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음의 문제를 전혀 인정하지 않는 가족을 입원시키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입원만 하면 술을 끊을 것으로 잔뜩 기대한 보호자들은 힘겹게 환자를 입원시키자마자 진이 빠져버린다. 이제 모든 어려움이 끝난 줄 알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이제 끝이 아니라 지루한 회복 과정의 본격적인 시작이다. 보호자 또한 멀고 긴 회복의 과정에서 지치지 않고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 자신부터 준비해야 한다.
거의 대부분 보호자가 환자와 질환을 잘 몰라 시행착오를 수없이 겪는다.
첫 번째 착오는 환자라면 으레 본인이 먼저 알아서 나으려고 애써야 한다고 기대하는 것이다. 아기가 아닌 한 신체 질환을 앓는 경우 본인이 먼저 어떻게든 빨리 나으려고 애쓴다. 그러나 알코올의존의 경우에는 본인은 전혀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 주위 사람들이 먼저 알고 괴로워한다.
다음으로 도움에 대하여서도 잘 알아야 한다. 일반적인 병은 어디를 도와주어야 하는지 금방 알 수 있다. 허리를 못 쓰면 몸을 부축하고, 눈이 안 보이면 대신 읽어주고, 위장 문제가 있다면 먹는 것을 챙겨주면 잘 돕는 셈이 된다. 당연히 그 나머지 웬만한 기능은 본인에게 맡긴다. 도움이 필요한 바로 그 점을 정확하게 알고 도와주고, 능히 해낼 수 있는 것을 못 미더워 챙기려 들지 않아 효과적이다. 과음의 문제를 돕는 보호자의 혼란은 바로 이 점이다. 늘 불안하여 앞질러 걱정하고 챙겨주려고 하므로 오히려 짜증을 내는 수가 흔하다.
과음 문제의 본질을 잘 모른 채 맹목적으로 도와주겠다고 나서다 보면, 거부감을 일으키고 충돌하거나 분노를 촉발시키는 수가 흔하다. 알코올의존은 누가 뭐라 해도 분명한 정신과 질환이고, 그 뜻은 마음이 병들었다는 뜻이다.
정말로 도움이 필요한 것이 바로 이 마음인데, 도와주겠다는 사람이 바로 이 점에 대해서는 까마득하게 몰라 문제가 된다. 이 점을 이해하지 못하고, 간에 좋다고 뒤쫓아 다니면서 미나리 즙을 먹이려고 안달복달하고, 오로지 약 먹기만 채근한다. 역정을 내는 이유는 마음은 알아보려 하지 않고 자기 방식의 도움만 고집하기 때문이다.
과음 문제를 앓는 사람들은 마음의 고통을 잘 드러내려 하지 않는다. 보호자 또한 과음의 후유증 해결에 압도되어, 마음의 어려움에는 눈길을 주지 못하는 수가 많다. 이제 입원하였으니 한숨 돌리고, 앞으로 회복을 도울 준비를 하면 좋겠다. 마음에 대하여 공부하고 이를 위해 가족 집단치료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 정호 (연세 원주의대 정신과 교수, 강원알코올상담센터 소장)
무료 상담: 강원알코올상담센터 748-5119 ww.alja.yonsei.ac.kr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