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속해 있는 학원에는 다양한 일반인들이 논술을 배우기 위해 다니고 있다. 승진에 필요한 논술 준비를 하는 분들도 있고, 계약직으로 일 하면서 정규직 전환을 위해 논술을 준비하는 분들도 있다. 짧게는 한 달(3~4주)에서 길게는 석 달(10~12주)까지 준비한다. 공무원 시험의 지문 독해나 문법을 공부하기 위해 다니는 분들도 있다. 임용시험 준비를 위해서 학교에 다니며 논술을 준비하는 대학생들도 있고, 논술전형을 준비하는 재수생도 있다. 즉 어린 일반인들은 스무 살부터, 승진 논술을 준비하는 40대의 직장인까지 매우 다양하다.
필자가 이렇게 다양한 일반인들과 같이 공부하면서 느끼는 것은 나이가 많다고 해서 글을 잘 쓰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문장을 다듬는 것은 지식이 아니라 일종의 훈련이기 때문에 일정기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필자가 항상 느끼는 괴리감이 바로 여기에 있다. 이 분들은 적어도 짧게는 10년, 길게는 20~30년간 국어영역에 어떤 형태로든 학습을 해 온 분들인데도 불구하고 왜 필력이 초보 수준에 머물러 있는가? 일반적인 쓰기란, 반복된 훈련을 통해서 형성된다. 그래서 필요에 의해 모방쓰기를 하기도 하고, 자신의 표현력을 높이기 위해 기사문과 같이 짧은 문장을 연습하기도 한다.
쓰기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첫째로 개요 짜기를 할 줄 알아야 한다. 필자는 개요만 잘 짜도 50%의 작업이 끝났다고 평가한다. 잘 짜인 개요는 두서없는 글이 따라 갈 수 있는 지표와도 같다. 둘째로 영역의 어휘력이 필요하다. 보통 글쓰기의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부분인데, 반복되는 어휘의 사용으로 인해 단조롭고 일률적인 글이 되고, 그것을 피하기 위해 분량에 미치지 못하는 글의 분량을 양산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유연하게 생각해야 한다. 일반인들의 논술은 학생들의 논술 지도보다 매우 어렵다. 그 이유는 무시할 수 없는 경력과 학력이 바탕이 되어 자신의 글을 냉정하게 볼 수 있는 눈을 가리기 때문이다.
쓰기는 국어의 네 가지 영역 중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긴 하지만, 자신의 확고한 목적과 의지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접근해서 소기의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가장 중요한 영역이기도 하다. 논술을 배우는데 있어서는 나이의 빠르고 늦음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김정엽 교사
미담(美談)언어교육연구소 교사
문의 : 042-477-7788 www.sindlin.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