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봐도 모르고 알아도 못 풀고 풀어도 틀린다.”
이 한 문장은 수학공부의 어려움을 가장 잘 표현하는 문장이다.
초등학생 36.5%, 중학생 46.2%, 고등학생 59.7%
이게 도대체 무슨 수치일까? 바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포자 비율이라고 한다. 저 대단한 수치가 말하고 있는 것처럼 학생들 중 상당수는 수학 수업에 참석은 하고 있지만, 듣는 둥 마는 둥 또는 들어도 이해를 못하는 수포자로서의 아슬아슬한 경계를 오가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학생과 학부모에게 있어서 수학은 반드시 정복을 하고는 싶지만 그 만큼이나 많은 고통을 주는 과목 중의 하나이다.
수포자가 생기는 진짜 이유
수포자가 생기는 이유가 “내용이 어렵고 학습량이 많으며 진도가 빠르기 때문”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수학 포기의 원인을 너무 단순화하고 진짜 원인을 보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을 낳는다. 수포자 발생원인은 내용의 난이도나 학습량의 과다보다 훨씬 더 넓고 깊다. 오히려 수학의 난이도, 학습량 등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통념은 그리 큰 이유가 아닐 수 있다.
위의 가설이 맞다면 학습량을 20% 줄이거나 학습할 내용을 쉽게 구성하는 것만으로도 수포자를 줄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단언하건데 별로 줄어들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수학이 어렵거나 학습량이 많아서’는 수포자를 발생시키는 원인의 하나는 될 수 있지만 수포자 발생의 주된 원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수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포기하는 근본 이유는 뭘까요?
첫 번째, 필요하다고 느끼지 않기 때문
즉, 학생이 스스로 수학이 필요하다고 느끼지 않으면 수학의 수업내용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이를 테면 수업에 집중하는 대신 친구들, 간식, 게임, 외모, 연예인 등에 더 관심을 가진다. 만약 수학이 절실히 필요한 것이라고 느꼈다면 어떤 방법으로든 수학을 공부하려고 할 것이다.
두 번째, 수학에 대한 자신감 부족 때문
학습자는 자신에 대한 주위의 기대에 따라 반응한다. ‘자신이 해낼 수 있다, 없다’는 단순히 수학의 난이도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자신감과 관련이 깊다. 자신감이 낮은 것은 과거 성공의 경험이 없기 때문인데, 성공의 경험이 부족한 것을 학생 탓으로만 돌리면 안 된다.
“쟤는 유전요인, 가정배경, 이해력 부족 때문에 해도 안 될 애니까, 또 가르쳐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금방 잊어버릴거야”라고 생각하면 대충 가르치게 된다. ‘넌 안 돼.’라는 고정관점을 버리고 “너도 열심히 하면 네가 꿈꾸는 대학에 진학하여 네가 꿈꾸는 미래를 이룰 수 있어.”라는 관점으로 패러다임을 바꾸어야 수포자가 줄어들 수 있다고 믿는다.
마지막, 학습할 기분이 나지 않기 때문
수업할 기분이 들지 않는 학생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가장 우선적인 것이 학생들에 대한 진정성 있는 따뜻한 관심과 공감일 것이다. 더불어 학생들의 각자가 처한 사정과 내적 동기가 다르니 그 고민 또한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그 관심과 공감은 표준화된 그것이 아니라 학생에 맞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위안과 대안이 되어야 한다.
위의 수포자가 생기는 이유를 생각하면 ‘교사가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는 게 가슴 벅차도록 즐거운가?’ 하는 질문을 하게 된다. 교사는 가르치는 일이 즐거워야 한다. 그래야 수학 때문에 방황하는 학생에게 어떻게(how) 가르칠 것인가를 생각하고, 바둑 고수가 하수에게 눈높이에 맞춰 설명하듯 수학적 고민이 살면서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수학을 가르치는 일의 내적 동기는 예술가의 그것과 같다고 생각한다. 내가 애써서 간신히 본 어떤 아름다움을 너한테도 보여주고 싶은 애틋한 마음이랄까? 오늘도 필자는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킬러 문제를 간명하고 쉽게 설명하고, 가능하면 한 줄로 꿰어 줄까 고민한다. 그리고 수포자를 수호자로 바꿔줄 것인가를 신앙으로 여기고 전에 못 풀던 어려운 문제를 풀어내는 학생들의 성공 경험에 인생을 걸게 된다.
전태우 원장
목동 페르마수학학원
일산후곡 엠탑수학학원
문의 02-2646-5941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