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는 부천석천농기고두마리를 부천시 향토문화재 제5호로 지정했다. 부천석천농기고두마리는 농민들이 풍년을 기원하고 서로의 노고를 위로 격려하기 위해 마을대항 농기쟁탈전과 풍물이 어우러진 마을 공동체 민속놀이다.
이 놀이는 1800년대 초부터 1910년대까지 부천 지역에 이어져 내려왔으며, 특히 철종 이후 조선 말기에 성행했던 것으로 전해 온다. 또 이 민속놀이는 농민들이 논농사의 세벌매기를 마치고 7월 백중날 마을 대항의 농기쟁탈전으로 변화 발전한 까닭에 이를 ‘상좌다툼’이라 부르기도 한다.
![농기](//www.localnaeil.com/FileData/UserFiles/Image/News/부천석천농기.jpg)
부천석천농기고두마리는 1992년 발굴돼 1993년에 고증작업 등을 거쳤고, 1999년 한국민속예술축제 문화부장관상, 경기도 민속예술축제에서 우수상과 장려상 등을 여러 차례 수상한 바 있다.
한편 시는 부천석천농기고두마리 보존을 위한 공개 심포지엄을 열고 강연회와 워크숍을 추진하는 등 우리의 전통문화와 민속놀이 계승·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다. 또 2000년부터 부천농기고두마리보존회 주관으로 매년 9월~10월에 민속놀이를 재연해오고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 놀이는 1800년대 초부터 1910년대까지 부천 지역에 이어져 내려왔으며, 특히 철종 이후 조선 말기에 성행했던 것으로 전해 온다. 또 이 민속놀이는 농민들이 논농사의 세벌매기를 마치고 7월 백중날 마을 대항의 농기쟁탈전으로 변화 발전한 까닭에 이를 ‘상좌다툼’이라 부르기도 한다.
![농기](http://www.localnaeil.com/FileData/UserFiles/Image/News/부천석천농기.jpg)
부천석천농기고두마리는 1992년 발굴돼 1993년에 고증작업 등을 거쳤고, 1999년 한국민속예술축제 문화부장관상, 경기도 민속예술축제에서 우수상과 장려상 등을 여러 차례 수상한 바 있다.
한편 시는 부천석천농기고두마리 보존을 위한 공개 심포지엄을 열고 강연회와 워크숍을 추진하는 등 우리의 전통문화와 민속놀이 계승·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다. 또 2000년부터 부천농기고두마리보존회 주관으로 매년 9월~10월에 민속놀이를 재연해오고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