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종이팩 1㎏을 모아오면 쓰레기봉투 10ℓ와 교환해주는 제도를 운영한다. 교환 가능한 종이팩은 1㎏ 기준 200㎖ 경우 100개, 500㎖는 55개, 1000㎖ 는 35개 분량이다.
방법은 종이팩 내용물을 비우고 펼쳐서 물로 헹군 후 건조해 동 주민센터에서 교환하면 된다. 지난해까지는 종이팩을 재생 화장지로 교환했으나, 올해부터는 쓰레기봉투로 바꿨다.
개인 외에도 어린이집에서도 우유팩 교환이 가능하다. 방식은 우유팩 2㎏에 교구용 찰흙 1개를 교환해 갈 수 있다. 종이팩은 천연펄프를 원료로 한 고급종이로 100% 수입에 의존하며 가볍고 튼튼해 우유, 주스 등의 용기로 사용된다.
우리나라 종이팩 배출량은 연간 6만5000여 톤으로 이를 생산하는데 20년생 나무 130만 그루가 사용된다. 종이팩을 일반종이와 함께 배출하면 재활용 공정상 해리시간 즉, 재활용 과정에서 종이가 물에 풀어지는 시간이 달라 대부분 폐기물로 버려져 심각한 자원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방법은 종이팩 내용물을 비우고 펼쳐서 물로 헹군 후 건조해 동 주민센터에서 교환하면 된다. 지난해까지는 종이팩을 재생 화장지로 교환했으나, 올해부터는 쓰레기봉투로 바꿨다.
개인 외에도 어린이집에서도 우유팩 교환이 가능하다. 방식은 우유팩 2㎏에 교구용 찰흙 1개를 교환해 갈 수 있다. 종이팩은 천연펄프를 원료로 한 고급종이로 100% 수입에 의존하며 가볍고 튼튼해 우유, 주스 등의 용기로 사용된다.
우리나라 종이팩 배출량은 연간 6만5000여 톤으로 이를 생산하는데 20년생 나무 130만 그루가 사용된다. 종이팩을 일반종이와 함께 배출하면 재활용 공정상 해리시간 즉, 재활용 과정에서 종이가 물에 풀어지는 시간이 달라 대부분 폐기물로 버려져 심각한 자원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