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어, 학문으로 접근하기 전에 문화로 받아들여라
“왜 대학 입시에 수석을 차지한 학생을 인터뷰할 때 항상 나오는 말 있죠? 과외는 받아본 적도 없고 교과서를 중심으로 공부했다고 하잖아요. 어릴 땐 부정했던 답인데, 이젠 그 말이 진리인 것 같아요(웃음).”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하는 성사고등학교 2학년 최우겸군은 고등학교 들어오기까지 사교육을 제대로 받아본 적이 없다. 초등학교 때는 부모님이 시켜준 방문 학습지가 전부였고, 중학교 때도 학원을 몇 개월 다니다 그만 뒀다. 사실 무슨 뜻이 있어서 사교육을 멀리한 것이 아니라, 공부를 별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란다.
‘공부를 왜 하는가’ 고민하고 답을 찾아야
우겸군은 스스로 반짝반짝 공부하는 스타일이라고 말한다. 시험만 닥치면 열심히 공부했다는 뜻이다. 그래도 나름 만족스러운 성적이 나왔기 때문에 그런 생활이 반복됐다. 하지만 연합고사를 치르면서 모르는 문제가 접했을 때, 느끼는 자괴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컸다. 또한 연합고사를 끝내고 학원을 다니면서 체력적, 정신적으로 꽤 힘들었다. 그동안 진득하니 앉아서 공부하지 않았기에 먼저 몸이 힘들었고,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혼란스러웠다.
단순히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공부했던 과거의 자신을 돌이켜보면서, 계속 그렇게 행동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판단했다. 결국 우겸군은 공부하는 이유를 ‘아는 것이 많아지는 즐거움’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고등학교 입학 후 첫 중간고사에서 평균 95점을 받았다. 이후 시험에서도 이 점수 아래로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는 부담감과 책임감이 따랐다. 우겸군 스스로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도달하기 위해 매진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주위에서 제게 거는 기대가 상당했지만 그 기대가 싫지 않았어요. 계속 그만큼 잘 해야 한다는 부담감도 컸지만, 도전하고 싶은 욕심도 생기더라고요. 제가 제게 거는 기대치가 상당히 높아진 것이죠.”
암기보다는 이해가 우선
우겸군은 책상 앞에 앉아서 영어 단어를 외우고, 수학 문제를 푸는 일련의 공부 과정이 익숙치 않았다. 그동안의 공부 방법으로 인해, 공부 습관이 제대로 들지 않은 게 가장 큰 이유였다. 그래서 스스로 결정한 방법이‘''암기보다는 이해를 위주로 하는 공부’다. 이해라는 것은 책상 앞에 앉아서 머리를 싸매고 달달 외우는 것보다 쉽지만, 효과는 배가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
이런 과정은 영어 능력을 높이는데도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영어를 암기과목, 학문으로 받아들이기 전에 하나의 문화, 하나의 언어로 받아들이면서 이해하게 되면, 영어를 더욱 쉽게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때는 몰랐는데, 제 영어공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분이 아버지셨어요. 아버지는 어릴 때부터 영어 동화책을 많이 사주시면서 영어와 친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셨죠. 그리고 영화를 볼 때도 자막을 가리고 보라며 조언도 많이 해주셨어요.”
중학교 때 우겸군은 도서박람회에서 아버지의 권유로 <타임>지를 구독하게 됐다. 하지만 중학생 실력으로 그 잡지를 다 읽는 건 무리였고, 단락 하나정도만 읽고 버린 게 부지기수로 많았다.
하지만 이 같은 일련의 과정들은 우겸군에게 영어는 학문이 아닌 언어로 먼저 다가왔고, 문화라고 받아들이니 읽히지 않아도 들리지 않아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이 됐다. 이렇게 영어를 대하다 보니 영어에 대한 거부감은 전혀 없었고, 그냥 그들의 문화를 받아들인다는 자세로 쉽게 생각한 것이다.
“고등학교에 입학해 본격적으로 영어를 공부하려는데, 문제집이나 교과서보다 재밌게 공부하는 방법을 찾았어요. 그래서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해리포터를 영어판으로 사서 읽기 시작했고요. TV 채널을 돌리다가도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재밌어 보이는 다큐멘터리가 하면 자막을 무시하고 보면서 영어 듣기를 연습했지요.”
영어공부 막연하다면 단어부터 시작하라
하지만 고등학생은 이렇게 공부를 즐기며 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치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우겸군은 체계적으로 문법, 독해, 듣기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 그에 대한 연습을 시작했다.
“영어의 생명은 단어인 것 같아요.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게 정확한 표현이죠. 어휘력이 늘면 흡착력이 생겨 듣기도 되고, 말하기도 된답니다. 막연히 영어공부를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모를 때는 단어 공부를 먼저 시작하는 걸 권하고 싶어요.”
단어는 꾸준히 외워야하는 것은 기본이다. 여기에 영어의 한고비를 넘는 것이 바로 문법. 우겸군은 여러 번 읽기를 반복하며 외웠다. 문법은 학원을 이용하거나 선생님께 물어가면서 부족한 점을 채워가는 것도 중요하다. 어느 정도 체계가 쌓이면 암시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기도 한다. 즉, 우겸군은 영어 문장의 잘못된 곳을 찾으라는 문제에서 답은 항상 이상한 느낌이 먼저 든다고 한다. “아이들이 우리말을 배울 때 엄마가 옆에서 가르쳐주면서 문법책을 보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한다.
우겸군은 14년간 운영된 수학능력시험은 해법이 나와 있는 시험이라며, 얼마나 많이 연습하는가에 따라 성패가 좌우되는 것 같다고 말한다. 따라서 많이 풀어보며 틀린 이유까지 확실히 체크해야 발전할 수 있다고.
“기본에 충실하고 꾸준히만 한다면 누구나 공부를 잘할 수 있어요. 여기에 꿈과 열정, 오기가 있다면 효과는 배가되겠지요?”
김영미 리포터 ymnkt75@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타임>
“왜 대학 입시에 수석을 차지한 학생을 인터뷰할 때 항상 나오는 말 있죠? 과외는 받아본 적도 없고 교과서를 중심으로 공부했다고 하잖아요. 어릴 땐 부정했던 답인데, 이젠 그 말이 진리인 것 같아요(웃음).”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하는 성사고등학교 2학년 최우겸군은 고등학교 들어오기까지 사교육을 제대로 받아본 적이 없다. 초등학교 때는 부모님이 시켜준 방문 학습지가 전부였고, 중학교 때도 학원을 몇 개월 다니다 그만 뒀다. 사실 무슨 뜻이 있어서 사교육을 멀리한 것이 아니라, 공부를 별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란다.
‘공부를 왜 하는가’ 고민하고 답을 찾아야
우겸군은 스스로 반짝반짝 공부하는 스타일이라고 말한다. 시험만 닥치면 열심히 공부했다는 뜻이다. 그래도 나름 만족스러운 성적이 나왔기 때문에 그런 생활이 반복됐다. 하지만 연합고사를 치르면서 모르는 문제가 접했을 때, 느끼는 자괴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컸다. 또한 연합고사를 끝내고 학원을 다니면서 체력적, 정신적으로 꽤 힘들었다. 그동안 진득하니 앉아서 공부하지 않았기에 먼저 몸이 힘들었고,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혼란스러웠다.
단순히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공부했던 과거의 자신을 돌이켜보면서, 계속 그렇게 행동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판단했다. 결국 우겸군은 공부하는 이유를 ‘아는 것이 많아지는 즐거움’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고등학교 입학 후 첫 중간고사에서 평균 95점을 받았다. 이후 시험에서도 이 점수 아래로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는 부담감과 책임감이 따랐다. 우겸군 스스로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도달하기 위해 매진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주위에서 제게 거는 기대가 상당했지만 그 기대가 싫지 않았어요. 계속 그만큼 잘 해야 한다는 부담감도 컸지만, 도전하고 싶은 욕심도 생기더라고요. 제가 제게 거는 기대치가 상당히 높아진 것이죠.”
암기보다는 이해가 우선
우겸군은 책상 앞에 앉아서 영어 단어를 외우고, 수학 문제를 푸는 일련의 공부 과정이 익숙치 않았다. 그동안의 공부 방법으로 인해, 공부 습관이 제대로 들지 않은 게 가장 큰 이유였다. 그래서 스스로 결정한 방법이‘''암기보다는 이해를 위주로 하는 공부’다. 이해라는 것은 책상 앞에 앉아서 머리를 싸매고 달달 외우는 것보다 쉽지만, 효과는 배가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
이런 과정은 영어 능력을 높이는데도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영어를 암기과목, 학문으로 받아들이기 전에 하나의 문화, 하나의 언어로 받아들이면서 이해하게 되면, 영어를 더욱 쉽게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때는 몰랐는데, 제 영어공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분이 아버지셨어요. 아버지는 어릴 때부터 영어 동화책을 많이 사주시면서 영어와 친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셨죠. 그리고 영화를 볼 때도 자막을 가리고 보라며 조언도 많이 해주셨어요.”
중학교 때 우겸군은 도서박람회에서 아버지의 권유로 <타임>지를 구독하게 됐다. 하지만 중학생 실력으로 그 잡지를 다 읽는 건 무리였고, 단락 하나정도만 읽고 버린 게 부지기수로 많았다.
하지만 이 같은 일련의 과정들은 우겸군에게 영어는 학문이 아닌 언어로 먼저 다가왔고, 문화라고 받아들이니 읽히지 않아도 들리지 않아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이 됐다. 이렇게 영어를 대하다 보니 영어에 대한 거부감은 전혀 없었고, 그냥 그들의 문화를 받아들인다는 자세로 쉽게 생각한 것이다.
“고등학교에 입학해 본격적으로 영어를 공부하려는데, 문제집이나 교과서보다 재밌게 공부하는 방법을 찾았어요. 그래서 제가 제일 좋아하는 해리포터를 영어판으로 사서 읽기 시작했고요. TV 채널을 돌리다가도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재밌어 보이는 다큐멘터리가 하면 자막을 무시하고 보면서 영어 듣기를 연습했지요.”
영어공부 막연하다면 단어부터 시작하라
하지만 고등학생은 이렇게 공부를 즐기며 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치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우겸군은 체계적으로 문법, 독해, 듣기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 그에 대한 연습을 시작했다.
“영어의 생명은 단어인 것 같아요.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게 정확한 표현이죠. 어휘력이 늘면 흡착력이 생겨 듣기도 되고, 말하기도 된답니다. 막연히 영어공부를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모를 때는 단어 공부를 먼저 시작하는 걸 권하고 싶어요.”
단어는 꾸준히 외워야하는 것은 기본이다. 여기에 영어의 한고비를 넘는 것이 바로 문법. 우겸군은 여러 번 읽기를 반복하며 외웠다. 문법은 학원을 이용하거나 선생님께 물어가면서 부족한 점을 채워가는 것도 중요하다. 어느 정도 체계가 쌓이면 암시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기도 한다. 즉, 우겸군은 영어 문장의 잘못된 곳을 찾으라는 문제에서 답은 항상 이상한 느낌이 먼저 든다고 한다. “아이들이 우리말을 배울 때 엄마가 옆에서 가르쳐주면서 문법책을 보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한다.
우겸군은 14년간 운영된 수학능력시험은 해법이 나와 있는 시험이라며, 얼마나 많이 연습하는가에 따라 성패가 좌우되는 것 같다고 말한다. 따라서 많이 풀어보며 틀린 이유까지 확실히 체크해야 발전할 수 있다고.
“기본에 충실하고 꾸준히만 한다면 누구나 공부를 잘할 수 있어요. 여기에 꿈과 열정, 오기가 있다면 효과는 배가되겠지요?”
김영미 리포터 ymnkt75@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타임>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