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의 계절이 돌아왔다. 중심상업지역과 눈에 띄는 건물에는 하나같이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하려는 예비후보들의 현수막이 초대형으로 걸려 있다. 그러나 선거에서 주인은 후보자가 아닌 유권자이다. 후보자는 유권자들의 봉사자이자 대변인일 뿐이다.
오는 6월 2일에는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있는 날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시·도지사, 시·도교육감, 시·도교육의원, 구·시·군의장, 시·도의회의원, 구·시·군의회의원, 시·도비례대표의원, 구·시·군비례대표의원 무려 8번의 투표를 거치게 된다. 유권자가 뽑아야 할 사람이 전국적으로 약 4000여명에 달한다고 하니 이름도 들어보지 못한 상태에서 투표장에 들어서는 유권자도 많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는 역대 최대 규모의 치열한 선거전이 예상돼 선거운동과열로 인한 불법·부정행위에 대한 걱정도 크다.
1995년 6월 우리의 염원이었던 지방자치제가 만들어진 후 그동안 너무나 많은 시행착오, 그리고 선거로 인한 반목과 갈등으로 점철되어 왔다. 각종 비리, 임기 중 직위상실 및 타직의 출마를 위한 사퇴, 끝없는 갈등과 대립 등 정쟁이 끈이질 않았다. 이번 선거가 끝나고 나서도 당선자가 무효가 되고 다시 보궐선거를 치르는 악순환이 계속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선거 때 후보자나 정당들은 실현 가능한 정책, 책임 있는 정책을 내놓아 유권자로부터 지지를 얻기 위해 선의의 경쟁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후보자나 정당은 선심성 공약, 허구에 찬 공약, 때로는 지역감정을 부추기면서 우선 당선되고 보자는 식의 선거운동을 벌일 수 있다.
유권자 역시 도덕성을 지니고 구체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책을 제시하는 후보자나 정당을 선택하기보다는 지연, 학연, 혈연에 따라 투표하는 경향이 아직도 남아 있다. 앞으로의 선거에서 당연히 퇴치해야할 선거의 악습인 것이다.
유권자가 똑바로 서 있다면 정치란 그렇게 혐오스럽거나 추잡한 것이 아니다. 반면 당선만이 목표인 후보자들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그런 사람은 당선돼서도 매사에 원칙과 정도보다는 자기 이익에만 혈안이 되어 활동한다. 후보자는 정정당당히 경쟁하고 결과에 깨끗하게 승복하는 정치풍토를 정착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선거 때만 나타나는 상호 비방행위나 언어폭력으로 도배된 선거문화는 선거 후에도 당락을 떠나 서로에게 승복을 하지 않고 크나큰 후유증으로 남아 적으로 살아가는 그들을 자주 대하면서 이것이 진정한 지방자치제의 결과물인가 하는 회의마저 들게 한다.
후보자는 공인이다. 선거 때 마다 등장하는 후보자의 자질문제는 이번선거에도 여지없이 거론되고 있으며 후보자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한 파악은 유권자가 꼼꼼히 챙겨야 한다. 남성·여성, 나이의 많고 적음 간에 후보자로서는 동등한 입장을 가진다. 단지 후보자로서의 직책에 맞는 적임자 여부는 선거의 주인인 유권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권한인 것이다. 20년이 훌쩍 넘은 풀뿌리 민주주의인 지방선거를 정착하는 발판이 되며 앞으로 지방자치의 중흥여부가 달려있는 막중한 선거임에 분명하다. 따라서 유권자들은 정치개혁을 말로만 외쳐댈 것이 아니라 진정한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해 근시안적 사고를 버리고 선거문화부터 바로잡아가고 노력해 간다면 지역, 나아가 우리나라의 정치문화는 더욱 상향되는 단계를 접하지 않을까 기대해 보는 바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오는 6월 2일에는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있는 날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시·도지사, 시·도교육감, 시·도교육의원, 구·시·군의장, 시·도의회의원, 구·시·군의회의원, 시·도비례대표의원, 구·시·군비례대표의원 무려 8번의 투표를 거치게 된다. 유권자가 뽑아야 할 사람이 전국적으로 약 4000여명에 달한다고 하니 이름도 들어보지 못한 상태에서 투표장에 들어서는 유권자도 많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는 역대 최대 규모의 치열한 선거전이 예상돼 선거운동과열로 인한 불법·부정행위에 대한 걱정도 크다.
1995년 6월 우리의 염원이었던 지방자치제가 만들어진 후 그동안 너무나 많은 시행착오, 그리고 선거로 인한 반목과 갈등으로 점철되어 왔다. 각종 비리, 임기 중 직위상실 및 타직의 출마를 위한 사퇴, 끝없는 갈등과 대립 등 정쟁이 끈이질 않았다. 이번 선거가 끝나고 나서도 당선자가 무효가 되고 다시 보궐선거를 치르는 악순환이 계속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선거 때 후보자나 정당들은 실현 가능한 정책, 책임 있는 정책을 내놓아 유권자로부터 지지를 얻기 위해 선의의 경쟁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후보자나 정당은 선심성 공약, 허구에 찬 공약, 때로는 지역감정을 부추기면서 우선 당선되고 보자는 식의 선거운동을 벌일 수 있다.
유권자 역시 도덕성을 지니고 구체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책을 제시하는 후보자나 정당을 선택하기보다는 지연, 학연, 혈연에 따라 투표하는 경향이 아직도 남아 있다. 앞으로의 선거에서 당연히 퇴치해야할 선거의 악습인 것이다.
유권자가 똑바로 서 있다면 정치란 그렇게 혐오스럽거나 추잡한 것이 아니다. 반면 당선만이 목표인 후보자들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그런 사람은 당선돼서도 매사에 원칙과 정도보다는 자기 이익에만 혈안이 되어 활동한다. 후보자는 정정당당히 경쟁하고 결과에 깨끗하게 승복하는 정치풍토를 정착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선거 때만 나타나는 상호 비방행위나 언어폭력으로 도배된 선거문화는 선거 후에도 당락을 떠나 서로에게 승복을 하지 않고 크나큰 후유증으로 남아 적으로 살아가는 그들을 자주 대하면서 이것이 진정한 지방자치제의 결과물인가 하는 회의마저 들게 한다.
후보자는 공인이다. 선거 때 마다 등장하는 후보자의 자질문제는 이번선거에도 여지없이 거론되고 있으며 후보자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한 파악은 유권자가 꼼꼼히 챙겨야 한다. 남성·여성, 나이의 많고 적음 간에 후보자로서는 동등한 입장을 가진다. 단지 후보자로서의 직책에 맞는 적임자 여부는 선거의 주인인 유권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권한인 것이다. 20년이 훌쩍 넘은 풀뿌리 민주주의인 지방선거를 정착하는 발판이 되며 앞으로 지방자치의 중흥여부가 달려있는 막중한 선거임에 분명하다. 따라서 유권자들은 정치개혁을 말로만 외쳐댈 것이 아니라 진정한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해 근시안적 사고를 버리고 선거문화부터 바로잡아가고 노력해 간다면 지역, 나아가 우리나라의 정치문화는 더욱 상향되는 단계를 접하지 않을까 기대해 보는 바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