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겨울 추운 날이 많고 눈이 많이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서초구는 가로수들의 건강한 겨울나기를 위해 짚싸기와 차단막 설치 등 월동작업을 실시했다.
구는 관내 배롱나무, 감나무 등 추위에 약한 수목 450주를 대상으로 볏짚으로 싸 보온을 해주고 서초로, 헌릉로의 중앙분리대 5㎞ 구간 화단과 남부순환로 등 17㎞ 구간 화단에 겨울철 강풍을 대비해 차단막을 설치했다.
도로 한복판 중앙분리대 화단에는 주로 키가 작고 잔가지가 많은 회양목, 영산홍 등의 관목을 심는데, 이 경우 30~50cm 정도 높이의 볏짚으로 만든 차단막을 설치하면 강풍으로 인해 나뭇가지가 부러지거나 뿌리가 상하는 등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볏짚을 감싸주고 띠녹지 주변에 차단막을 둘러주는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는 제설 작업 중 도로에 뿌리는 염화칼슘으로부터 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염화칼슘이 직접 잎에 닿으면 잎의 탈수현상이 심해지고 광합성 기능이 떨어져 나무가 쇠약해진다. 또한, 염화칼슘의 염류가 토양에 침투하면 뿌리 손상은 물론 양분과 수분 부족을 유발해 나무가 말라 죽기 쉽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구는 관내 배롱나무, 감나무 등 추위에 약한 수목 450주를 대상으로 볏짚으로 싸 보온을 해주고 서초로, 헌릉로의 중앙분리대 5㎞ 구간 화단과 남부순환로 등 17㎞ 구간 화단에 겨울철 강풍을 대비해 차단막을 설치했다.
도로 한복판 중앙분리대 화단에는 주로 키가 작고 잔가지가 많은 회양목, 영산홍 등의 관목을 심는데, 이 경우 30~50cm 정도 높이의 볏짚으로 만든 차단막을 설치하면 강풍으로 인해 나뭇가지가 부러지거나 뿌리가 상하는 등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볏짚을 감싸주고 띠녹지 주변에 차단막을 둘러주는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는 제설 작업 중 도로에 뿌리는 염화칼슘으로부터 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염화칼슘이 직접 잎에 닿으면 잎의 탈수현상이 심해지고 광합성 기능이 떨어져 나무가 쇠약해진다. 또한, 염화칼슘의 염류가 토양에 침투하면 뿌리 손상은 물론 양분과 수분 부족을 유발해 나무가 말라 죽기 쉽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