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년 새 학기를 앞두고 모두들 준비에 분주한 시기이다. 학교 교사들은 달라진 영어 교과서에 대한 분석과 수업 준비에 한창이다. 학원 근무자들 역시 달라진 교과서 내용과 내신 예측 및 분석 자료 제작에 모두들 정신이 없다. 필자 역시 교과서를 분석하여 내신 대비를 위한 문제들을 만들면서, 달라진 고1 영어 수준에 놀라고 있다. 어휘가 더 현실적인 표현으로 바뀌었고, 문장 구조도 길어졌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방학 중 고등학교 문법과 모의고사 문제를 풀면서 양으로 승부를 걸고 있는 학생이라면 이번 중간고사 시험이 결코 만만치 않을 것이다.
고1 학생들은 영어 내신 대비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까? 우선 내가 입학하게 되는 고등학교의 시험 범위와 과제 출제 난도를 파악해야 한다. 일산은 학교마다 영어 시험 범위와 출제 방향 및 시험 난이도가 매우 다르다. 선배들이나 학원 샘들에게 작년 학교 시험 범위와 출제 난도를 확인하고 내게 맞는 학습 전략을 세워야 한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단순 단어 암기를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1 학생들이 매년 고교 영어학습을 힘들어 하며 공부한만큼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고 호소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단어, 즉 어휘력에 있다. 고교 영어 단어는 영단어라고 부르지 않는다. 어휘라고 일컫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면 영단어와 어휘는 무엇이 다를까? 영단어는 단순 암기를 말한다. ‘영어-뜻’의 패턴으로 반복 학습하고 학원에서 시험을 볼 때도 단어-뜻 시험에 익숙하다. 하지만, 이러한 단순 암기는 고등학교 영어 공부와 내신 준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유는 고등학교 영어 내신 시험은 본문이 변형되어 나오는 것은 기본이고, 5지 선다형의 선지에서 고등학생이라면 당연히 알아야 할 유/반의어 표현이 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무리 중학교에서 공부했던 방식처럼 본문을 외워 시험을 본다 하더라도 원하는 점수를 받을 수 없다. 선지 해석이 완벽해야 하고 판단을 잘 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고등학교 영어 단어를 어휘라고 부른다. 어휘력은 문자 그대로 어휘를 이해하고 판단하는 힘이다. 고등학교 영어 어휘는 주제별 또는 품사별로 그 의미가 다양하고 주제에 따라 동일한 단어의 뜻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myth’ 라는 단어를 단순 암기에 익숙한 학생들은 신화라고 알고 있다. 하지만, 고교 영어에서는 myth라는 단어를 신화라고 해석하지 않는다. ‘거짓된 믿음’이라는 뜻이 더 정확하다. 따라서 선지에서 myth의 뜻을 신화로 알고 있는 학생은 당연히 그 문제를 틀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 만큼 고등학교 영어에서는 어휘력이 중요하다.
그리고 고등학교 영어 내신 성적 관리를 위해서는 서술형 문제에 익숙해져야 한다. 중학교에서는 대부분 영어 서술형 문제를 풀어본 경험이 없다. 그래서 중학교 영어 시험에서 90점 이상 받았다 하더라도, 고등학교에 들어가면 70점대나 80점대 초반을 받는 학생들이 즐비하다. 고등학교에서 출제되는 서술형 문제는 실제로 난도가 상당히 높다. 중학교에서처럼 본문을 달달 암기해서는 결코 서술형 문제를 맞힐 수 없다. 그런 문제 유형은 단지 한 문제 정도에 불과하다. 대부분 영어 지문을 제시하고 주제를 영어로 쓰게 하는 문제나, 문장의 구조를 바꾼 상태에서 한국어로 제시된 문장을 영작하도록 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또한 어법 문제, 즉 어법상 틀린 표현을 찾고 그 표현을 올바르게 고치라는 문제가 출제된다. 문법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어법 수정 문제 외에도 영작 문제, 유/반의어의 지식을 묻는 어휘 문제 등이 출제 된다. 서술형 문제의 배점은 40점이다. 따라서 짧은 내신 대비 기간에 서술형 문제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평상시 꾸준히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더불어 다양한 유형의 서술형 기출 문제를 풀어보아야 한다. 당연히 문법 개념 부분이 약하다면, 문법의 개념을 빨리 정리해 두는 것이 좋다.
또한 중학교에 비해 넓은 시험 범위에 적응하고 준비해야 한다. 중학교 시험 범위는 고등학교 시험 범위에 비해 매우 적다. 고등학교 영어 시험 범위는 가히 압도적이다. 교과서 본문, 모의고사, EBS 부교재 등이 범위에 해당한다. 일부 학교에서는 방대한 시험 범위를 선정하고 학교에서조차 진도를 제대로 나가기 힘들어 수행평가로 대신한다거나,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시험 범위에 해당하는 지문을 조별로 발표하도록 하는 식으로 진도를 나가기도 한다. 그만큼 영어 시험 범위는 살인적이다. 그러므로 고1 학생들은 첫 중간고사 시험을 대비하려면 지금, 당장 준비해야 한다. 개학 후에는 철저한 예습과 복습을 통해 지문의 내용과 어휘를 익히고 변형 문제를 미리 풀어보면서 준비를 해야 한다. 이렇게 공부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1등급 내신 점수를 받아야 하는 현 고1 학생들에게는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일산 후곡 에이든 영어학원 정성태 원장
문의 031-922-8205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