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발표가 있던 지난 6일 밤 인천시청 앞 광장. 인천시 공무원과 인근 주민들이 속속 모여들었다. 평창 유치를 응원하고 동계올림픽 개최지 발표를 지켜보기 위해서였다. 오후 8시부터 시작된 응원전은 이날 평창이 개최지로 최종 결정날 때까지 이어졌다. 국제경기 유치전에 다른 지방자치단체가 집단 응원전을 펼친 것은 이례적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과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은 한 묶음”이라며 “함께 한다는 의미로 응원전을 펼치게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개최지 발표 이후 상황은 엇갈렸다. 2018년 강원도 평창 동계올림픽에는 정부 차원의 각종 지원계획이 쏟아졌다. 7조원 규모의 기반시설과 올림픽 특구지정 등이 약속됐다.
반면 인천시는 기본적인 국비조차 확보하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됐다.
인천시는 2014년까지 아시안게임 경기장 등 시설 준비와 도시철도 2호선 건설로 사실상 재정운용이 제한된 상태다. 특히 4900억원이 투입되는 주경기장 건설은 국비를 한푼도 확보하지 못해 전액 인천시가 책임져야 할 처지다. 인천시는 올해 부채 10조원 돌파를 눈앞에 둘 정도로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 매년 4000억원의 예산이 부족하다는 게 인천시 자체 진단이다.
사정이 다급해지자 인천시는 최근 신동근 정무부시장과 인천 출신 여야 국회의원들이 모임을 갖고 타개책 마련에 나섰다.
인천시는 정부에 △주경기장 △지하철 2호선 △송도컨벤시아 2단계 사업 △강화경기장 진입로 등에 대한 국비지원을 요청했다. 인천시는 전임시장 시절 정부에 국비지원 없이 민자를 통해 주경기장을 짓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신동근 정무부시장은 “부동산경기 하락 등으로 민자를 통해 아시안게임 기반시설을 건설한다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게 됐다”며 “변화된 조건에 맞게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신 부시장은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이 한 묶음이었던 것처럼 2018 동계올림픽과 2014 아시안게임도 한 묶음”이라며 “지자체에만 맡길 게 아니라 국가적 사업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