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방학인 요즘, 부천시근로자종합복지관(원미구 중2동) 2층 사랑나무 가족도서관은 아이들로 붐빈다. 동네 가까이에서 오거나 엄마 손을 잡고 괜찮은 겨울방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서 온 타 동네 학생들이다. 도서관 책을 이용해서 방학 숙제를 하러 온 아이들도 꽤 된다. 이 아이들처럼 올 겨울 방학 실력은 도서관에서 키워보자. 그래서 알아본 작은 도서관 활용법 몇 가지.
활용법 A - “알쏭달쏭한 교과 내용 파악은 도서관 책으로”
“겨울방학은 중요해요. 초등 고학년에 나오는 어려운 개념들은 단순한 정보로는 해결되지 않으니까요. 다방면의 지식이 필요할 거예요. 그럴 때 도서관 책을 활용하세요. 모든 분야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거든요.” 사랑나무도서관 김민영 사서는 방학 때는 책을 읽으며 배경지식을 쌓으라고 권했다. 다양한 책읽기는 학교 공부에 플러스가 되기 때문이다. 도서관에는 집에 없는 어학사전이나 백과사전, 도감들이 많다. 이 책을 잘 활용하면 방학 숙제 해결에도 큰 도움이 된다. 도서관은 책만 읽는 곳일까? 그렇지 않다. 특강도 듣고 독서 프로그램에도 참여해서 방학을 알차고 보람 있게 보낼 수 있다. 나만의 계획표를 잘 만들어 도서관 책을 활용한다면 금상첨화다. 어느새 실력이 부쩍 늘어나 있을 테니까.
“방학 때는 아이들이 2배로 늘어나요. 편하고 친근해서일 거예요. 도서관에서 친구를 만나기로 약속하는 것 근사하지 않나요? 사서 선생님과 눈인사도 해봐요. 자주 눈도장을 찍는 친구들은 이름도 불러준답니다.”
활용법 B - “꿩 먹고 알 먹는 겨울특강 프로그램”
오전 10시 30분, 이곳에서는 겨울방학 특강인 최영순 강사가 진행하는 ‘전통과학으로 만나는 우리 문화’를 교육하고 있었다. 김단우(성곡초 2) 군은 “엄마는 복지관에서 에어로빅을 배우고 나는 도서관에서 우리나라 문화를 배운다”고 말했다. 정순영(상동) 씨는 “전통과학 프로그램이 특별해서 아이를 데리고 왔다”고 했다. 정 씨에게 동네도서관이 왜 좋은 지를 물었더니 “가까워서 좋고, 다양한 책이 있고, 특강이 있어서 좋다”며 “당장은 모르겠지만 종합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는 복합공간이라 아이에게 좋은 곳”이라고 답했다.
도서관에 가는 습관은 어떻게 기를까. “일단 책 읽는 게 재밌어야겠죠. 책과 친해져야 하니까요.” 김 사서는 도서관에 와서 좋아하는 책을 골라보라고 했다. 추천도서는 참고 도서이지 개인의 독서수준을 고려한 게 아니다. 쉬운 책부터 차근차근 읽기 시작하면 쉽고 재미있는 책의 세계를 알아가게 될 것이기 때문이란다.
활용법 C - “동네 도서관을 나의 아지트로 만들기”
“책을 읽어야 독서습관을 기를 수 있으니 매일 도서관에 가세요. 겨울방학을 맞은 부천지역의 작은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독서프로그램이 많답니다. 참여해보세요.”
김 사서는 도서관에서 책을 읽고 출석에 따라 상품을 받을 수 있어서 독서습관을 기르는데 제격인 ‘도서관에서 살아남기’ 프로그램을 추천했다. 올 1월 19일까지 계속되는 이 프로그램은 매일 도서관에 가서 좋아하는 책을 읽고, 책 달력에 책 제목과 지은이, 책 읽은 소감을 한마디씩 쓰는 것. 사서 교사에게 스티커를 받아 붙여 완성하면 잘한 사람에게는 상품도 준다. 주의할 점은 게으름 피우지 말고 도서관을 자신의 아지트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방법을 써서 습관을 길러보세요. 사람마다 집중이 잘 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아침이든 저녁이든 시간을 정해두고 책을 읽거나 그렇게요.”
임옥경 리포터 jayu777@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