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학년도 대입 수시전형의 추가합격자 발표가 이어지고 있다. 오는 19일이 되면 수시전형의 모든 결과가 마무리된다. 12월 26일부터 31일까지는 정시모집 원서접수 기간이다. 2021학년도 입시가 멀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실제 수험생활을 경험해보면 시간 부족으로 허둥대거나 아쉬움을 갖고 입시를 치르는 경우가 많다. 예비고3 학생들에게 대입 준비를 위해 주요 일정과 월별 집중해야 할 사항들을 점검해 보았다.
도움말 김미옥 영파여고 교사 · 배영준 보성고 교사
2021년 1월~2월, 공부힘 키우며 강약점 분석하기
예비고3들에게 겨울방학은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학습 능력을 비롯해 수험생으로서 마음가짐을 확고히 하여 신학기의 입시준비를 체계적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 2학년 2학기 겨울 방학에는 입시준비에 따른 탐구과목 선택을 확실하게 하고 수능 과목의 성적 향상을 위해 빈틈 메우기 등을 꼼꼼하게 진행해야 한다. 학생 자신의 생활기록부 점검, 전공적합성을 위한 활동 연계, 수능 점수 관리를 위한 체크가 이루어져야 정시와 수시의 갈림길에서 좀 더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다.
김미옥 교사는 “학습에 가장 중심을 두는 겨울방학기간동안 정시와 수시 준비를 위한 틀을 마련해 놓는 자세가 필요하다. 내년 3월부터 시작되는 모의고사를 시작으로 3학년 1학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치르고, 비교과활동을 하며 바쁜 시간을 보내면 한 학기가 쏜살같이 지나간다”고 말한다.
실제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는 재학생에게는 수능 준비를 위한 학습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여름 방학기간에 전공적합성 등을 고려해 자소서 작성 등에 시간 할애를 많이 하는 게 일반적이다. 추석을 전후하여 수시 원서접수를 마친 후에는 3학년 2학기 중간고사가 있어 학생들의 집중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배영준 교사는 “학생의 성적, 생활기록부 분석과 더불어 학생이 다니는 학교 졸업생들의 대학 진학 상황 등을 더욱 세밀하게 살펴 입시의 방향을 잡아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서울대의 경우에는 전공에 대한 잠재력과 흥미를 더 많이 보는 경향이 강해졌다”고 강조한다.
입시를 준비하며 시기별로 중요한 사항을 잘 체크하여 상황에 대한 대비를 하면서 정시와 수시의 전형 파악과 학생에게 맞는 입시준비를 이끌어 나가야 한다.
2021년 고3의 월별 주요 체크 포인트
3월 : 꾸준하게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확인한다. 모의고사 성적을 체크하며 학생에게 유리한 전형을 꼼꼼하게 탐색한다. 수시에서 학생부, 특기자, 논술 전형의 특징과 정시 전형 중에서 유리한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3월 모의고사 결과를 확인하며 정시지원 수준 파악과 약점 보완을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일반적으로 3월 모의고사 성적이 9월 이후나 수능 성적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3월 모의고사에 일희일비 하지 않는다. 대학별 홈페이지를 찾아보며 2021학년도 입학전형 계획을 수집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4월 : 중간고사 준비로 바쁜 시기이다. 수능에서 치를 탐구과목 선택과 과목별 개념 정리, 내용 이해가 잘 이루어져 있으면 좋지만 그렇지 못해도 메워 나갈 시간이 있는 시기이다.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주력 과목 관리와 선택과 집중 과목을 확인하고 분류해나가야 한다. 인문계열의 경우 제2외국어와 한문 응시여부를 결정하기도 한다. 4월 모의고사는 학생들이 소홀하게 넘기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교과, 비교과 결과와 함께 4월 모의고사 성적도 꼼꼼하게 점검한다.
5월 :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중간고사에서 전공적합성 관련 과목을 최대한 좋은 성적으로 이끌도록 노력한다. 서류 전형에서 3학년 1학기까지 성적 향상도를 중요하게 여기고 전공적합성과 연관된 과목의 성적을 일순위로 평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공과대를 지망하는 학생이라면 언어영역이 좀 부족해도 수학과 물리에서 탁월한 실력을 보이면 좋은 점수를 얻는다.
수시 지원 준비를 위해 서류가 필요한 전형을 찾아 자기소개서의 소재거리, 활동기록 등을 준비해 나가야한다. 희망대학과 학과 전형유형을 결정하고 지원 자격과 전형요소, 수능최저, 제출서류 등을 꼼꼼하게 정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6월 : 재수생과 N수생이 많이 들어오는 6월 모의고사를 치르고 성적 분석, 오답 확인과 약점을 보완하는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고 실행에 옮겨야 할 시기이다. 이즈음 EBS 연계교재 ‘수능완성’이 출간되기도 하기 때문에 학습의 방향도 잡아야 한다. 학부모는 입시기관의 6월 모의평가 분석과 수시 설명회 등에 참석하며 대입 지원계획을 구체적으로 잡아야 한다. 6월 모의고사 결과로 정시 지원 수준이 어느 정도 파악된다.
7월 : 기말고사와 7월 모의고사가 함께 실시되는 기간이다. 시험을 마친 후에는 여름방학 학습계획을 구체적으로 잡아야 한다. 취약부분을 보완하는 방법, 전략과목 다지기, 9월 모의고사의 목표 설정을 위한 학습 준비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부종합전형 지원 시 서류준비가 완성되어야 할 시기이다.
7월말에는 학생부 성적 산출 결과를 확인하고 목표 대학 전형별 교과 반영방법도 확인해야 한다. 수시지원 대학별 요강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해두어야 한다. 학부모는 교육청이나 대학별 수시 설명회, 대교협 수시 박람회에 참석하며 목표 대학의 수시모집의 특징과 경향을 파악해야 한다.
8월 : 수시모집 학생부가 마감되는 시기이다. 대학별 고사 준비와 수시 서류 작성이 마무리되어야 한다. 담임을 비롯해 입시전문가들과 진학상담을 통해 수시 지원의 타당성을 점검해야 한다. 선택과목 최종 마무리와 더불어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문제 학습, EBS 교재 집중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시 원서를 쓸 때는 원하는 학교를 상향, 적정, 그 중 한 학교는 안정 지원하여 안정성을 도모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자기소개서 작성 시에 생활기록부에서 소재를 잘 뽑아내는 안목, 전체적인 흐름을 엮어 이야기 구성을 하는 요령, 지원동기와 학업계획 등을 작성 할 때는 지원 학과의 연구 성과, 우수 논문 등을 찾아보고 학생의 관심 분야나 활동과 비교해나가며 학생 자신의 말과 글로 엮어야 한다.
9월 : 수능 전 가장 중요한 모의고사를 치르고 중간고사도 치러야 하는 시기이다. 수능 전 응시자가 가장 많은 9월 모의고사를 실전처럼 응시하고 정시 지원의 수준을 파악해 두어야 한다. 수시 지원 대학과 학과를 합격 예상 순으로 적절하게 배분하고 상담을 마무리 짓는다. 수시 원서접수를 하며 기재내용 확인, 전형료 결제, 대학별고사 일정 확인, 서류 제출, 수험표 출력 등을 빠짐없이 챙겨 두어야 한다.
10월 : 수능 전 실시하는 대학별 고사에 응하거나 실전 모의고사를 연습하며 수능 파이널을 준비한다. 생활시간을 수능에 맞춰 관리하며 심리 관리를 잘 하도록 한다. 수능 전 건강관리에 주력하고 수능 이후 대학별고사 준비를 위한 강좌를 알아보는 노력도 필요하다. 즉 논술이나 서류기반과 제시문 기반 면접 준비 스케줄 등을 착실히 준비한다.
11월 : 수능 파이널 준비와 함께 최적의 컨디션으로 수능에 응시하는 요령을 익혀야 한다. 수능 당일 챙겨야 할 수험표, 신분증, 시계, 필기구, 요약노트, 도시락, 비상약 등을 챙겨 둔다. 수능 가채점 결과 확인을 자주 하고 수시로 지원한 대학별 고사 응시여부 결정 등을 해야 한다. 수능 점수를 고려하여 수시와 정시 중에서 더 유리한 선택을 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수능 후 대학별고사의 일정을 점검해야 한다.
12월 : 수능 성적이 발표되는 달이다. 수시 합격자 발표 이후 미등록 충원이 되는 시기이다. 수시 추가합격자 발표를 반드시 확인하고 수능 성적에 따라 정시 지원 계획을 세운다. 모집군 별로 지원 대학을 결정하고 전형요소, 수능 영역별 반영 비율, 모집인원, 경쟁률 등을 세밀하게 살펴야 한다. 정시 원서는 더욱 치밀하게 분석하여 한 장도 버리지 않는 카드로 신중하게 써야 한다. 2월 초 정시 합격자 발표를 시작으로 2월 말에 추가모집까지 마무리된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