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산관광단지조성 사업자 선정이 세 차례나 무산되면서 허남식 부산시장에 대한 책임론이 부상하고 있다.
부산지역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부산시민 운동단체연대는 2일 성명을 내고 “동부산관광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책임자 문책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또 △특별조사위원회 재구성 △사업 전면 재검토 △관련 자료 공개 및 근본 방안 제시 등을 요구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김해몽 사무처장은 “그동안 실무책임자들이 오히려 승진하는 등 아무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면서 “2006년 허 시장이 재선후 10대 비전사업에 포함하면서 사업이 무리하게 추진된 만큼 허 시장이 포괄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애초부터 관광단지의 방향설정이 잘못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부산시는 영화도시 부산의 특징에 부합하는 영상테마파크가 가장 바람직하다며 그동안 이 분야의 외국기업들만을 대상으로 투자자를 물색해 왔다. 그러나 대규모 테마파크는 초기에 막대한 투자비가 들어가는 반면 비용회수 기간은 수 십년이나 돼 사업성이 낮다는 지적이 초기부터 제기돼 왔다.
시민단체나 부산시의회에서는 “처음부터 외자유치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많았으나 시가 제대로 의견수렴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허 시장은 2일 사과기자회견을 열고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땅을 확보했으니 문제가 없다’는 해명도 논란거리다.
허 시장은 “관광 목적에 배치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시설의 도입 허용, 용도지역 신축성 부여 등 사업성을 최대한 높일 계획”이라며 기존의 영상테마파크를 중심으로 한 개발계획이 변경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 “부동산 관련 개발사업의 성공적 추진은 사업부지 확보가 관건”이라며 “동부산 지역의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부지를 확보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면 좋은 결실을 가져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센텀시티 재판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방부로부터 옛 수영비행장 부지를 매입해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던 해운대구 센텀시티도 부산시가 과중한 금융부담을 이기지 못해 산업용지들을 주거용지로 매각해 초고층 아파트들이 즐비한 주거타운으로 변질되는 결과를 낳았다.
한 시의원은 “관광단지 조성을 이유로 주민들을 내쫓고 그 자리에 아파트를 짓는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부산시는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와 시랑리 일대 367만8392㎡에 동부산관광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06년부터 미국 MGM사를 비롯, 영국 서머스톤사를 상대로 투자유치를 추진해 왔으나 실패했다. 지난 해 두바이 알알이 그룹과 협약을 맺었으나 알알이 그룹이 투자 약속을 이행하지 않아 2일 협약이 무산됐다.
지금까지 투입된 땅 보상비만 6000억원으로 여기서 발생하는 이자만 하루 6000여만원이다. 지난 해 5월 이후 지금까지 이자만 273억원이고 올해말까지 200억원의 금융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전망이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부산지역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부산시민 운동단체연대는 2일 성명을 내고 “동부산관광단지 조성사업에 대한 책임자 문책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또 △특별조사위원회 재구성 △사업 전면 재검토 △관련 자료 공개 및 근본 방안 제시 등을 요구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김해몽 사무처장은 “그동안 실무책임자들이 오히려 승진하는 등 아무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면서 “2006년 허 시장이 재선후 10대 비전사업에 포함하면서 사업이 무리하게 추진된 만큼 허 시장이 포괄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애초부터 관광단지의 방향설정이 잘못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부산시는 영화도시 부산의 특징에 부합하는 영상테마파크가 가장 바람직하다며 그동안 이 분야의 외국기업들만을 대상으로 투자자를 물색해 왔다. 그러나 대규모 테마파크는 초기에 막대한 투자비가 들어가는 반면 비용회수 기간은 수 십년이나 돼 사업성이 낮다는 지적이 초기부터 제기돼 왔다.
시민단체나 부산시의회에서는 “처음부터 외자유치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많았으나 시가 제대로 의견수렴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허 시장은 2일 사과기자회견을 열고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땅을 확보했으니 문제가 없다’는 해명도 논란거리다.
허 시장은 “관광 목적에 배치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시설의 도입 허용, 용도지역 신축성 부여 등 사업성을 최대한 높일 계획”이라며 기존의 영상테마파크를 중심으로 한 개발계획이 변경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 “부동산 관련 개발사업의 성공적 추진은 사업부지 확보가 관건”이라며 “동부산 지역의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부지를 확보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면 좋은 결실을 가져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센텀시티 재판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방부로부터 옛 수영비행장 부지를 매입해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던 해운대구 센텀시티도 부산시가 과중한 금융부담을 이기지 못해 산업용지들을 주거용지로 매각해 초고층 아파트들이 즐비한 주거타운으로 변질되는 결과를 낳았다.
한 시의원은 “관광단지 조성을 이유로 주민들을 내쫓고 그 자리에 아파트를 짓는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부산시는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와 시랑리 일대 367만8392㎡에 동부산관광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06년부터 미국 MGM사를 비롯, 영국 서머스톤사를 상대로 투자유치를 추진해 왔으나 실패했다. 지난 해 두바이 알알이 그룹과 협약을 맺었으나 알알이 그룹이 투자 약속을 이행하지 않아 2일 협약이 무산됐다.
지금까지 투입된 땅 보상비만 6000억원으로 여기서 발생하는 이자만 하루 6000여만원이다. 지난 해 5월 이후 지금까지 이자만 273억원이고 올해말까지 200억원의 금융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전망이다.
차염진 기자 yjcha@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