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다. 아직은 날이 풀리지 않았지만, 새싹도 돋아나고 날도 한결 풀려서 슬슬 몸도 풀리고 기운이 나야하는 시기다. 그런데 어떤 아이들은 스트레스가 커지기도 한다. 특히 유치원에서 자유롭게 잘 놀기만 하면 칭찬받았던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처음 입학했을 때,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규제가 많아지고, 성취에 대한 압박도 커지기 때문이다.
아이들만 힘든 건 아니다. 아이들을 책임져야하는 엄마는 어쩌면 더 큰 고민에 빠져있을지도 모른다. 옆집 아이, 친구 아이 등 모두 경쟁대상이다. 내 아이가 조금만 쳐지는 것 같으면 불안감이 높아져서 여기저기 학원을 알아보고 아이가 조금만 잘못해도 혼내기 쉽다.
그런데 아빠는 이런 상황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 아빠가 어렸을 때는 누가 신경써주지 않아도 학교를 잘 다녔다. 때론 선생님한테 혼나기도 하고, 친구랑 싸우기도 했다. 공부를 썩 잘하진 못했지만, 지금 먹고사는데 크게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다. 시간이 지나면 아이들도 알아서 크고, 나처럼 자기 역할 하면서 먹고 살 텐데, 아이는 너무 나약해보이고, 아이가 기운이 없다고 지적하는 선생님은 오버하는 것 같고, 그걸 듣고 노심초사 하고 있는 아내는 답답하기만 하다.
유명한 심리학자 에릭슨은 초등학교 시기에 습득해야할 가장 중요한 능력이 성실성이라 했다. 성인으로서 살아가는데 있어서 직업적으로 필요한 것 말고는 초등학교 수준만 알면 대부분의 상황을 별 무리 없이 지나갈 수 있다. 그렇다면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정도는 잘 알고 있어야 향후 70-80년을 무난히 지낼 수 있지 않을까.
요즘 여기저기서 창의성을 강조하지만, 초등학교 시기는 사회성까지 포함해서 기초적인 수준에서 알아야할 것들이 많기 때문에 가르치는 것들을 잘 습득해야 하는 시기이다. 일단 직선을 제대로 그을 줄 알아야 네모도 그릴 수 있고, 마름모도 그릴 수 있는 법인데, 직선을 가르칠 때 아이가 집중을 하지 못하거나, 아이는 직선을 긋지 못하는데 아무도 알아채지 못하고 네모를 그리는 단계로 넘어가버리면, 아이는 그림 그리는 시간에 위축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과정은 국어, 수학 뿐 아니라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바른 생활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고, 위축되는 과목이 많을수록 아이는 학교 적응이 힘들어진다.
학교를 보내기 전에 테스트를 해보면 좋겠지만, 보통은 그럴 여유가 없고, 아이의 부족한 점을 미리 인식하기도 쉽지 않다. 방법은 그냥 학교생활을 잘 파악하는 것이다. 담임선생님과의 면담은 아내에게 맡기자. 아빠가 해야 할 역할은 아이와 학교생활에 대해서 대화를 하는 것이다. 어떤 수업이 제일 재미있는지, 어떤 수업이 제일 싫은지, 그리고 그 이유가 뭔지, 요즘 친하게 지내는 친구 이름이 뭔지, 주로 뭘 하고 노는지, 담임 선생님은 어떤지 등의 질문을 해보자.
한 가지 팁이 있다면, 그 시절에 아빠는 만들기가 좋았는데 그 시간이 부족해서 아쉬웠다든지, 선생님이 너무 무서워서 숙제 하느라고 정신이 없었다든지 하는 경험을 말해주는 게 좋다. 아빠의 질문과 아이의 대답, 그리고 아빠의 경험담이 한 번씩 오고가면 다음부터는 아이와의 대화가 훨씬 쉬워진다. 이런 대화를 하는데 시간은 10분이면 족하다. 아이는 소통할 수 있는 친구는 얻게 되고, 아내는 자상한 남편 덕에 불안감이 줄어들게 된다.
지우심리상담센터 성태훈 소장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