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주를 얼마간 하였다고 해서 과음의 문제로부터 바로 벗어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당사자는 물론 배우자나 가족들도 마찬가지다.
단주 초기에 몸이 나아지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머지 모든 것은 으레 저절로 나아지는 줄로 안다. 당연히 장기적으로 치료를 더 계속할 이유를 찾지 못한다. 더구나 정신과에서 알코올중독이라는 딱지를 붙이고서 말이다. 그 결과 또다시 음주 실수를 하기도 하고 예전처럼 습관적으로 과음하여 실패를 거듭하기도 한다.
알코올중독의 후유증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간경화 같은 신체적 악영향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뜻이다. 몸만이 아니라 감정과 정신, 가정과 직업 등의 사회생활, 나아가 영적인 면까지 지대한 장애를 남긴다. 이러한 부분들은 술을 끊었다고 자동으로 회복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에 대하여 합당하게 깨우치고 연습과 훈련으로 몸에 배어들게 해야 한다.
오랫동안 단주해 온 C씨가 요즘 부쩍 자신이 충분히 회복하지 못하여 괴롭다는 것이었다. 10년 가까이 단주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가정적으로나 직업적으로 정체되어있는 그를 지켜보는 것은 안타깝지만, 한 단계 더 높은 회복의 전기를 찾는 것이 퍽 희망적이었다. 오랜 세월을 집안에서 가족과도 거의 대화가 없고, 홀로 단주하는 것에 모든 의미를 부여하였던 그가 아니었던가. 단주 모임에서도 초연했던 그가 이제는 동료들과도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눈다. 동료들과 거침없이 사회적인 교류를 반복하다 보면 회복의 또한 고비를 넘어서리라.
손상 받은 신체적 상태가 나아지고 자기 내면의 심리적 안정을 되찾고 다음으로 사회적 존재로서 타인들과 서로 만족하는 관계를 이루어낼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가장 가까운 사람들, 배우자나 자녀들과 화해하고 서로 믿고 지지하는 관계로 복원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지난날 과음으로 세상의 그 누구보다도 많은 상처를 서로 주고받은 사이라서 회복이 더 더딜 수밖에 없다.
가족들이기에 관계가 더 빨리 회복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시간이 더 걸린다. 더 빨리 교정적인 사회관계를 경험하기에는 과음의 문제로 똑같이 망가진 경험이 있는 단주의 선배나 동료들이 편하다. 집단치료가 또 다른 차원에서 중요한 이유이다.
아직 부인을 대하면 긴장이 앞서 굳어지고, 아들딸과의 관계도 서먹서먹하여 결코 서로 만족한 관계라 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제야말로 사회적 회복에 발을 뗀 것은 분명한 발전이다.
강원알코올센터 신정호 소장(연세대 원주의대 정신과 교수)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