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당은 마음속에 있다. 내 마음에 드는 땅이 가장 좋다는 얘기다. 마음 편안하게 살 수 있는 곳이 전원주택지로도 최고다. 이런 땅을 찾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다. 집터 찾기의 방법을 일러주는 책이 ‘택리지’다.
조선시대 베스트셀러인 택리지에서 집터를 잡을 때 중요하게 보라고 한 것들이 몇 가지 있다. 이런 기준들은 요즘 전원주택지를 선택할 때도 들어맞는다.
택리지에서 집터를 잡을 때 가장 먼저 보라고 한 것이 지리다. 지리를 볼 때는 수구(水口)를 우선 보고 들판의 형세, 산의 모양, 흙의 빛깔 등을 보라고 했다. 수구가 닫혀 있는 곳이 좋지만 산간 마을처럼 수구만 닫히고 들판이 없으면 좋지 않다고 했다. 종합해보면 ‘재해없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땅이 집터로 최고’로 정리가 된다.
또 물이 좋은 곳이면 더 좋다. 토질이 사토로 굵고 촘촘하면 물이 맑고 차다고 했다. 진흙이나 찰흙, 검은 자갈로 된 토질보다 훨씬 좋은 토지가 사토다.
두 번째로 보아야 할 것으로 생리(生利)를 들었다. 아무리 좋은 지리라하더라도 먹고 살 것이 없으면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할 수 있는 일이 있는 곳, 일을 통해 이익을 낼 수 있고, 먹고 살기에 문제가 없는 터를 잡으란 것이다.
셋째로 든 것은 인심이다. 착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에 터를 잡고 살아야 편안하게 살 수 있다 했다. 이웃이 좋아야 한다는 말이다. 마을마다 인심이 다르다. 터를 잡기 전에 충분히 살펴볼 일이다.
넷째는 산수다. 가까운 곳에 산책을 하면서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산수가 있는 땅이 좋다.
택리지에서 집터를 고를 때 주의 깊게 볼 것으로 든 네 가지 내용은, 지금 전원생활 터를 고를 때도 필수 검토사항이다.
하지만 요즘 전원주택지를 고르는 사람들을 보면, 이 네 가지 중 산수에만 집착 하는 경향이 많다. 사람들은 경관부터 본다. 경관 좋은 곳이 살기도 편할 것이란 착각을 하지만 그게 아니다.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경치 좋은 곳을 고집하기보면 살기 편한 터를 놓칠 수 있다.
옛사람들은 햇살이 잘 들고 살기 편한 곳에 살림집을 짓고 살면서, 경관이 좋은 곳에는 정자를 지어놓고 날씨 좋은 날을 택해 산책하듯 다녔다. 요즘보면 정자 지을 자리에 전원주택을 짓겠다며 땅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김경래 리포터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