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해주기 위해 시작된 이 지역의 ‘사회적예술기업’이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 노동청이 대표 한 길우, 개인 뿐 아니라 연대책임을 물어 사회적 기업 인증 박탈과 지원중단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에서 광주시나 노동청 역시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 대표의 횡령은 노동청과 광주시의 관리감독 부실에서 비롯됐다. 사람을 채용하고 퇴사시키는 것에 대한 최종 승인은 노동청이 했으며, 분기별로 서류를 검토해 지원금의 중단 유무도 판단했어야 했다. 그러나 노동청은 사업, 초기 대표에 대한 직원들의 내부 고발이 있었음에도 감사에 나서지 않았다.
광주지방노동청 관계자는 “현재는 대표에 대한 확실한 수사 결과가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고, 대표의 잘못으로 발생한 피해는 기업에 연대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고, 결국 사회적 기업의 인증 박탈과 함께 지원도 중단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 지역 문화계 인사들은 벽화사업뿐 아니라 스토리텔링 등, 문화 인프라 구축을 위해 예술 특화된 기업은 지켜야 한다는 입장이며 광주`전남문화연대, 지역문화교류재단, 주)미디어연구광주지사, 난쟁이, 스토리텔링작가협회, 민미협, 소설가협회 등에서 존속 옹호를 위한 성명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동안 일해 왔던 예술인들을 만났다.
♠ 윤은화(38, 아트상품팀장) - 가장 먼저 안타깝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1년 넘게 유지되어 온 회사가 대표 한사람의 횡령 혐의로 좌초 위기를 맞았다. 관리 감독을 소홀히 한 노동청이 오히려 연대 책임을 직원들에게 물으니 기가 막힌다. 우리는 축제 기획을 주로 맡아 행사 진행을 해 왔고 수익도 낸 팀이다. 가능하면 좋은 방향으로 빨리 해결이 되었으면 좋겠다. 이런 막연함이 싫다. 어떻게 할 것인 지 노동청의 확실한 대답을 듣고 싶다.
♠ 이향님(47, 아트상품팀) - 생활비의 갑작스런 중단은 말도 안 된다. 월급을 두 달째 못받고 있으니 누가 이것을 보상해줄 것인가. 대표의 잘못으로 그 피해를 고스란히 직원들이 받고 있으니 너무한다는 생각이 든다. 정부에서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기업을 늘려간다 말하는데 오히려 이곳을 없앤다고 하니... 더 이상 할 말이 없다. 대표는 대표고 직원들의 월급은 보장해주어야 하는 것이 옳지 않은가.
♠ 김정원(36, 기회1팀장) - 사회적 예술기업이 왜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처음의 이유에 충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기업이 자생발전을 위해 토착화 되도록 도움을 주지는 않은 채 오히려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소외된 분야의 예술인들이 자신의 작업을 해내면서 일도 할 수 있는 처음의 의도로 돌아가야 한다. 전국 최초의 예술 기업의 실패는 없어야 한다.
♠ 김미정(44, 기획2팀장) - 문화수도인 이 지역에 예술기업은 당연히 존속되어야 한다. 임금도 당연히 지급해야 한다. 일자리가 없어져 생계가 위협당하고 있다. 직장은 당연히 존속되어 생활하는데 불편함을 없애주어야 한다. 정부에서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을 늘려가고 있는데 시대의 역행이다. 현재 우리 회사의 존폐위기를 타개하는 방법은 수정, 보완이다. 부실을 이야기 하지만 대표를 제외하고 회사가 여기까지 오는데도 많은 일들을 겪었고 시간도 걸렸다. 현재를 수정해 보완하는 방법을 찾아 존속해야 한다.
♠ 이영희(47, 기획2팀) - 기업이 존재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내부 감시 시스템을 만들지 못한 점은 있지만 노동청이 대표의 잘못을 기업에 연대책임으로 물어 지원 중단을 논의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조치다. 한 예로 대표가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과정에서도 노동부는 직원 채용을 했고 그 직원들은 쉽게 말해 실업급여도 받을 수가 없는 위치다. 이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 문학렬(53, 미술팀장) - 이번 사건은 엄밀히 말해 사회적 기업 자체의 총체적 부실이라기보다는 대표 한 사람의 독단적인 운영과 횡령이다. 내부 감시 시스템을 만들지 못한 점은 있지만 노동청이 대표의 잘못을 기업에 연대책임으로 물어 지원 중단을 논의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조치다. 이 기간에도 벽화나 조형물 사업 등 기업이 진행하는 업무는 진행해왔다. 잘못이 기업에만 있는 것도 아니고, 노동청이나 광주시 역시 관리감독 부실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도 모든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시키고 있다. 여기서 일하는 예술인들은 한 달 78만원 임금보다 문화 인프라 구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기업이 중단되면 큰 꿈이 사라진다. 아시아 문화중심도시를 지향하는 지표 역할 뿐 아니라, 정부 시스템과 NGO단체의 보호마저도 받을 수 없는 사각 지대에 놓여있는 예술인들에게 절대 필요한 시스템이다.
문의 : 062-269-4722
범현이 리포터 baram8162@nate.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그러나 이 모든 것에서 광주시나 노동청 역시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 대표의 횡령은 노동청과 광주시의 관리감독 부실에서 비롯됐다. 사람을 채용하고 퇴사시키는 것에 대한 최종 승인은 노동청이 했으며, 분기별로 서류를 검토해 지원금의 중단 유무도 판단했어야 했다. 그러나 노동청은 사업, 초기 대표에 대한 직원들의 내부 고발이 있었음에도 감사에 나서지 않았다.
광주지방노동청 관계자는 “현재는 대표에 대한 확실한 수사 결과가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고, 대표의 잘못으로 발생한 피해는 기업에 연대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고, 결국 사회적 기업의 인증 박탈과 함께 지원도 중단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 지역 문화계 인사들은 벽화사업뿐 아니라 스토리텔링 등, 문화 인프라 구축을 위해 예술 특화된 기업은 지켜야 한다는 입장이며 광주`전남문화연대, 지역문화교류재단, 주)미디어연구광주지사, 난쟁이, 스토리텔링작가협회, 민미협, 소설가협회 등에서 존속 옹호를 위한 성명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동안 일해 왔던 예술인들을 만났다.
♠ 윤은화(38, 아트상품팀장) - 가장 먼저 안타깝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1년 넘게 유지되어 온 회사가 대표 한사람의 횡령 혐의로 좌초 위기를 맞았다. 관리 감독을 소홀히 한 노동청이 오히려 연대 책임을 직원들에게 물으니 기가 막힌다. 우리는 축제 기획을 주로 맡아 행사 진행을 해 왔고 수익도 낸 팀이다. 가능하면 좋은 방향으로 빨리 해결이 되었으면 좋겠다. 이런 막연함이 싫다. 어떻게 할 것인 지 노동청의 확실한 대답을 듣고 싶다.
♠ 이향님(47, 아트상품팀) - 생활비의 갑작스런 중단은 말도 안 된다. 월급을 두 달째 못받고 있으니 누가 이것을 보상해줄 것인가. 대표의 잘못으로 그 피해를 고스란히 직원들이 받고 있으니 너무한다는 생각이 든다. 정부에서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기업을 늘려간다 말하는데 오히려 이곳을 없앤다고 하니... 더 이상 할 말이 없다. 대표는 대표고 직원들의 월급은 보장해주어야 하는 것이 옳지 않은가.
♠ 김정원(36, 기회1팀장) - 사회적 예술기업이 왜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처음의 이유에 충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기업이 자생발전을 위해 토착화 되도록 도움을 주지는 않은 채 오히려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소외된 분야의 예술인들이 자신의 작업을 해내면서 일도 할 수 있는 처음의 의도로 돌아가야 한다. 전국 최초의 예술 기업의 실패는 없어야 한다.
♠ 김미정(44, 기획2팀장) - 문화수도인 이 지역에 예술기업은 당연히 존속되어야 한다. 임금도 당연히 지급해야 한다. 일자리가 없어져 생계가 위협당하고 있다. 직장은 당연히 존속되어 생활하는데 불편함을 없애주어야 한다. 정부에서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을 늘려가고 있는데 시대의 역행이다. 현재 우리 회사의 존폐위기를 타개하는 방법은 수정, 보완이다. 부실을 이야기 하지만 대표를 제외하고 회사가 여기까지 오는데도 많은 일들을 겪었고 시간도 걸렸다. 현재를 수정해 보완하는 방법을 찾아 존속해야 한다.
♠ 이영희(47, 기획2팀) - 기업이 존재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내부 감시 시스템을 만들지 못한 점은 있지만 노동청이 대표의 잘못을 기업에 연대책임으로 물어 지원 중단을 논의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조치다. 한 예로 대표가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과정에서도 노동부는 직원 채용을 했고 그 직원들은 쉽게 말해 실업급여도 받을 수가 없는 위치다. 이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 문학렬(53, 미술팀장) - 이번 사건은 엄밀히 말해 사회적 기업 자체의 총체적 부실이라기보다는 대표 한 사람의 독단적인 운영과 횡령이다. 내부 감시 시스템을 만들지 못한 점은 있지만 노동청이 대표의 잘못을 기업에 연대책임으로 물어 지원 중단을 논의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조치다. 이 기간에도 벽화나 조형물 사업 등 기업이 진행하는 업무는 진행해왔다. 잘못이 기업에만 있는 것도 아니고, 노동청이나 광주시 역시 관리감독 부실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도 모든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시키고 있다. 여기서 일하는 예술인들은 한 달 78만원 임금보다 문화 인프라 구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기업이 중단되면 큰 꿈이 사라진다. 아시아 문화중심도시를 지향하는 지표 역할 뿐 아니라, 정부 시스템과 NGO단체의 보호마저도 받을 수 없는 사각 지대에 놓여있는 예술인들에게 절대 필요한 시스템이다.
문의 : 062-269-4722
범현이 리포터 baram8162@nate.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