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검색결과 총 6,132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인터뷰> 무빙넷 김순철 대표 “전후 경제를 재건하는 나라나 신생 독립 국가의 경제 개발에 참여하는 것은 개발 이익외에도 한국의 우호적 이미지를 현지에 심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고려해야 합니다” 무빙넷의 김순철(39) 사장은 오는 2002년 독립을 앞두고 국가 재건에 나선 동티모르의 운송사업권과 CY사업권을 15년 간 독점하게 됐다. 김 사장은 이번 동티모르 진출에 대해 불확실한 시장에 진출했다는데 의미를 뒀다. “미국에 집착하기 보다는 동티모르와 같이 작지만 부존자원이 풍부한 나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계약은 운도 작용했다. 미국에서 우연히 만난 동티모르 인사가 김 사장에게 이 사업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무빙넷은 국내 최대 화물발주처 포스코를 비롯해 한국타이어, 삼성제약 등 대기업들의 물류시스템을 유·무선 인터넷을 바탕으로 하는 ‘짐패스(www.zimpass.com)’ 사이트를 통해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1-10-10
- 한국 벤처, 동티모르 제1항 물류독점할듯 국내 물류 벤처기업이 동티모르 제1 부두의 물류사업 일부에 대해 독점권을 따냈다. 물류 포털사이트를 운영하는 (주)무빙넷(대표 김순철·www.zimpass.com)이 동티모르(East Timor)의 부두에서 컨테이너 야드(CY, 수동한 컨테이너를 내려놓는 곳)까지의 운송사업권과 CY운영권을 딜리시 시장으로부터 독점으로 수주, 11일 조인식을 가진다고 10일 밝혔다. 이 회사는 동티모르 수도인 딜리시의 루벤(Ruben J.B)시장과 앞으로 15년 간 동티모르의 제 1항구인 딜리항에서 야적장인 딜리시까지 운송되는 모든 화물의 운송과 CY운영권을 맡는 내용으로 계약을 맺는다. 무빙넷에 따르면 동티모르는 파괴된 국가를 재건하기 위한 물자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국제항으로 실제 이용되는 것은 딜리항이 유일하다. 앞으로 최소 10년 간 주택 및 빌딩, 도로, 항만, 공항에서 농수산업, 통신 등 사회 모든 기반시설을 새롭게 개발해야하는 이 나라는 현재 UN과 IBRD 등 국제은행으로부터 무상원조를 받고 있다. 또, 석유, 천연가스 등 부존자원이 풍부하고 남태평양과 남지나해에 걸친 지정학적, 군사적 요충지란 점에서 개발 잠재력은 매우 높다. 무빙넷 관계자는 이번에 동티모르의 모든 수입화물에 대한 운송사업권과 CY운영권을 15년 간 독점하게 되면서 국가 재건 과정에서 발생하는 운송 이익은 물론 규모가 큰 지하자원 수출입의 막대한 이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무빙넷은 앞으로 15년 간 적게는 2억 3000만불에서 많게는 4억불의 이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사업에 대한 독점권을 동티모르 정부가 아니라 딜리시로부터 받은 것은 정부가 시에 권한을 위임했기 때문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번 계약의 결과 무빙넷은 동티모르에 국내 기업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또, 국내 경기부진과 수출입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해외틈새 시장을 공략해 벤처기업의 활로를 모색했다는 데 의의를 부여했다. 2001-10-10
- 재건축 빅3, 은마아파트 수주 ‘드림팀’ 구성 서울의 중층 고밀도 아파트 가운데 단일단지로는 최대 규모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재건축사업 수주전에 ‘드림팀’이 구성됐다. 10일 주택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주택부문과 LG건설, 롯데건설 등 재건축 시장에서 강자로 꼽히는 3개 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 은마아파트 재건축사업 수주전에 뛰어들었다. 그 동안 서초삼익 등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삼성물산 주택부문과 롯데건설이 손을 맞잡기는 이번이 처음이며 삼성물산 주택부문과 LG건설은 두 번째다. 이들이 손을 맞잡은 것은 최고 입지를 갖춘 강남지역을 선점하고 4000가구 이상 대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부담을 분산시킬 필요성에 공감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은마아파트 재건축사업은 기존 4424가구를 일반분양 없이 1대 1 방식으로 신축하는 것으로 재건축 뒤 평형대는 기존 31, 34평형에서 33, 41, 44, 50평형으로 다양하게 확대된다. 다음 달 10일 조합원총회에서 시공사가 선정되면 오는 2003년 하반기 이전에 이주 및 철거가 완료되고 2007년 상반기 입주 예정이다. 2001-10-10
- 재건축 아파트 60% 사업성 없어 현재 재건축을 추진중인 서울시내 아파트중 사업성이 있는 아파트는 전체의 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김현아 박사는 “올 8월말 현재 재건축이 추진중인 서울시내 아파트 608단지 29만4662호에 현행 용적률 상한선 250%를 적용, 수익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박사에 따르면 현행 용적률 250% 하에서 세대수는 평균 1.3배, 주택규모는 현재의 1.5배 정도 늘어나는 기존의 재건축 방식을 적용할 경우 대상단지의 25.7%인 120개 단지, 세대수로는 대상 아파트의 44.4%가 사업성이 있다. 이 경우 가구당 추가부담금은 평균 8000만원이 요구된다. 사업성 판단은 재건축 후 주택의 자산가치를 재건축에 소요된 비용(추가부담금+아파트매입가격+금융비용)으로 나눠 1을 넘으면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세대수 증가없이 주택규모만 증가하는‘1대 1’재건축을 한다면 대상아파트의 43.6%가 수익성이 있으며 가구당 추가부담금은 1억 2000만원에 이른다. 이와 함께 지역별로는 강북보다 강남지역의 재건축 수요가 많으며 사업성도 강남지역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것은 강남지역이 강북지역보다는 재건축에 의한 용적률의 증가여지가 더 많기 때문이라고 김 박사는 밝혔다. 강남지역은 강동구, 강서구, 송파구 양천구가 대상아파트의 60%이상이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는 사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북지역은 용산구, 종로구, 노원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이 사업성이 전혀 없거나 사업성이 있더라도 가능한 세대수가 1000가구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으로 집계됐다. 심지어 강남지역중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의 경우 현재 주택가격에 버금가는 1억원 정도의 추가부담금이 투입돼도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강남지역의 20평 이하 아파트 평당가격은 41평 이상의 1.4배정도 높은 반면, 강북지역은 20평 이하의 아파트 평당가격이 41평 이상의 80%수준으로 재건축 이후 아파트의 재산가치에 대한 기대가 강북보다 강남지역이 높은 것도 사업성의 차이를 낳는 원인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당분간 재건축은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할 것이며 강북지역은 리모델링도 재산가치증식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자칫 슬럼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김 박사는 지적했다. 한편 소형평형의무제 시행과 관련 김 박사는 “재건축 대상아파트의 절반정도가 이 제도의 적용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이 제도가 재건축의 시기를 늦추고 재건축의 열기를 식히는 효과는 있겠지만 재건축의 추진 자체를 멈추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01-10-10
- 소형주택 의무비율 15∼25% 부활 11월부터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에서 300가구 이상의 주택을 짓는 재건축과 민영주택사업은 전체 가구의 15∼25%를 18평 이하(전용면적기준)의 소형주택으로 지어야 한다. 또 소형주택에 대한 국민주택기금의 지원한도가 내년말까지 한시적으로 현행 3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높아진다. 건설교통부는 9일 이 같은 내용의 ‘주택조합 등에 대한 주택규모별 공급비율에 관한 지침’을 마련, 발표했다. ◇내용= 지침에 따르면 소형주택 의무비율은 20%를 원칙으로 하되 시·도지사가 5% 포인트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미분양 물량이 누적될 경우 해당 시·도지사가 건교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 일정기간 이 제도의 적용을 중단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이미 아파트지구기본계획에서 소형주택의 공급비율을 적용하고 있는 서울 잠실, 청담·도곡, 반포, 암사·명일, 화곡 등 5개 저밀도 단지와 ‘지침’ 시행일 이전에 사업계획 승인을 신청했거나 이미 건축심의를 받은 16층 이상 아파트는 적용대상에서 제외된다. 의무비율이 적용되는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은 서울, 인천(일부), 성남, 안양, 의정부, 구리, 하남, 고양, 남양주(일부), 수원, 부천, 광명, 과천, 군포, 시흥(일부)등 16개 시이며 300가구 이상을 건립하는 재건축과 민영주택 건설사업이 적용대상이다. 한편 건교부는 소형주택건설에 대한 인센티브로 내년말까지 국민주택기금 지원한도를 현행 3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올리고, 금리도 현행 7%에서 5%(입주자 대환전까지)로 내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분양가 산정의 기준이 되는 표준건축비가 시장 상황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표준건축비의 산정방식을 전년도 생산물가지수와 연동되도록 개선했다. 새로 도입된 소형주택 의무비율은 규제개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오는 1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배경과 의미= 98년 1월 폐지됐다 3년 9개월만에 부활한 15∼25%의 소형주택의무비율제는 서민주거안정을 꾀함과 동시에 건설경기에 찬물을 끼얹지않으려는 정부의 고뇌가 배어있다. 건설교통부의 최재덕 주택도시국장은 “이번 조치는 조합원의 권리를 보장하면서 동시에 소형평형의 공급을 늘리고자하는 타협점으로 이해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번 조치는 수도권의 소형주택공급이 크게 줄어들면서 주택가격 상승의 한 원인으로 작용, 서민들의 주거부담을 가중시킨데 따른 것이다. 실제 서울시의 소형주택 공급비율이 97년 35.9%에서 98년 34.9%, 99년 17.9%, 작년 7.5%로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지난해 2368가구였던 소형주택이 3400가구 가량이 더 늘어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도시의 소형주택 건설비율도 현행보다 높아져 소형주택 공급난은 다소 해소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건교부는 장기간의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건설경기를 더욱 악화시키지 않으려는 배려도 마련했다. 소형주택 의무비율제 적용지역을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으로 제한하고 적용대상도 300가구 이상 아파트로 한정하는 한편, 시·도지사가 일정기간 의무비율 적용을 중단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재건축의 경우 해당 조합원에게 최소 기존주택의 규모까지 건설할 수 있도록 배려했고 주택건설업체에게 국민주택기금 지원폭과 금리혜택을 주었다. 여기에 표준건축비도 전년도 생산자 물가지수에 연동되도록 해 분양가를 현실화하도록 했다. ◇파장과 문제점 = 이번 조치로 1대 1재건축을 포함, 전용면적 18평 이상으로 구성된 중층이상 재건축아파트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용적률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조치로 수익성 악화 뿐 아니라 재건축시 입주평형이 기존아파트보다 작아져야 하는 처지에 놓이기 때문이다. 현재 이런 단지는 강남권아파트를 주축으로 서울 시내에만 15∼20개 단지, 가구수로는 1만5000∼2만 가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이번 조치로 향후 재건축을 포기하거나 리모델링으로 선회하는 단지들이 속출할 전망이다. 최근 노원구 월계동 동신아파트의 경우 관할구청에 재건축조합 설립인가를 반려한데 이어 강남지역에서도 반포2동 신반포3차 아파트 등이 재건축을 포기하고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건설업체들의 수익성도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주택업계는 수익성 악화를 우려, 소형의무비율 부활방침 이후 △용적률 인센티브 △취득·등록세 감면지원 확대 △공공 임대주택 공급확충 등을 건의했지만 실제 이번 조치에서는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다만 의무비율이 당초 30%에서 15∼25% 수준으로 줄어들고 국민주택기금 지원한도 상향조정 및 금리인하 등의 혜택을 받아냈다. 그러나 이 역시 기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이라는 평가다. 대한주택협회 관계자는 최근 건설업계는 소형주택의 공급을 늘리는 추세라며 “공급평형은 수급과 지역 등 시장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해결해야지 일률적 제한을 두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조치는 서민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가격 억제에는 ‘사후약방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 소형주택 부족으로 인해 집값, 전셋값은 오를 대로 올랐다는 것. 부동산 정보제공업체인 ‘부동산114(www. r114.co.kr)’에 따르면 서울과 신도시는 지난 7월 27일 소형주택 의무비율제부활 방침 발표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매매값은 그 이후에도 각각 2.82%, 3.52%가 상승했고 수도권 역시 4.05%가 추가 상승했다. 주택은행의 조사결과 전셋값 역시 서울지역의 경우 7월대비 8월의 전셋값 상승률이 2.5%에 달했으며 9월말에 그 상승세가 꺾였다. 다만 가파른 상승을 보이던 강남지역의 재건축 아파트의 가격은 소형아파트 의무공급제 부활방침 발표 이후 상승률은 강남구가 -1.4%, 송파구가 0.24%, 서초구가 5.35%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지난해 서울과 경기지역의 소형공급비율이 각각 24.0%, 29.2%이었고 올 들어 업체들이 소형공급을 더욱 늘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로 이번 의무비율부활이 재건축 이외의 시장에서 실효성을 갖기 힘들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2001-10-09
- 4대연기금 올해 미집행분 2조2000억원 증시참여 유도 재정경제부는 증시 안정을 위해 4대 연기금의 올해 주식투자 미집행분 2조2000억원을 증시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또 소규모 연기금의 금융자산통합운용펀드를 최대 5조원 규모로 조기에 구성하기로 했다. 재경부는 9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미국 보복조치 이후 대응방향을 보고했다. 4대 연기금은 당초 올해안으로 3조5000억원을 증시에 투자할 예정이었으나 지난7월까지 1조3000억원이 투자됐고 2조2000억원은 아직 집행되지 않았다. 재경부는 현행 30대그룹 제도를 자산규모 기준으로 전환, `대규모그룹 제도로 개편하고 지정범위도 축소하기로 했다. 이는 이남기 공정거래위원장이 지난 4일 밝혔던 대규모그룹 지정기준 개선방안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이 위원장은 자산 3조원 이상 그룹을 대규모그룹으로 지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 경우 26개 그룹이 포함돼 현행 30대그룹 제도 및 지정범위와 별다른 차이가 없게 된다. 재경부는 또 이자율 하락에 따른 불용예산 등을 활용, 2차 추경예산 편성을 통한 적극적인 경기진작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관련 재경부는 2차 추경은 SOC(사회간접자본시설) 및 중소기업 지원 등 경기진작 효과가 큰 사업과 함께 테러방지 관련사업들을 중심으로 대상사업을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재경부는 이날 여 야 영수회담 보고 자료를 통해 지역균형발전특별법제정을 추진하되,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지역발전시책을 수립 시행하고 중앙정부는 특별회계를 신설하는 등 지원책을 강화 하며 SOC 확충뿐 아니라 기업여건과 교육,문화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는 방식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재경부는 재래시장의 재개발·재건축을 촉진하기 위한 여·야 관련법안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재개발·재건축 지원자금도 올해 155억원에서 내년에는 300억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2001-10-09
- 해설 ◇배경과 의미= 98년 1월 폐지됐다 3년 9개월만에 부활한 15∼25%의 소형주택의무비율제는 서민주거안정과 건설경기의 부양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정부의 고뇌가 배어있다. 건설교통부의 최재덕 주택도시국장은 “이번 조치는 조합원의 권리를 보장하면서 동시에 소형평형의 공급을 늘리고자하는 타협점으로 이해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번 조치는 수도권의 소형주택공급이 크게 줄어들면서 주택가격 상승의 한 원인으로 작용, 서민들의 주거부담을 가중시킨데 따른 것이다. 실제 서울시의 소형주택 공급비율이 97년 35.9%에서 98년 34.9%, 99년 17.9%, 작년 7.5%로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지난해 2368가구였던 소형주택이 3400가구 가량이 더 늘어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도시의 소형주택 건설비율도 현행보다 높아져 소형주택 공급난은 다소 해소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건교부는 장기간의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건설경기를 더욱 악화시키지 않으려는 배려도 마련했다. 소형주택 의무비율제 적용지역을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으로 제한하고 적용대상도 300가구 이상 아파트로 한정하는 한편, 시·도지사가 일정기간 의무비율 적용을 중단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재건축의 경우 해당 조합원에게 최소 기존주택의 규모까지 건설할 수 있도록 배려했고 주택건설업체에게 국민주택기금 지원폭과 금리혜택을 주었다. 여기에 표준건축비도 전년도 생산자 물가지수에 연동되도록 해 분양가를 현실화하도록 했다. ◇파장과 문제점 = 이번 조치로 1대 1재건축을 포함, 전용면적 18평 이상으로 구성된 중층이상 재건축아파트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용적률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조치로 수익성 악화 뿐 아니라 재건축시 입주평형이 기존아파트보다 작아져야 하는 처지에 놓이기 때문이다. 현재 이런 단지는 강남권아파트를 주축으로 서울 시내에만 15∼20개 단지, 가구수로는 1만5000∼2만 가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이번 조치로 향후 재건축을 포기하거나 리모델링으로 선회하는 단지들이 속출할 전망이다. 최근 노원구 월계동 동신아파트의 경우 관할구청에 재건축조합 설립인가를 반려한데 이어 강남지역에서도 반포2동 신반포3차 아파트 등이 재건축을 포기하고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건설업체들의 수익성도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주택업계는 수익성 악화를 우려, 소형의무비율 부활방침 이후 △용적률 인센티브 △취득·등록세 감면지원 확대 △공공 임대주택 공급확충 등을 건의했지만 실제 이번 조치에서는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다만 의무비율이 당초 30%에서 15∼25% 수준으로 줄어들고 국민주택기금 지원한도 상향조정 및 금리인하 등의 혜택을 받아냈다. 그러나 이 역시 기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이라는 평가다. 대한주택협회 관계자는 최근 건설업계는 소형주택의 공급을 늘리는 추세라며 “공급평형은 수급과 지역 등 시장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해결해야지 일률적 제한을 두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조치는 서민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가격 억제에는 ‘사후약방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 소형주택 부족으로 인해 집값, 전셋값은 오를 대로 올랐다는 것. 부동산 정보제공업체인 ‘부동산114(www.r114.co.kr)’에 따르면 서울과 신도시는 지난 7월 27일 소형주택 의무비율제부활 방침 발표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매매값은 그 이후에도 각각 2.82%, 3.52%가 상승했고 수도권 역시 4.05%가 추가 상승했다. 주택은행의 조사결과 전셋값 역시 서울지역의 경우 7월대비 8월의 전셋값 상승률이 2.5%에 달했으며 9월말에 그 상승세가 꺾였다. 다만 가파른 상승을 보이던 강남지역의 재건축 아파트의 가격은 소형아파트 의무공급제 부활방침 발표 이후 상승률은 강남구가 -1.4%, 송파구가 0.24%, 서초구가 5.35%로 급랭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지난해 서울과 경기지역의 소형공급비율이 각각 24.0%, 29.2%이었고 올 들어 업체들이 소형공급을 더욱 늘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로 이번 의무비율부활이 재건축 이외의 시장에서 실효성을 갖기 힘들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2001-10-09
- ‘달동네’ 난곡지역 재개발된다 서울의 대표적인 달동네로 꼽히던 난곡지역(관악구 신림동 산 101번지 일대)이 재개발된다. 관악구는 지난달 28일 주택공사를 사업시행자로 하는 ‘신림1구역 주택재개발 사업시행 인가’가 떨어짐에 따라 이달부터 본격적인 재개발사업에 착수한다고 8일 밝혔다. 이에 따라 5만1960평에 이르는 이곳에는 2005년 6월까지 총사업비 5041억원이 투입돼 239%의 용적률로 지상 최고 20층규모의 임대주택 512가구와 분양주택 2810가구 등 총 3322가구의 아파트가 들어서게 된다. 난곡지역의 재개발이 마무리되면 90년대부터 전국 최대규모로 진행돼 왔던 관악구의 주택재개발, 주택재건축, 주거환경개선사업 등 총 78개 사업장 5만여 가구의 주택개량사업이 사실상 끝나게 된다. 총 2500여동의 건물중 60% 이상이 평균 8평 규모의 무허가건물인 난곡지역은 서울시내 대표적 노후·불량주택이 밀집돼 있는 곳으로 이곳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의 80%가 세입자이다. 한편 관악구는 다른 재개발지역에 비해 과다한 세입자와 낮은 전세보증금 등으로 사업성이 낮아 이주대책 등 재개발사업 시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고 구청 주택과에 토목전담팀을 구성하는 등의 원활한 재개발사업 시행을 위한 별도의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현재 이곳에 거주중인 주민들의 원활한 이주 및 재정착을 위해 ‘순환식 재개발 방식’을 적용, 인근 재개발이 완료된 임대아파트에 1400여 가구의 주민들을 이주토록 했다. 이와 함께 전세보증금 700만원이하의 영세 생활자로 이주능력이 거의 없는 주민 400여 가구에 대해서는 건설교통부, 서울시 등에 공동으로 대책을 마련할 것을 건의한 상태다. 관악구 관계자는 “주택재개발사업이 마무리되면 관악구는 달동네 이미지를 벗고 ‘살기좋은 새동네’ 아파트촌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01-10-08
- 10월 전국 3만8560가구 분양 10월중 전국적으로 3만8560가구의 신규 아파트가 분양된다. 건설교통부는 10월에 대형건설업체가 2만8811가구, 중소건설업체가 4719가구, 대한주택공사가 5030가구를 분양하는 등 모두 3만8560가구의 신규 아파트가 분양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지난 9월 분양물량(2만9071가구)보다 9489가구(32.6%)가 증가한 규모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2만346가구(52.8%), 부산 6802가구(17.6%), 대구 3546가구(9.2%), 전북 1636가구(4.2%), 경남 6230가구(16.2%) 등이며 유형별로는 일반분양 2만9683가구(77%), 임대주택 8877가구(23%)다. 규모별로는 분양주택의 경우 전용면적 60(18평)∼85㎡(25.7평)가 1만7387가구로(58.6%)로 가장 많았고, 60㎡(18평)이하 8134가구(27.4%), 85㎡초과 4162가구(14.0%)순이었다. 임대주택은 모든 물량(8877가구)이 60㎡이하다. 서울지역 10월 분양계획 업체 건설위치 공급규모(일반) 연락처 비고 금호산업 성동구마장동 369(79) 6303-0808 재건축 중랑구목동 193(44) 재건축 송파구거여동 136(88) 6303-0805 재건축 대림산업 양천구신정동 1079 368-7744 조합 구로구신도림 411 분양 대우건설 관악구신림동 1448(507) 761-4117 재건축 구로구오류동 378(208) 678-9411 재건축 동부건설 강서구방화동 407(155) 663-8131/2 재건축 삼부토건 강남구삼성동 67(24) 3706-2337 재건축 삼성물산 동대문이문2동 648(416) 1588-3588 재개발 동작구상도동 431(207) 재개발 삼익건설 노원구공릉동 237(114) 560-3386 재건축 삼 호 은평구갈현동 327(157) 2170-5000 재건축 은평구갈현동 123(570) 재건축 삼환까뮤 마포구아현동 77 769-6192 분양 성원건설 서대문연희동 67(42) 3404-2108 재건축 신 성 성동구마장동 286(166) 420-1369 조합 쌍용건설 동작구상도3 389(190) 3433-7632 재개발 LG건설 강남구개포동 211 728-2516 분양 서초구방배동 136 728-2332 분양 태 영 중랑구상봉동 87(29) 3270-6805 조합 현대산업개발 성북구종암동 513(311) 2299-6003 재개발 현진에버빌 동작구신대방 135 442-6380 조합 2001-09-26
- 10월 서울 신규분양아파트 4400여 가구 오는 10월 서울에는 4400여가구의 신규아파트가 입주할 예정이다. IMF이후 아파트 공급물량이 감소하면서 입주시점이 되는 올해부터 입주물량이 많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 아파트의 가격상승이 향후 2∼3년간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매물은 더더욱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내집 마련을 위한 실수요자들에게는 매물을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사를 원하는 사람들은 전세나 월세보다는 매입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전세는 매물을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고 매월 비싼 월세를 내는 것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번 입주아파트는 대규모 단지가 눈에 띈다. 도봉구 방학동의 대상현대아파트(1278가구)와 성동구 응봉동의 대림강변타운(1150가구) 등은 1000여 가구가 넘는 대단지다. 서울 강남지역에서는 700여 가구의 도곡동 삼성래미안아파트가 관심을 끈다. ◇방학동 대상현대아파트= 지상 19∼23층으로 구성된 총 1278가구의 대단지다. 평형별로는 24평형 166가구, 33평형 608가구, 38평형 122가구, 50평형 260가구, 60평형 82가구가 공급된다. 1호선 방학역이 도보로 5분거리며 도봉간선도로 및 외곽순환도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방학역에서 한 정거장 거리에 있는 이마트 및 농협 하나로마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방학동 롯데 마그넷이 입점할 예정이다. 인근에 창동초, 창동중, 도봉정보산업고가 있다. 2003년에 인근에 도봉구청사가 준공예정에 있고, 인근의 래미안 아파트, SR아파트 등과 함께 약 2800세대의 대규모 아파트 타운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응봉동 대림강변타운= 서울 성동구 응봉동 ‘대림 강변타운’은 행당 1-1구역을 재개발한 단지다. 평형별로는 24평형 480가구, 32평형 441가구, 42평형 229가구로 중소형 위주다. 근처에 한신플러스타운과 응봉동 리버그린동아가 내년 입주예정이어서 이미 입주한 신동아, 금호현대와 함께 대규모 아파트 타운이 형성하게 된다. 지하철 용산선 응봉역이 걸어선 3분, 5호선 행당역이 걸어서 10분 거리로 교통여건이 좋은 편이며 강남, 중구권 연결이 좋아 직장인들에게 인기가 좋다. 교육환경은 행당초, 광희중, 무학여중, 무학여고 등이 있으며 앞으로 교육시설은 더 확충될 계획이다. 다만 아직 쇼핑시설 등 편의시설이 부족하고, 대형 아파트 단지들이 들어서면서 진입로 등 교통문제도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 ◇도곡동 삼성래미안= 재건축 아파트로 20∼24층의 아파트 10개동이 들어선다. 총 732가구중 397가구가 일반분양이다. 평형별로는 24평형 144가구, 34평형 48가구, 35평형 144가구, 36평형 45가구, 47평형 16가구 등이 일반분양된다. 양재대로, 남부순환로, 강남대로 등과의 연계가 좋고 경부고속도로 진입이 용이하다. 지하철 3호선 도곡역과 매봉역 도보로 5분거리다. 교육시설은 대도초, 구룡초, 대치중, 도곡중, 중대부고, 개포고, 단국고 등 초중고교가 모두 풍부하다. 유통시설은 그랑프리백화점, 그랜드백화점, 한솔필리아 등이 인근에 있다. 2001-09-24