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촌상담센터' 검색결과 총 3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청소년기 답답증을 대하는 부모의 자세 "도대체 속을 모르겠어요."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하소연이다. 많은 부모들은 청소년기 자녀가 틈틈이 내비치는 흔들림으로 인해 불안해하고, 아이가 변덕스럽다고 화를 낸다. 자녀는 그저 자신의 현 상태를 드러내는 것인데도 부모는 그 모습이 아이의 본성이고 미래를 결정짓는 요인인 것 같아 힘들어한다. 그래서 빨리 증상(?)을 없애려고 조바심을 낸다.도널드 위니컷은 청소년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지 못한 채, 그저 기다리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이 기간을 ‘청소년기 답답증(adolescent doldrums)’이라고 묘사하면서, 이 시기를 치료하는 유일한 방법은 시간이 경과하여 청소년이 성인이 되는 것뿐이라고 했다. 그는 ‘이 기간 동안에 청소년은 자신이 동성애인지 이성애인지, 또는 자기애인지조차 알지 못한다. 그에게는 아직 정체감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미래를 개척하고 졸업시험을 위해 공부하는 일이 어째서 의미 있는 것인지 깨닫게 해주는 삶의 철학도 없다. 그에게는 아직 개인적인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부모상과 동일시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설명하고, 의존으로의 퇴행과 도전적인 독립심을 번갈아 표현하는 청소년기 자녀에게 부모가 할 일은 ‘그 자리에 서서 버텨주고, 시간을 주는 것’이라고 조언한다. 이는 단순히 기분을 달래주고 삶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주는 대신 자녀의 강한 욕구와 구체적인 도전에 적절히 대응해주고 다뤄주며, 그 자리에 함께 서서 자녀가 스스로 그 시기를 견디며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을 뜻한다.때때로 부모는 자녀를 더 빨리, 더 성공적으로 키우고 싶어 안달하고, 혹시 아이가 잘못될까 불안해하며, 자신의 요구에 순응하지 않는 자녀에게 분노하거나, 무력감을 느낀다. 이런 다양한 감정으로 인해 부모는 때로 평정심을 잃고 그 자리에 서 있기 어려울 정도로 흔들린다. 이럴 때는 부모도 잠시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도록 노력하며, 그 마음이 어디에서 오는지 알고 돌봐야 한다. 그래야 자녀의 모습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청소년기는 성인이 되어가는 시기이고 사회화의 중요한 단계이지만, 폭풍의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를 잘 버텨주려면 부모 자신도 힘이 있어야 한다. 자녀의 가능성을 믿고, 자녀의 작은 장점을 발견하는 즐거움을 반복하다 보면 부모에게도 불안정을 견딜 수 있는 힘이 생긴다. 그 힘은 자녀가 스스로를 찾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도록 도와준다.부모의 자리에 서서 자녀의 가능성을 믿고 버텨준다면, 이 시기는 건강한 성장의 시간이 될 것이다.새중앙상담센터 · 심리상담연구소행복나무 김혜숙 전문상담사 2020-08-02
- 상처받은 내면아이 “난 요즘 술주정하는 노인들을 봐줄 수가 없어. 나한테 중요한 사람인데 술주정을 할라치면 나도 모르게 버럭 소리를 지르며 분노를 폭발하게 되는 거야. 내가 왜 이러는지 모르겠어.” 몇 년 전 남동생으로부터 들었던 고백이다. 동생에겐 잊지 못하는 어린 시절의 기억 하나가 있었다. 어느 날 술 취해 들어오신 아빠랑 엄마가 부부싸움을 하셨다. 술 취한 아빠가 엄마를 자꾸 벽으로 떠밀었는데 거기에 커다란 못하나가 있었다. 엄마가 벽 쪽으로 밀어붙여질 때마다 엄마가 그 못에 찔릴까 무서워 엄청 울었었다고 한다. 동생은 이야기를 하면서 어린 시절에 겪었던 불안하고 무섭고 엄마를 구할 수 없었던 감정의 경험을 토해내었다. 그리고 자신이 현재의 삶에서 아버지와 비슷한 연령대의 술 마신 노인에게 전이감정을 일으키면서 분노를 터트리고 있음을 깨달았다. 그 이후 동생의 분노는 점점 줄어들게 되었다.프로이트는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어린 시절의 상처받은 경험이 해결되지 못한 채 무의식 깊숙한 곳에 억압되어 있는 감정이라 보았다.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강한 스트레스나 과거 경험을 떠올리게 하는 장면을 만날 때 불쑥 모습을 드러내고 이성적인 사고를 마비시키며 어린아이 같은 행동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당황스러움과 수치감, 죄책감 등을 만나게도 하며 필자의 남동생처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초래하여 현재의 삶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그것은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예기치 못한 순간에 분노로, 깊은 슬픔으로, 억울함 등의 감정으로 올라와 우리의 지성과 이성을 마비시키고 관계의 단절, 죽음에 이르는 고통 등을 주기도 한다. 어떻게 이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다독여 즐겁고 건강한 삶을 살아낼 수 있을까? 먼저 자신의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만나고 이야기해보아야 한다. 과거의 어떤 경험이 우리를 참을 수없는 분노로 이끌고, 슬픔, 열등감으로 타오르게 하고 현재 삶을 방해하는지 찾아내야만 한다. 또한, 우리의 무의식 안에서 발견되길 바라며 끝없이 발 돋음 했던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인정하고 만나야 한다. 힘들었던 경험과 감정이야기를 들어주며 있는 모습 그대로 따뜻하게 안아주며, “괜찮아. 애썼어.” 토닥여주어야 한다. 이러한 자기 자신에 대한 존중과 보살핌의 경험은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에 새로운 의미부여와 긍정적인 관점의 변화를 일으키고 더불어 우리 자신을 즐겁고 창조적인 미래로 이끌어 줄 수 있을 것이다.참고문헌: 3ㄷ-최광현(2019). 나는 내편이라 생각했는데. 서울:부키.-John Bradshaw(2004).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Inner Child Therapy〕 오제은 (역). (주)학지사새중앙상담센터 · 심리상담연구소행복나무이미경 전문상담사 2020-07-08
- 진정한 나의 편이 되어주는 ‘한 사람’ 학창시절 나는 남들과 나 자신을 비교하고 내가 가지지 못한 것을 가진 아이들을 부러워하면서 살아왔다. 나 자신에게 있는 장점은 무시하고, 내가 가지지 못한 것에만 집중을 하다 보니, 내 자신이 좋지 않았고, '난 왜 이것도 못하지? 나에겐 왜 이게 없는 거지?' 자기 비난을 많이 해 왔다. 그러다보니 내 자존감은 높지 않았고 늘 나에게 불만이었으며 나를 사랑할 수 없었다.학창시절의 나처럼 자기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고 비난하고 있는 아이들을 상담실에서 만날 때면 어릴 때의 나를 보는 것 같다. 학교 점수나 성과로 개인의 가치를 판단하는 세상의 잘못된 가치관 속에서 자신을 저평가하고, 스스로에게 더욱 상처를 주고 있는 아이들... 자기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깨닫지 못하고 있는 아이들...그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그들의 진정한 편이 되어주는 ‘한 사람’이다.(나는 비록 나 자신을 비난하지만,) 나를 비난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나를 수용해주며 온전히 나의 편이 되어주는 누군가와의 만남은 ‘자기 존재 자체’에 대한 안도감을 느끼게 해준다. ‘너는 안 돼’, ‘너는 실패자야’라는 거짓된 세상 메시지와 자기 비난이 나를 공격하여 마음이 낙심되고 좌절될 때, ‘그런 생각이 네 안에 있다면, 얼마나 힘들겠니’, ‘니가 그랬다면 뭔가 이유가 있을 거야’하는 비판단적인 공감은 자기 존재에 대해 존중받는 경험을 하게 해준다. 그리고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나는 꽤 괜찮은 사람일지도 몰라’라는 생각을 하며 내안의 힘을 발견하고 변화하기 시작한다. 비로소 자기의 가치를 인정하고 스스로를 존중하게 되며 자기 자신의 편이 되어주게 된다. 나 자신이 내 편이 되어줄 때, 이제는 더 이상 누군가에게 인정을 받기 위해 그렇게 안달복달 할 필요 없이 건강한 자존감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된다.온전한 내 편이 되어주는 단 한사람, 그 사람으로 인해 아이들은 변한다.‘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 그 자체’를 수용해주고, 내게 소중하다는 메시지를 주며 내 생각과 가치관을 바꾸어주었던 ‘한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서 내가 변했듯이...진정한 그의 편이 되어주자.‘너 있는 모습 그대로, 너 참 소중하다.’새중앙상담센터 · 심리상담연구소행복나무송지선 미술치료사 2019-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