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도 수능이 140여 일 남았다. 얼마 남지 않은 기간 동안 목표 등급을 이루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수험생들을 생각하니 안쓰러운 마음이 들면서도 한편으로는 걱정되는 마음이 일기도 한다. 영어가 절대 평가로 바뀐 후 수능의 성패를 국어가 좌우하게 되면서, 수험생들은 국어 등급을 향상시키거나 현재 등급을 유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수험생들의 준비 과정을 주의 깊게 보면 이해 안 가는 현상이 하나 발견된다. 단지 올해 수험생들뿐 아니라 예비 수험생들인 고1, 2 학생들에게서도 공통적으로 이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수능 국어 준비를 혼자서 하겠다는 것이 바로 이해가 가지 않는 현상이다. 국어 성적이 2~5 등급에 해당되는 학생들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인데, 국어이기 때문에 자신의 약점을 차분히 메워간다면 좋은 등급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능을 60여 일 정도 남긴 수험생의 최종 정리 과정에서의 선택이라면 예외라고 할 수 있겠지만 고1, 2의 예비 수험생들이라면 이런 선택, 결정은 반드시 피해야만 한다.
수능 국어는 화법, 작문, 문법, 인문, 사회, 과학, 예술, 생활독서, 현대운문, 현대산문, 고전운문, 고전산문, 극/수필 등 13개의 영역이 그 범위가 된다. 문학에 해당되는 영역들은 개념 이해가 기본적으로 전제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 소설을 비롯한 문학의 각 장르에 대한 기본 개념을 명확히 숙지하는 것이 전제가 된다. 그리고 각 장르에 대한 감상법과 정서까지 모두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비문학은 인문, 사회, 과학 등 다양한 영역의 글 구조와 전개 방식, 기본적 추론 방식 등을 파악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게다가 서로 다른 두 영역에 적용하여 사고, 추론하는 종합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렇게 복잡하고 다양한 영역을 단계별로 연습해가며 부족한 부분을 찾아내서 메워나가는 일을 혼자서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국어 한 과목을 2~3년 정도의 장기간 계획을 세워서 해나간다면 가능할 수 있겠지만 다른 과목은 거의 손을 놓아야만 한다. 단지 수능뿐 아니라 내신 성적까지 관리해야 하니 수험생들에게 무리한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수험생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겠는가? 그 답은 의외로 가까운 데에 있다. 수능의 여러 주제 영역과 문제 유형들에 자신이 얼마나 적응해 있는지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곳을 활용하는 것이다. 자신의 약점이 화법과 작문에 있는지 시를 비롯한 운문에 있는지 등 영역 별 파악뿐 아니라 내용 전개 방식이나 추리/추론 등의 유형에 약점이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곳을 활용하여 준비해 나간다면 국어뿐 아니라 수능 모든 과목들을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모의고사나 수능을 치룬 모든 수험생들이 하는 공통적인 말은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시간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수능적 유형과 사고에 익숙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수능의 모든 과목과 영역, 유형들을 혼자서 공부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효율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해서 수능을 대비해 나가는 것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는 첩경(捷徑)이 된다.
현재원
국풍2000 일산직영관 원장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