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강서고등학교 1학년 2학기 기말고사 국어 시험은 총 37문항, 선택형 31문항(65점), 단답형 6문항(35점)으로 출제되었다. 지난 시험 보다 문항수가 많아 시간이 부족했다는 의견이 있었다. 시험 범위는 교과서 중 8(1)현대소설, 9(1)중세국어문법, 9(2)화법이 포함되었고, 학교에서 배부한 중세국어 참고 자료와 용비어천가48, 125장 관련 자료가 있었다. 이 외에 수능 특강에서 현대시 4편, 고전시 2편, 현대소설 2편, 고전소설 2편으로 지난 중간고사와 같은 수준으로 포함되었다.
이번 시험에서는 교과서 범위가 적지만, 중세국어 문법이 낯설고 학교에서 배우는 수준이 교과서보다 높기 때문에 학생들이 시험 대비에 부담이 컸다. 게다가 수능 특강에서 ‘연시조’와 ‘가사’가 포함되다 보니 더 어렵게 느꼈다.
37문항 중 18문항은 교과서 외부 범위인 수능 특강에서 출제되고, 나머지 19문항이 교과서 범위인 것을 봤을 때, 학교에서 수업하지 않는 수능 특강의 범위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강서고 학생들은 학교 수업을 잘 따라가면서 수능 특강 문학 공부가 병행되어야 한다. 19문항 중에서 중세국어 문법은 13문항, 현대소설 6문항 출제되었고 화법 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았다. 중세국어 문법의 경우 학교 프린트에 있는 ‘한글 창제 원리’와 관련한 문제도 있었다. 이 문제는 중학교 과정에서 한글 창제 원리를 잘 숙지해두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수준이었으나 그렇지 않으면 틀리기 쉬운 유형이다.
이번 시험에서는 <보기>를 활용하는 문제가 6문항이 있었고, 그 중 외부 작품을 인용한 것이 3문항이나 있다. 현대시 2편, 고전시 1편으로 수능특강의 작품과 비교 감상하는 문제였고, 모두 수준이 높았다. 강서고 시험에서 이런 유형은 보통 고난도이므로 비교적 쉬운 영역에서 감점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이 외에 낯선 한자성어를 활용한 문제, 인물의 행동의 ‘궁극적’ 원인을 찾아야 하는 문제, 표현상 특징 비교하는 문제, 적절한 속담 찾기 문제가 까다로웠다. 평소 한자성어, 속담과 관련 연습을 해두는 것이 좋다.
서술형은 대부분 평이한 난도였으나, 서술형 4번에서 빈 칸 채우기 문제가 어려웠다. 암기식으로 공부하면 안 되고 <보기>의 문맥에 따라 적절한 내용을 채워넣어야 한다. 학교에서 제시한 답 외에도 답이 될 수 있는 내용은 여럿이라, 서술형 채점 기준을 지켜봐야 한다.
전반적으로 1학년 과정 중 가장 어려운 시험이라 90점을 넘는 학생이 많지 않아 보인다. 쉬웠던 중간고사에 비해 높아진 난도에 학생들이 시험 보고 나서 혼란스러워한 것도 사실이나, 궁극적으로 어떤 시험에서도 좋은 결과를 내려면 어휘부터 응용까지 탄탄하게 국어 실력을 쌓아야 할 것이다.
목동 한얼국어논술전문학원 김운식 원장
02-2653-3644~5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