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근단절제술은 자연치아를 뽑기 전에 시행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다. 치아의 뿌리 끝을 자르고 염증을 다 긁어낸 다음, 자른 뿌리 끝에서부터 충전재를 거꾸로 넣어 막는 수술이다. 그런데 잘라낸 뿌리 끝 크기가 클 땐 뼈 이식이 필요할 수도 있다. 과정이 복잡하게 느껴져 이 수술을 꼭 해야 하나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하지만 성공만 한다면 환자에게 이보다 더 좋은 수술은 없다.
도움말 리빙웰치과병원 김현철 병원장
뿌리 끝 결손 부위 크기에 따라 뼈 이식 여부 결정
치근단절제술 시 뿌리 끝 결손 부위가 크면 뼈 이식을 해야 한다. 이식 재료가 마땅치 않았던 옛날엔 자기 몸에서 떼어낸 뼈를 이식하는 자가골이식을 가장 좋은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자가골이식은 뼈를 떼어내다 신경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뼈를 떼어냈기 때문에 아픈 곳이 늘어나며 얼굴이 붓는다는 단점이 있다. 지금은 뼈 이식 재료가 좋아졌다. 그러나 치근단 병소가 매우 큰 경우에는 자가골 이식이 가장 좋은 선택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뼈 이식 재료로 ‘뼈형성유도단백질’을 사용한 경우 자가골이식보다 훨씬 빨리 아문다는 임상논문을 리빙웰치과병원은 발표하였다. 뼈형성유도단백질은 뼈가 빨리 만들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뼈 이식을 해야 하는 환자에게 자가골과 뼈형성유도단백질을 쓴 두 경우를 비교해봤다. 그 결과 뼈형성유도단백질을 사용한 환자의 회복 기간이 두 달 정도 더 빨랐다. 치근단절제술 시 뼈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 자가골과 뼈형성단백질 골이식재 사용을 설명하면 90%가 뼈형성유도단백질을 선택한다. 뿌리 끝 결손 부위의 크기에 따라 뼈 이식 여부와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치근단절제술 시 잘라낸 뼈의 크기가 작다면 그냥 뼈 가루를 넣어주거나 뼈 가루도 넣지 않고 충전재로 마무리할 수도 있다.
신경치료 후 치아 높이 조절하며 상태 관찰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했는데 음식을 씹을 때마다 치아가 시큰거리고, 이 느낌이 6개월 정도 지속한다면 치근단절제술 고려 대상이다. 병원에 와서 엑스레이를 찍어보니 뿌리 끝에 1mm 정도의 작은 까만 점 같은 것이 보인다면 이는 신경치료 후 생긴 염증이거나 또는 흉터일 수 있다. 이럴 땐 치아의 높이 조정을 하고 상태를 지켜본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6개월마다 엑스레이 촬영을 하며 확인하는 것이다. 한두 번 확인해보면 까만 점의 크기가 바뀌는지 안 바뀌는지 알게 된다. 크기가 바꿨어도 뼈가 충분하고, 환자가 씹는데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면 수술을 하지 않고 다시 주기적인 관리를 한다. 그러나 엑스레이 촬영 결과 어느 순간 까만 점이 커졌다면 그때 치근단절제술을 고려한다. 까만 점의 크기가 작지만 불안한 마음에 수술을 결정하는 환자도 있다. 이럴 경우 뼈 이식 없이 뿌리 끝을 절개한 후 충전재로 막기만 하면 된다. 반면, 최대한 치근단절제술을 미루며 늦게 수술을 하려 했으나 환자가 내원치 않아 관리시기를 놓쳐 어느 순간 크기가 커졌다면 뼈 이식을 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치근단절제술 시 뿌리 끝 고름이 신경관에 근접한 환자라면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신경관 속으로 고름이 들어가 골수염이 되거나 신경의 변성이 오면서 신경마비가 생길 수 있다. 신경관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느냐가 안전한 수술을 좌우한다. 가능하다면 신경관에서 떨어져 있을 때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치근단절제술 후 교합치료 필수
수술 후 보통 8주간은 매주 확인해야 한다. 수술을 하면 치아가 위로 솟구쳐 올라와 씹을 때 더 많이 닿는다. 치아의 높이를 조화롭게 맞춰야만 환자가 고생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좋은 상태가 되면 이후에는 4~6개월 간격으로 정기검진을 한다. 정기검진을 하는 이유는 치아가 이동하기 때문이다. 치과에서 하는 모든 치료의 최종 목표는 잘 씹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교합을 잘 맞춰주는 교합치료가 환자에게 중요하고 꼭 필요하다. 수술 후 수년간은 정기적으로 엑스레이 촬영을 하며 관찰해야 한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