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검색결과 총 2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더 나은 대화를 위하여... (I) “우리 엄마가 켜 놓은 텔레비전 소리가 너무 커요!”라는 하소연은 보청기를 착용하면 없어집니다. 다양한 보청기 기술들이 소개되었고, 보청기에 장착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청기를 착용한 분과 좀 더 원활하게 대화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번 칼럼과 다음 칼럼에서는 이 전략들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보통 크기로!!!난청을 가진 분과 대화하려면 큰 소리로 말해야 대화할 수 있었습니다. 말하는 사람뿐 아니라 난청을 가진 분도 큰 소리로 말을 합니다. 그렇게 세월을 보내다가 말하는 것도 힘들고, 대화도 어려워지면 보청기를 착용하게 됩니다. 보청기를 착용하고 나면 이젠 더 이상 큰 소리로 말하지 않아도 됩니다. 보청기를 착용한 분에게 큰 소리로 말하게 되면 오히려 말소리를 알아듣기 어렵게 됩니다.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분들과 대화하는 크기 정도면 됩니다. 신경을 쓴다면 그 소리보다 조금 크게 하는 정도면 충분합니다.천천히 그리고 또박또박보청기를 착용하신 분과 대화할 때는 평소보다 조금만 천천히 그리고 조금만 더 또박또박 말해주세요. 이렇게 말하는 것을 클리어 스피치(clear speech)라고 하지요. 그러나 너무 느리게 말하면 오히려 알아듣기 어렵습니다. 평소에 다른 사람들과 말하던 속도보다 조금만 더 천천히, 조금만 더 또박또박 말하면 됩니다. 특히 보청기를 착용하신 분이 어르신이라면 한 문장을 길게 말하는 것보다는 여러 개의 짧은 문장으로 나누어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앞에서, 얼굴 보고얼굴을 보고, 정면에서 말하면 대화를 좀 더 잘할 수 있게 됩니다. 보청기를 착용하신 분이 말하는 사람의 얼굴과 입 모양을 볼 수 있다면 조금 혼동되어 들리던 단어들이 좀 더 또렷하게 들리기 때문입니다. 옆이나 뒤쪽에서 말한다면 보청기를 착용하신 분이 말하는 분의 얼굴을 볼 수 없겠죠? 입 모양을 보여주기 위해서 입술모양을 과장하면 오히려 알아듣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평소처럼 말하면 됩니다.보청기를 착용하면 소리가 잘 들리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보청기가 모든 상황에서 다 잘 들을 수 있도록 하지는 못합니다. 그래서 보청기를 착용하신 분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보통 크기로, 천천히 또박또박 그리고 정면에서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독일지멘스보청기부천센터이양주 원장 2019-11-14
- 자녀의 성적향상, 부모와의 관계에서 시작됩니다 때가되면 변치 않는 이야기가 매체를 통해 흘러나온다. 사교육비의 지출과 명문대 입학과의 비례적 관계에 대해서다. 분명히 좋은 교육서비스와 더 많은 경험들은 지적재산이 되고 자녀의 성적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허나, 경제학의 논리인 희소성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고 자녀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는 선택적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누구나 할 수 있고, 성적향상에 직접적이며 공기와 같이 무한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자유재를 공개해 보고자 한다. 그것은 바로 부모와 자녀의 대화이다.2016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전국 중학생 58만여명을 분석한 결과 부모와의 대화 정도가 높은 학생의 성적이 300점 만점에서 10% 정도의 차이가 난다고 발표했다. 재미있는 것은 실직적인 대화시간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가 ‘대화를 많이 한다’라고 느끼는 정도에 따른다는 것이다. 즉 자녀와의 제대로 된 대화가 갖고 있는 무시한 영향력을 말하는데 그것은 훈련이 가능하며 이러한 방법의 하나인 ‘나 전달법 (I-message)’ 대화를 설명해본다.1. 자녀의 불편한 행동에 대한 비난 없는 대화2. 그 행동을 나의 입장에서 영향 받은 구체적인 대화3. 구체적 영향에 대한 나의 솔직한 감정 대화가 대화의 요소로 이뤄져야 하는데, 중요한 것은 주체를 ‘나’로 바꾸는 것과 자녀의 행위를 반복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 때 ‘나’의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너는 왜 또 거짓말을 하니?’를 ‘엄마는 너의 거짓말을 또 들었구나’로 전환해야 한다. ‘너 전달법’으로 이야기를 하면 자녀를 대상으로 부정어가 강조되지만 ‘나 전달법’은 대화의 주체가 나로 전환되면서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설명을 할 수 있다.다음으로 ‘넌 왜 맨날 게임만 하니?’를 ‘엄마는 네가 게임만 할 때 걱정이 되는데 계속 게임만 하게 되면 엄마가 많이 화가 날 것 같아’로 ‘나’가 느끼는 감정에 집중하여 마음을 열고 대화하는 방식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감정을 드러내면서 주체는 ‘나’이지만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 전달법’으로 말하는 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자녀와의 대화에서 계속되는 노력과 이성적인 판단을 지속해야 한다. 잘 훈련된 대화법은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며 부모와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생각지도 못한 결과들이 반드시 동반할 것이다.유재우부원장247에듀케어문의 070-4116-0619 2017-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