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 저녁에 방영된 kbs콘서트는 <나훈아 되돌아보기> 열풍을 몰고 왔다.
어느새 세대를 뛰어넘어 대세 음악장르로 자리매김한 트로트의 거센 훈풍에, 트로트 황제 나훈아가 보여준 관록있는 무대는 바야흐로 트로트의 창궐에 종지부를 찍는 듯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나훈아의 콘서트는 그의 노래 ‘테스형’으로 우리의 상식을 뒤흔들어 버렸다. ‘아! 테스형 세상이 왜 이래, 왜 이렇게 힘들어. 아! 테스형 소크라테스형 사랑은 또 왜 이래.’
트로트 가사 속에 인문강좌에서나 나올 법한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라니. 시청자들은 트로트와 철학이라는 도저히 소통불가능한 영역이 서로 겹치자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교란으로 묘한 쾌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라디오 진행자들이 한동안 쾌활한 어조로 요즘 유행하는 곡이라며 나훈아의 ‘테스형’을 소개할 때마다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나훈아 덕택에 고대 철학자가 21세기 대한민국에 소환되었다는 점에 고마운 마음이 들 때도 있다. 하지만 이를 교육적 기회로 승화시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꾸준한 독서는 공부의 토대인 독해력을 신장해 준다는 점에서 이미 실용적 의의를 지니지만 진정한 독서의 가치는 정신의 크기가 큰 위대한 인간과의 만남, 그리고 감정이입을 통해 내가 겪지 않았던 위대한 삶을 살아 봄으로 그들의 삶을 모방하는 것에 있다. 한국사회에서 교육이란 재화의 배분을 위한 도구로 전락한 지 오래지만 학부모들의 마음 한 켠에는 자신의 자식이 우리 사회에서 훌륭한 사람이 되길 바라는 근원적인 동기가 여전히 존재한다. 고전독서는 이런 현실적인 목표와 이상적인 목표를 동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우리를 이끄는 구조의 손길과 같다.
시카고 대학교는 미국에서 으뜸가는 일류대학으로 현재까지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은 89명의 노벨상 수상자들을 배출시킨 세계적인 명문대학이다. 하지만 1890년 석유재벌 록펠러의 기부금으로 설립된 초기에는 삼류대학에 가까운 이름없는 대학이었다. 이 대학이 획기적으로 변하게 된 계기는 1929년 제5대 총장으로 취임한 로버트 허친스가 추진한 교육정책 일명 시카고 플랜(The Great Book Program)이었다. 허친스는 세계의 위대한 고전 100권을 달달 외울정도로 읽지 않은 학생은 졸업을 시키지 않겠다는 고전독서교육을 시행하여 최고의 학교를 일궜다.
비록 책장에 먼지가 쌓여도 좋으니 기성세대가 경험했던 독서의 경험을 다음 세대에게 전하기 위해 자녀에게 세계고전전집시리즈를 사주는 것은 어떨까. 시카고 플랜처럼 부천고전플랜을 교육기관과 각 가정에서 시행한다면 우수한 인재로 가득찬 부천 출신 노벨상 수상자를 보는 것도 허황된 꿈만은 아닐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비극은 완전하고 고귀한 자의 행동을 모방함으로서 공포와 연민을 통해 인간다운 정화에 이른다.’라고 말한다.’ 비록 우리 자신의 삶이 비루하고 부끄럽다 해도 고전을 읽히기는 것만으로 인간다움의 윤리를 다음 세대에게 전하는 위대한 행위를 한 것이다.
부천 독서토론공간수다
이동건 대표원장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