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가라사대 두피엔 김진숙 원장
어려서부터 좋은 대학을 가는 것이 성공이라고 가르치는 교육제도에 의해 우리 아이들은 밤이 깊은 12시에도 책상에서 수많은 책들과 씨름한다. 인성과 지성이 형성되고 한 사람으로 성장하는 청소년기에 서로 인정하고, 협력하는 것을 배우는 대신 경쟁에서 승리하고, 약자를 발판으로 정상에 올라가는 법을 배우고 있다.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의 중년들은 아이들이 어떻게 가정교육을 받았기에 예의가 없고, 개념이 없는지 모르겠다고 말한다. 그러기에 앞서 우리는 왜 아이들이 이렇게 될 수밖에 없었는지를 생각해 봐야하지 않을까? 입시라는 전쟁터를 통해 어려서부터 배워온 ‘인성과 성취’사이에서 좌절과 갈등을 반복하며 점수로 한 사람의 인격과 가치를 등급으로 나누는 학교와 사회에서 최고가 아니라는 이유로 외면당하기도 한다. 사회적 분위기가 등급이 낮으면 무시를 당하는 상황이라 아이들은 어쩔 수 없이 자신의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해 점수 상승을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 학교가 끝나면 6시, 아이들은 1점이라도 더 받기 위해 여러 군데의 학원을 다니면서 새우잠을 잔다. 이것은 내 자식에게도 있었던 하루 일상이었으며,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중고등 학생이라면 많은 이들이 이런 생활을 하고 있을 것이다. 누가 그들을 이렇게 만들었을까? 요즘 뉴스와 언론에서 청소년 탈모가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사를 쓰는 기자들도 우리 학생들의 이런 고충을 알까? 우리는 탈모를 비롯한 질병의 가장 큰 원인이 스트레스라고 말한다. 떨어진 시험 점수, 부모님의 실망, 학교 선생님의 호통으로 인해 우리 아이들이 주눅 든 모습을 생각해 보라. 아이들은 시험이라는 이름으로 스트레스 받고 부모님과 사회 분위기에 의해 더 스트레스 받는다.
아침 일찍 학교 가기위해 샤워하고 나온 후, 하수구를 본적 있는가? 아마 하수구를 꽉 막고 있는 머리카락을 보게 된다면 놀랄 것이다. 머리를 감고 자신의 손가락에 끼어있는 한 뭉치 머리카락을 보게 될 우리 아이들의 심정은 어떨까? 머리를 말릴 때 마다 눈처럼 떨어지는 머리카락, 빗을 때마다 빗에 걸려 빠지는 머리카락들 이 모든 것이 아이들을 탈모라는 질병으로 몰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로인해 학업성적이 떨어지고 성격이 극도로 예민해지진 않았는지.
어느 날 얼굴이 수축해 보이는 한 어머님이 모자를 꾹 눌러쓴 아들을 데리고 내게 상담을 받으러 오셨다. 중3이었는데 모자를 벗는 순간 아무 말도 할 수가 없었다. 원형탈모가 너무 심해서 몇 가닥의 모발만 남아 있을 뿐 90%정도의 모발이 없는 상태였다. 불과 3년 만에 일어난 것이라고 했다. 내게 무릎을 끌고 제발 아들을 살려달라고 애원하는 모습에 눈물이 절로 나왔다. 처음엔 머리카락이 평소보다 더 많이 빠지는 것에 놀라서 시작된 것이 주위의 무관심으로 인해 자신은 스트레스를 받았던 모양이었다.
아이들이 진정 밝고, 건강하게 잘 자라주기 원한다면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을 먼저 고민해주고, 아이들을 도서관으로 학원으로 몰아내기보다는 따뜻한 밥 한 공기를 같이 먹으면서 수다를 떨어주는 밥상친구가 되어줘 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 본다. 외모에 가장 관심이 많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탈모란 가장 큰 적일수도 있다. 결국 청소년들에게 일어나는 탈모는 내적인 마음상태가 밖으로 표출되는 하나의 방법이라는 것을 우리 모두가 알았으면 좋겠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