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Q란 무엇인가?
지능(知能, intelligence)은 글자 그대로 지적인 능력이다. 배우고, 이해하고, 생각하고, 판단하고, 계획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그러한 모든 능력들을 말한다. 당연하게도 인간이라면 모두 지능을 가지고 있다. 사람의 뇌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여러 영역들로 이루어져 있고, 또 사람들은 다양한 맥락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그만큼 지능도 단순한 높고 낮음보다 여러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오늘날 심리학자들은 지능이 하나의 능력이 아니라 여러 가지 능력들로 이뤄져 있다고 본다. 대부분의 산업화된 사회에서는 학교 공부가 중요하기 때문에 공부를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기준으로 지능을 비교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지능의 비교방법은 지능지수(Intelligence Quotient), 즉 I.Q다. 최초의 I.Q 검사는 프랑스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 1857-1911)가 만들었다. 비네의 검사는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을 가려내기 위한 것이었으나, 나중에는 특수교육만이 아니라 다른 용도로도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미국에서는 학업적성검사(Scholastic Aptitude Test, SAT)을 만들어 대학입시에 사용했고 한국도 1993년부터 학력고사 대신 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을 실시하고 있다. IQ는 어떤 절대적인 능력을 나타내는 값이 아니라 같은 나이 대 사람들과 비교한 상대적 능력을 나타낸다. 원래 비네의 IQ는 정신연령을 신체연령으로 나눈 값을 썼지만 요즘에는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5인 정규분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IQ가 110이면 동일 연령을 기준으로 상위 25%라는 뜻이다.
학업성취도와 I.Q
그렇다면 I.Q가 높은 학생이 학업성취도도 높을까? 여러 조사에 따르면 I.Q는 성적 차이의 25% 정도를 설명한다. 다시 말해 I.Q가 높으면 대체로 공부도 잘 한다. I.Q가 성적 차이를 100%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념해둘 필요가 있다. 학업성취도에는 IQ말고도 친구나 교사로부터 받는 영향, 학업 태도, 성실성, 학습법 등 다양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친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라고 해도 대체로 I.Q가 높은 학생들이 성적도 높다. 왜 그럴까? IQ가 높으면 머리가 좀 빨리 돌아간다. I.Q 검사 자체가 짧은 시간 동안 문제를 많이 풀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I.Q가 높은 사람은 적어도 두 가지가 유리하다. 우선 학교 성적도 I.Q 검사와 마찬가지로 짧은 시간 동안 여러 개의 문제를 푸는 지필 검사로 매겨진다. I.Q가 낮은 학생이라도 시간을 충분히 준다면 I.Q가 높은 학생만큼 풀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확실히 더 걸린다. 그러니 I.Q가 높은 학생들은 같은 시간동안 시험을 보면 성적을 더 잘 받을 수 있다. 그리고 I.Q가 높으면 좀 더 빨리 배울 수도 있다. 여기에 더해 I.Q가 높은 학생들은 초반에 공부를 잘 하게 되고 이렇게 얻은 지식과 자신감으로 공부를 더 열심히 잘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I.Q 자체보다도 이런 차이가 누적 돼서 더 큰 차이가 벌어지게 된다. I.Q검사에서 수능 수리영역의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더 빨리 배우는 것은 사실이지만 충분한 연습을 시키면 경험이 부족하고 수능 성적이 더 낮은 학생들도 결국 똑같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학적 사고력이 부족한 학생도 수능에선 만점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학생들의 실력은 I.Q가 아닌 학습량에 따라 갈린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결국 우리 아이가 머리가 나쁘게 여겨지는 것은 학습량의 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충분한 시간을 주면 누구나 다 문제를 풀 수 있지만 한정된 시간 안에 풀어야 할 때 머리의 좋고 나쁨이 결정요소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면 난 머리가 나쁘니 학교시험에서 상위권은 포기하야 하나? 아니다. 비록 머리는 나쁘지만 그것은 학습에 국한된 현상일 것이다. 그리고 학습에 국한된 현상은 ‘노력’으로 다 극복 가능하다. 학생들과 인터뷰를 하다보면 자신이 스스로 머리가 나쁘다고 인정하는 학생은 거의 없다. 즉 대부분 자신의 머리는 중간정도라고 생각한다. 즉 학습의 기본 자질은 갖고 있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시간관리의 효율성에 대해서 생각해봐야 한다. 하루는 24시간이며 무한정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한정된 시간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학습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효과적인 학습법
여기서 필자는 효과적인 학습방법 두 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에 따르면 우리는 학습 후 20분이 지나면 겨우 58%만 기억한다. 그리고 9시간이 지나면 36%만 기억할 뿐이다. 이런 망각곡선을 감안하면 학습플랜을 수업 후 바로 복습하는 것을 디자인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다. 그러나 필자가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패턴을 분석해보면 대부분이 오늘 수학학원에서 강의를 받고는 집에 와서 내일 영어학원 숙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시간이 지나서야 오늘 수업한 내용을 복습하는 것이다. 이래서야 학원에서 받은 수업이 별 효과가 없게 되는 것이다. 오늘 수업한 것은 바로 복습하는 패턴을 몸에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학습중일 때는 무조건 휴대폰을 꺼두어야 한다. 필자의 컨설팅을 받은 학생들의 대부분은 평균 하루에 1시간 이상을 SNS나 게임에 쓰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집에서 학원이나 학교숙제, 예습, 복습을 할 때도 휴대폰을 이용해 게임이나 SNS를 하고 있는 학생이 많았다. 공부하는데 휴대폰에 문자가 오면 안 받기가 애매하다. 특히 사춘기의 학생들은 또래집단에서 자신이 왕따 당하지 않을까 하는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많기 때문에 거의 예외 없이 학습 중에도 SNS를 하게 된다. 휴대폰을 꺼두는 것이 이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처음에 이 방식을 따라 하는게 쉽지는 않다. 그러나 이 학습방법을 한 학기만 실행해보면 성적이 올라가는 것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편에는 실제 사례를 보도록 하겠다.
목동 씨앤씨학원 특목입시전략연구소 김진호 소장
문의 02-2643-2025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