 않았다. 승객 안전이 우려스럽다는 기자의 지적에 금릉역 직원은 “비계 설치를 끝냈으니 안전망도 곧 설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매일 금릉역을 이용한다는 주민 김모씨는 “다른 역은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됐던데 우리 동네 역만 공사소리가 시끄럽고 소음도 너무 심해 불편하다”고 말했다.
역사 공사가 더딘 이유에 대해 한국철도시설공단 수도권본부 이종건 차장은 “운정역과 금릉역은 수탁 사업이어서 역사 공사 자체가 늦게 시작 된 것”이라며 “2010년 6월 말까지 완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차장은 “고양 구간의 화전·능곡·곡산·백마·풍산·일산·탄현역은 주차장과 광장 조경 공사가 진행중인데 모두 10월말이면 끝낼 수 있다. 다만 일산역 동측 광장은 추가로 광장 조성 요청이 들어와서 국토부가 사업 실시 계획 승인을 내주면 바로 공사를 진행해 연말까지 마무리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운정 건널목 인근 보수 안 돼
철근 뼈대 공사가 한창 진행중인 운정역을 나와 금릉역으로 향하던 중 선로 이상을 발견했다. 운정 건널목에서 약 300미터 떨어진 곳(문산쪽 선로)의 철길이 약간 내려앉고 휘어 있었던 것.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장 국장은 “저런 상태에서 KTX가 시속 300킬로미터로 지나갈 경우 휘어진 부분에서 하늘로 튀어오를 것”이라며 “경의선 전철은 시속 90~100킬로미터로 KTX만큼 빠르지 않은 게 천만다행”이라고 했다.
수도권 선로를 담당하는 철도시설공단 수도권본부 현경탁 과장은 “자갈 궤도는 열차가 레일을 타게 되면 동적으로 움직이니까 충격이 가해지면서 변형이 온다. 그래서 자갈 궤도는 끊임없이 보수해야 하는 것”이라며 “자갈 궤도에 변형이 왔다고 해서 안전에 문제 있는 게 아니”라고 언급했다.
현 과장은 “기자가 언급한 문산 쪽 선로는 3년 여 이상 운행 하던 선로이므로 별 문제 없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라며 “자갈 궤도의 특성을 알면 그 정도 발생하는 문제는 크게 염려할 것 없다”고 덧붙였다.
개통 두 달을 맞아 점검해본 경의선은 건설 담당자인 철도공단의 말을 종합해 보면 ‘안전’에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인터뷰에 응한 공단 관계자들은 “개통 전에 시민들이 좀 불안했겠지만, 서행 운행하는 곳 없이 다 제속도를 내고 달리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믿고 싶다. 하지만 철도노조 장해철 국장의 마지막 말이 귓전을 맴돈다.
“아직까지 열차가 탈선하지 않았으니 안전하다고 보는 시각은 문제가 있다. 6개월 공기를 앞당기느라 발생한 부실공사 때문에 사고의 위험은 잠복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철도공사로 선로가 넘어올 때 국토부 지침 상에 있는 유지·보수 기준도 충족하지 못한 상태라면 열차 탈선 위험은 있다고 봐야 한다. 지금 경의선이 열차가 탈선 할 상황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철도공단은 시민의 안전을 위해 점검, 또 점검하고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신민경 기자 mksh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